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phic paper)
수평축이 시간(초)과 거리(mm)를 나타내며 수직축은 전압으로 나타냄.
수평 : 시간 - EKG종이는 1초에 25mm움직이므로 작은 눈금 한칸(1mm = 0.04초)
수직 : 전압 (1mm = 0.1mmV)
(3) 기본파형과 간격
구성: P wave, QRS wave, T wave, U wave
심장근육에 전기적 흐름이 없을 때는 일직선으로 짧게 나타남
1) P파 (P wave)
- 동방결절에서 나온 전기적 충격이 심방으로 퍼져 좌우심방의 탈분극(depolarization)으로 인해 나타남.
- P파의 첫부분은 우심방 탈분극, 뒷부분은 좌심방의 탈분극을 의미(심방의 탈분극 : 심방수 축)
- 정상지속시간 : 0.11초 미만
- 모양: 완만하고 둥글며, 진폭은 2~3mm를 넘지 않음
2) PR 간격 (PR Interval)
- P파의 시작부터 QRS의 시작까지: 동방결절에서 나온 자극이 심방을 자극한 뒤 방실결절을 거쳐 심실 수축 직전에 있음을 뜻함.
- 심방탈분극에서 심실탈분극 직전까지.
- 심방에서 심실로 흥분이 전달되어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
- 정상시간 : 0.12 - 0.2초 (3 - 5칸)
* 0.20초 이상 지연 : 방실결절의 전도장애
* 0.12초 보다 짧으면 : 심방수축 자극이 동방결절이 아닌 심방의 하부나 방실결절에서 시작 되었음을 의미.
3) QRS군 (QRS complex)
- His bundle에서 좌우각을 통하여 Purkinje fibers로 진행되는 전기충격으로 좌우심실이 탈분극될때 나타나는 파형.
- 심실의 탈분극 : 심실수축
- 정상시간 : 0.06~0.1초
* 0.12초 이상 : 심실 내 전도장애, 각 차단 심실 부정맥
* 0.12초 지연 : His 줄기의 한쪽가지가 차단(His 줄기의 좌각이나 우각의 전도장애, Bundle branch block), 심실 수축자극이 동방결절이 아닌 심실 내의 어느 세포에서 시작 됨을 의미
- 모양: 일반적으로 좁고 뾰족한 R파를 보임.
4) ST 분절
- QRS 군의 끝에서부터 시작하여 T wave의 시작점까지.
- 심실근육이 수축을 끝내고 휴식을 취하는 초기에 나타나고 AMI시 상승
5) T파 (T wave)
- 심실의 재분극 (repolarization) 상태이며, 심실수축후의 회복기이며 항상 QRS군 뒤에 나 옴.
- 기간: 0.1~0.25초
- 모양: 보통 넓고 완만.
- 심실수축 후의 전기적 회복이 비정상시 T파는 편평하거나 거꾸로 됨.
6) QT 간격(QT interval)
- 전기적 심실수축시간
- QRS군 시작에서 T파 끝
- 심실의 탈분극, 재분극이 전체 지속시간
- 정상시간 : 0.30~0.45초
7) U파 (U wave)
- 퍼킨제 섬유의 느린 재분극
- 뚜렷한 U파 : 서맥, 저칼륨혈증
8) RR 간격 (RR interval)
- 한 R wave의 정점에서 다음 R wave의 정점까지로 심장주기를 나타냄.
(4) 심전도 판독순서
1) Step 1 : 리듬을 확인한다.
2) Step 2 : 심박동수(heart rate)를 계산한다.
① 10-times method : 심박동수가 불규칙적일 때
- 6초 간격에 해당하는 큰 칸 수 30개(60초/0.2초=300)를 센다.
- 그 안에 들어 있는 R파를 센다.
- 그 숫자에다 10을 곱한다.
② 1,500 method
- 심박동수=1500/RR 간격 내의 작은 칸의 수(1분에 해당하는 그래프용지의 작은 칸 수가 모두 1,500개이므로)
③ sequence method : 300-150-100-75-60-50
3) Step 3 : P파를 평가한다.
① P파가 있는가?
② P파가 정상 형태인가?
③ 모든 P파가 같은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는가?
④ 모든 QRS파 앞에 P파가 한 개씩 있는가?
4) Step 4 : PR 간격을 평가한다.
① PR 간격의 기간이 정상 범위(0.12~0.20초) 안에 있는가?
② PR 간격이 일정한가?
5) Step 5 : QRS파를 평가한다.
① QRS파 기간이 정상 범위(0.06~0.12초) 안에 속하는가?
