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하며
2. 리메이크란?
2, 일본음악 리메이크의 이유와 현황
3. 일본음악 리메이크의 문제점
4. 앞으로의 전망
5. 마지막으로
*참고자료
2. 리메이크란?
2, 일본음악 리메이크의 이유와 현황
3. 일본음악 리메이크의 문제점
4. 앞으로의 전망
5. 마지막으로
*참고자료
본문내용
라는 것이다.
리메이크 음악에 대한 평가는 지금까지도 엇갈리고 있다. 또 다른 창작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안이한 장삿속이라는 비판이 팽팽하다. 그러나 가수가 새로운 음악으로 대중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지고 있는 환경이 음반시장의 리메이크 붐의 원인 이라는 의견도 무시할 수 없다. 그리고 그렇게 음반시장은 서서히 붕괴되어 왔다.
그리고 음반 제작사들은 수입에 대한 안정성이 있으니까 리메이크를 한다고 하지만 요즘 사람들의 반응은 이제 지겨우니 그만 하라는 게 대부분이다.
또한 계속되는 리메이크 붐으로 인해 일본 노래 리메이크 곡을 우리나라곡이라고 듣던 사람이 일본인에게 그 곡을 우리나라 인기가요라고 소개했다가 나중에 리메이크인 줄 알고 창피를 당했다는 얘기는 더 이상 가볍게 웃을 수 있을만한 농담이 아니게 된 것이다.
자랑스럽게 우리 가요라고 소개할 수 있는 곡이 줄어들고 한 물 지나간 외국의 인기곡을 듣는 것이 과연 우리나라 가요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음반 제작사들이 창작은 외면한 채 지금과 같이 상업성만을 생각해 계속 일본음악의 리메이크를 한다면 멀리 봤을 때 우리나라 근본적인 한국음악의 성장에는 발목을 잡는 꼴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도 일본음악을 듣는 사람이지만 리메이크를 허용해주는 일본기업의 심리도 잘 생각할 필요가 있다. 나카시마 미카의 라이센스 앨범 판매량에서 보여주듯 일본 음반사는 리메이크가 많이 될 수록 원곡을 부른 일본 가수의 판매량도 올라가고 시장 침투도 쉬워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이대로 계속 리메이크를 한다면 로열티에 판매량까지 일본기업 배 불려주기만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우리 가요계야 싼 값에 실패확률이 낮은 앨범을 만들 수 있겠지만 그 후폭풍은 전혀 생각하고 있지 않아 아쉽기만 하다.
넘쳐나는 리메이크 곡들 속에 창작곡은 없는 음반시장.. 외국인에게도 자랑스럽게 우리나라의 가요라고 소개할 수 있는 곡들이 늘어날 수 있도록 눈앞에 이익을 따르기 전에 먼 미래를 볼 수 있는 우리 대중문화가 되었으면 한다.
*참고자료
* 주간한국 2004-04-03 (배국남 기자)
* 연합뉴스 2006-05-12 (신기원 기자)
* 머니투데이 2005-05-05 (정형석 기자)
* 헤럴드경제 2006-03-24 (유진룡 문화관광부 차관)
* 한터정보시스템 - http://www.hanteo.com
* 와우뮤직 - http://www.wawmusic.com
리메이크 음악에 대한 평가는 지금까지도 엇갈리고 있다. 또 다른 창작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안이한 장삿속이라는 비판이 팽팽하다. 그러나 가수가 새로운 음악으로 대중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지고 있는 환경이 음반시장의 리메이크 붐의 원인 이라는 의견도 무시할 수 없다. 그리고 그렇게 음반시장은 서서히 붕괴되어 왔다.
그리고 음반 제작사들은 수입에 대한 안정성이 있으니까 리메이크를 한다고 하지만 요즘 사람들의 반응은 이제 지겨우니 그만 하라는 게 대부분이다.
또한 계속되는 리메이크 붐으로 인해 일본 노래 리메이크 곡을 우리나라곡이라고 듣던 사람이 일본인에게 그 곡을 우리나라 인기가요라고 소개했다가 나중에 리메이크인 줄 알고 창피를 당했다는 얘기는 더 이상 가볍게 웃을 수 있을만한 농담이 아니게 된 것이다.
자랑스럽게 우리 가요라고 소개할 수 있는 곡이 줄어들고 한 물 지나간 외국의 인기곡을 듣는 것이 과연 우리나라 가요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음반 제작사들이 창작은 외면한 채 지금과 같이 상업성만을 생각해 계속 일본음악의 리메이크를 한다면 멀리 봤을 때 우리나라 근본적인 한국음악의 성장에는 발목을 잡는 꼴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도 일본음악을 듣는 사람이지만 리메이크를 허용해주는 일본기업의 심리도 잘 생각할 필요가 있다. 나카시마 미카의 라이센스 앨범 판매량에서 보여주듯 일본 음반사는 리메이크가 많이 될 수록 원곡을 부른 일본 가수의 판매량도 올라가고 시장 침투도 쉬워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이대로 계속 리메이크를 한다면 로열티에 판매량까지 일본기업 배 불려주기만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우리 가요계야 싼 값에 실패확률이 낮은 앨범을 만들 수 있겠지만 그 후폭풍은 전혀 생각하고 있지 않아 아쉽기만 하다.
넘쳐나는 리메이크 곡들 속에 창작곡은 없는 음반시장.. 외국인에게도 자랑스럽게 우리나라의 가요라고 소개할 수 있는 곡들이 늘어날 수 있도록 눈앞에 이익을 따르기 전에 먼 미래를 볼 수 있는 우리 대중문화가 되었으면 한다.
*참고자료
* 주간한국 2004-04-03 (배국남 기자)
* 연합뉴스 2006-05-12 (신기원 기자)
* 머니투데이 2005-05-05 (정형석 기자)
* 헤럴드경제 2006-03-24 (유진룡 문화관광부 차관)
* 한터정보시스템 - http://www.hanteo.com
* 와우뮤직 - http://www.wawmusic.com
추천자료
카지노가 국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정선지역을 중심으로)
교겐(狂言)에 대하여
이광수 장편소설 무정
평생학습사회에서의 고등교육의 변화
[보아]가 창출해낸 한류열풍의 문화 산업적으로 분석
세계의 축제문화와 음주문화
한류열풍의 성과와 최근 문제점 해결방안
대중가요와 방송프로그램에서의 표절실태와 문제점
한국 애니메이션의 실태와 전망
친일파, 그들에 대한 새로운 시선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의 개념과 특성,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의 현실과 장점, 저작권 집중관리제...
현원 모비블루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성공적인 경영전략...
[언어지도] 전래동요의 정의, 전래동요의 의의, 전래동요의 유아교육적 가치, 한국 전래동요...
한류열풍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