한국미술문화체험[사이버시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미술문화체험[사이버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상, 정물 등
4. 로마 회하의 특색
- 화미, 향락적, 관능적
◆퀴즈
1. 고구려의 주요고분 3가지를 꼽는다면?
장군총, 안악3호분, 덕흥리 고분
2. 고구려의 고분 벽화의 주요 주제는 무엇인가?
인물풍속도, 사신도, 장식 그림
■2주차2교시
◆인물상 - 남성상 비교
1.남성상
- 안악 3호분, 남자주인공(왕혹은중국인장수동수로추정)
- 묘주인상으로서서쪽벽에 그려짐. 백라관을 쓰고 귀면 부채를 손에든 정면좌상.신상화된 묘주인상의 표현양식, 고구려초기(4~5세기)고분벽화의한전형예시
-> 소년초상(납화), 2세기
◆ 인물상
2. 여성상
- 안악 3호분서쪽널칸 남벽, 여자주인공과시녀
- 동수의부인(혹은미천왕비) 세사람의시녀에 둘러싸여 있음.

(벽화)디오니소스의비의 프레스코

고구려 5세기경, 평남용강궁 수산리, 벽화고분서벽
머리에 관을 쓴귀부인.

꽃을따는 처녀, 스타비아에 벽화. 프레스코, 스타비아에 출토 , 나폴리국립고고박물관
◆인물상
3. 부부혹은연인상
-고구려부부상
5~6세기경, 평남용강쌍영총주실북벽/ 왕의부부로추정.
-> 마르스와비너스 1세기경, 폼페이마르스와 비너스의 집출토 , 나폴리국립미술관
◆풍속도
1. 고분내부와 로마저택의실내
- 안악3호분내부 -> 디오니소스의비의 b.c.50
◆풍속도 - 고분내부의 이미지
1. 고분내부와로마저택의실내
- 안악3호분의 고구려부엌그림
석벽에채색/ 안악3호분동쪽/ 곁방북벽
-> 현재의부엌정경(국수틀이있는부엌)
2. 안악3호분의 용두레우무그림 석벽에채색/안악3호분동쪽곁방북벽
-> 부분도(붉은톤으로변색요)
->군산의 김씨집우물
◆ 풍속도
2. 접객, 혼인풍습
무용층벽화중접객도
-알도부란다니가의혼인도, 1세기초, 프레스코, 바티칸궁도서관
◆3. 사냥, 전투의장면
- 무용총벽화중수렵도의일부
- 명적,가야4세기
- 재현해만든여러가지명적
-수렵도(무영총주실서벽)
평행선으로된산악들이 공간을 구획하는 화면에 짐승과 기사들이 힘차게달리고 있음.
고구려미술의긴장감, 율동미, 남성적인힘등의 특징표출.
기마인둘은 소매가 짧고 부리가 좁은 저고리를 입었으며 머리에는 조우를 한뭉치 꽂은 절풍을 쓰고있다.
- 이소스싸움 bc,1c, 모자이크 폼페이팸의 집출토 나폴리 국립미술관
◆풍속도 - 무용, 음악
4. 춤추는 장면, 연주하는 장면
무용도(6세기경중국, 집안현무용총주실동벽)
- 가수중앞의 두사람은 머리에 책을 쓰고 있음.악장으로추정.
- 뒤쪽의 다섯사람중 앞사람이 머리를 뒤로 돌려 화면의 단조로움을 깨고 있음.
- 구도상의 의미보다는 가수들을 지휘하는 선창수로 추정.
-> 하아프를 연주하는 여인. bc.40-30경, 프레스코, 보레스코, 부스코레알레출토 ,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동물의 표현
현무도 (6~7세기경, 강서대묘)
청룡도 (6~7세기경, 강서대묘현실동벽
-쌍각,장설의오색찬란한 용이사지를 크게벌리고 하늘을 나는 모습.
-섬세하면서 선에 힘이 있고 색이 농담의 훈염법을 쓴 발달된 그림. 동쪽의 방위신
사신도는 동쪽의 청룡,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에 배치된 현무를 지치한다. 이들은 4방위신이다.
◆ 식물의 표현