② 모든 QRS파의 크기와 모양이 같은가?
③ 모든 P파 뒤에 QRS파가 있는가?
6) Step 6 : T파를 평가한다.
① T파가 있는가?
② 모든 T파가 정상 진폭을 가지는가?
③ T파가 QRS파와 같은 방향인가?
7) Step 7 : QT간격을 평가한다.
① QT 간격이 정상범위(0.36~0.44초) 안에 있는가?
8) Step 8 : 다른 구성 요소를 평가한다.
① ST 분절이 정상인가?
② U파가 있는가?
(5) 심전도상 심박동수 측정
심전도 그래프상의 RR간격(ventricular rate)이나 PP(atricular rate)간격으로 파악함으로써 쉽게 측정. (정상범위 60 - 100 /min)
1) 계산방법
① 300분(1분간의 큰 네모칸수 : 60초/0.2초)을 PP간격 혹은 RR사이의 큰 네모칸의 수로 나 눈 것
ex) 2개의 큰 네모칸이 있다면? ⇒ 300/2=150회/분(1분간의 심박동수)
ex) 네모칸이 3개면 100회/분, 4개면 75회/분, 5개이면 60회/분
② 표식이용: 심전도 용지에 3초마다 표시되어 있는 표식을 이용하여 6초간의 QRS군을 세어 10배하면 1분간의 심박수
ex) 6초동안 10개의 QRS파가 생기면? ⇒ 10*10=100회/분
③ RR간격이용: 60나누기 RR간격
ex) PP 혹은 RR간격의 사이에 있는 네모 칸이 2개라면?
⇒ 60초/0.2초 *2 = 150회/분
ex) PP 혹은 RR간격의 사이에 있는 네모 칸이 3개라면?
⇒ 60초/0.2초 *3 = 100회/분
ex) PP 혹은 RR간격의 사이에 있는 네모 칸이 4개라면?
⇒ 60초/0.2초 *4 = 75회/분
※ 참고문헌
김옥현 외 4명 공저 (2005) , 중환자 통합 실습교육, 정담미디어 (p.55~68)
저자 : 온영근 교수 (2008), 의료인을 위한 ECG, 도서출판 의학서원 (p.10~27)
STS 통합교육Ⅱ 순환기계 프린트물
http://diagnosis.hallym.ac.kr
http://www.clinic-clinic.com
수평축이 시간(초)과 거리(mm)를 나타내며 수직축은 전압으로 나타냄.
수평 : 시간 - EKG종이는 1초에 25mm움직이므로 작은 눈금 한칸(1mm = 0.04초)
수직 : 전압 (1mm = 0.1mmV)
(3) 기본파형과 간격
구성: P wave, QRS wave, T wave, U wave
심장근육에 전기적 흐름이 없을 때는 일직선으로 짧게 나타남
1) P파 (P wave)
- 동방결절에서 나온 전기적 충격이 심방으로 퍼져 좌우심방의 탈분극(depolarization)으로 인해 나타남.
- P파의 첫부분은 우심방 탈분극, 뒷부분은 좌심방의 탈분극을 의미(심방의 탈분극 : 심방수 축)
- 정상지속시간 : 0.11초 미만
- 모양: 완만하고 둥글며, 진폭은 2~3mm를 넘지 않음
2) PR 간격 (PR Interval)
- P파의 시작부터 QRS의 시작까지: 동방결절에서 나온 자극이 심방을 자극한 뒤 방실결절을 거쳐 심실 수축 직전에 있음을 뜻함.
- 심방탈분극에서 심실탈분극 직전까지.
- 심방에서 심실로 흥분이 전달되어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
- 정상시간 : 0.12 - 0.2초 (3 - 5칸)
* 0.20초 이상 지연 : 방실결절의 전도장애
* 0.12초 보다 짧으면 : 심방수축 자극이 동방결절이 아닌 심방의 하부나 방실결절에서 시작 되었음을 의미.
3) QRS군 (QRS complex)
- His bundle에서 좌우각을 통하여 Purkinje fibers로 진행되는 전기충격으로 좌우심실이 탈분극될때 나타나는 파형.
- 심실의 탈분극 : 심실수축
- 정상시간 : 0.06~0.1초
* 0.12초 이상 : 심실 내 전도장애, 각 차단 심실 부정맥
* 0.12초 지연 : His 줄기의 한쪽가지가 차단(His 줄기의 좌각이나 우각의 전도장애, Bundle branch block), 심실 수축자극이 동방결절이 아닌 심실 내의 어느 세포에서 시작 됨을 의미
- 모양: 일반적으로 좁고 뾰족한 R파를 보임.