수목도 (7세기 전반, 중화군진파리 1호분현실북벽)
리비아저택의 벽화, 41-54년경, 프레스코/ 로마국립미술관
◆퀴즈
1. 고구려의 왕 혹은 중국인 동수로 추정되는 남자 주인공이 그려진 고구려의 고분은?
안악3호분
2. 상상 속의 동물인 사신도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현무도는 어떤 동물의 결합을 지칭하는가?
현무, 청룡, 백호, 주작, 거북과 뱀
■ 3주차1교시
◆ 유적과 유물의 차이점
유적 : 사람들의 행위가 있었던 흔적이 남아있는 자리
- 생활유적 : 건물지, 성지, 집자리
- 매장유적 : 무덤(고인돌, 돌널무덤, 널무덤, 독무덤)
- 제사유적
- 생산유적 : 석기제작장, 야철지, 요지
유물 : 과거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모든 물체
- 자연유물: 짐승뼈, 나무토막, 곡식알
- 인공유물 : 석기, 골각기, 토기, 청동기, 철기, 도자기
◆ 백제개관
1. 혈통
- 중심지인 한성, 또는 위례성은 현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으나 풍납동 토성이나 몽촌 토성으로 추정.
- 이 두 성을 중심으로 가락동, 방이동, 석촌동 일대 무덤 집중.
- 무덤양식 돌무지무덤과 돌방무덤은 고구려 무덤양식과 동일하여 백제건국과 고구려와의 관련성 예시.
웅진시대 (475~538)
- 고구려계 돌무지무덤이 없어지고 널길 달린 돌방무덤 축조됨. 중국 영향의 벽돌무덤 새롭게 등장.
- 이 시기의 도성으로 공산성은 건물지와 함께 원형 우물이 확인됨.
사비시대 (538~660)
- 불교문화의 본격적인 융성, 많은 건물지, 방어를 목적으로 한 산성과 도성존재.
- 장방형의 돌방무덤 주류를 이룸. 도성은 사비 주위의 자연 구릉 이용, 나성을 쌓고 주변 산에 산성을 쌓음. 정림사지를 비롯한 절터 발견됨.
- 군수리사지출토 불상, 외리 출토의 전돌 백제의 높은 공예수준 예시함.
◆ 돌무지무덤 과 널무덤
01 . 둘무지무덤
고구려 무덤처럼 네모나게 층층이 쌓아올린 가운데 층에 주검을 넣음. 제일 아랫단에 버팀돌을 받친 형식, 석촌동 4호분은 윗부분 파괴.
02.널무덤
구덩이를 파서 널을 묻은 것. 돌, 기와를 한 겹 덮기도 함.
◆ 돌방무덤
돌방무덤
- 가락동, 방이동, 중곡동 등지에서 발굴됨.
- 남쪽을 향하여 널길을 만들고 위로 갈수록 벽을 좁혀 쌓고 널길을 통한 합장이 가능한 형식
- 웅진시대에 돌방무덤의 평면은 장방형이 되어 사비시대까지 계속됨.
- 부여 능산리 1호분[동하총]은 돌방 벽을 다듬은 후 벽에 사신도를 그리기도 함.
◆ 벽돌무덤/ 독무덤
04. 벽돌 무덤
- 중국 영향의 벽돌무덤 웅진시대에 새롭게 등장.
- 공주에서만 송산리 6호분과 무령왕릉 두 기 존재함.
- 벽돌 사용, 터널 모양으로 쌓음.
- 송산리 6호 무덤 벽에 회칠한 후 사신도를 그린 벽화분
- 무령왕릉은 도굴당하지 않아, 화려하고 풍부한 부장품과 함께 백제사 연구의 진일보를 이루게 함.
05.독무덤
- 전남지역 토착적 묘제 고수, 큰 독무덤이 유향, 영암, 나주, 무안 등지에서 발견됨.
- 대형 독무덤여러 기 무리지어 위치함.
- 묘주는 지방의 유력자.
-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8.10.30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