4) ST 분절
- QRS 군의 끝에서부터 시작하여 T wave의 시작점까지.
- 심실근육이 수축을 끝내고 휴식을 취하는 초기에 나타나고 AMI시 상승
5) T파 (T wave)
- 심실의 재분극 (repolarization) 상태이며, 심실수축후의 회복기이며 항상 QRS군 뒤에 나 옴.
- 기간: 0.1~0.25초
- 모양: 보통 넓고 완만.
- 심실수축 후의 전기적 회복이 비정상시 T파는 편평하거나 거꾸로 됨.
6) QT 간격(QT interval)
- 전기적 심실수축시간
- QRS군 시작에서 T파 끝
- 심실의 탈분극, 재분극이 전체 지속시간
- 정상시간 : 0.30~0.45초
7) U파 (U wave)
- 퍼킨제 섬유의 느린 재분극
- 뚜렷한 U파 : 서맥, 저칼륨혈증
8) RR 간격 (RR interval)
- 한 R wave의 정점에서 다음 R wave의 정점까지로 심장주기를 나타냄.
(4) 심전도 판독순서
1) Step 1 : 리듬을 확인한다.
2) Step 2 : 심박동수(heart rate)를 계산한다.
① 10-times method : 심박동수가 불규칙적일 때
- 6초 간격에 해당하는 큰 칸 수 30개(60초/0.2초=300)를 센다.
- 그 안에 들어 있는 R파를 센다.
- 그 숫자에다 10을 곱한다.
② 1,500 method
- 심박동수=1500/RR 간격 내의 작은 칸의 수(1분에 해당하는 그래프용지의 작은 칸 수가 모두 1,500개이므로)
③ sequence method : 300-150-100-75-60-50
3) Step 3 : P파를 평가한다.
① P파가 있는가?
② P파가 정상 형태인가?
③ 모든 P파가 같은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는가?
④ 모든 QRS파 앞에 P파가 한 개씩 있는가?
4) Step 4 : PR 간격을 평가한다.
① PR 간격의 기간이 정상 범위(0.12~0.20초) 안에 있는가?
② PR 간격이 일정한가?
5) Step 5 : QRS파를 평가한다.
① QRS파 기간이 정상 범위(0.06~0.12초) 안에 속하는가?
② 모든 QRS파의 크기와 모양이 같은가?
③ 모든 P파 뒤에 QRS파가 있는가?
6) Step 6 : T파를 평가한다.
① T파가 있는가?
② 모든 T파가 정상 진폭을 가지는가?
③ T파가 QRS파와 같은 방향인가?
7) Step 7 : QT간격을 평가한다.
① QT 간격이 정상범위(0.36~0.44초) 안에 있는가?
8) Step 8 : 다른 구성 요소를 평가한다.
① ST 분절이 정상인가?
② U파가 있는가?
(5) 심전도상 심박동수 측정
심전도 그래프상의 RR간격(ventricular rate)이나 PP(atricular rate)간격으로 파악함으로써 쉽게 측정. (정상범위 60 - 100 /min)
1) 계산방법
① 300분(1분간의 큰 네모칸수 : 60초/0.2초)을 PP간격 혹은 RR사이의 큰 네모칸의 수로 나 눈 것
ex) 2개의 큰 네모칸이 있다면? ⇒ 300/2=150회/분(1분간의 심박동수)
ex) 네모칸이 3개면 100회/분, 4개면 75회/분, 5개이면 60회/분
② 표식이용: 심전도 용지에 3초마다 표시되어 있는 표식을 이용하여 6초간의 QRS군을 세어 10배하면 1분간의 심박수
ex) 6초동안 10개의 QRS파가 생기면? ⇒ 10*10=100회/분
③ RR간격이용: 60나누기 RR간격
ex) PP 혹은 RR간격의 사이에 있는 네모 칸이 2개라면?
⇒ 60초/0.2초 *2 = 150회/분
ex) PP 혹은 RR간격의 사이에 있는 네모 칸이 3개라면?
⇒ 60초/0.2초 *3 = 100회/분
ex) PP 혹은 RR간격의 사이에 있는 네모 칸이 4개라면?
⇒ 60초/0.2초 *4 = 75회/분
※ 참고문헌
김옥현 외 4명 공저 (2005) , 중환자 통합 실습교육, 정담미디어 (p.55~68)
저자 : 온영근 교수 (2008), 의료인을 위한 ECG, 도서출판 의학서원 (p.10~27)
STS 통합교육Ⅱ 순환기계 프린트물
http://diagnosis.hallym.ac.kr
http://www.clinic-clin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