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대중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대중문화 [大衆文化]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이는 단지 유치하기만 한 글자변형이 아닌, 좀더 수준있고 해학적이며 기발한 변형이다. 뜻에 맞는 말을 한자에서 찾아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가 하면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옛 우리말을 찾아 재조명하고 새로운 개념을 부여하는 창조, 재조명, 재해석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단지 일부 군에 국한되어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더욱 확장되어 이미 널리 퍼져 대중문화의 일부가 된 단어도 있다.
예를 몇가지 들어보겠다.
‘눈물이 글썽거린다’라는 표현을 할때 쑥스러운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약간은 장난기가 있지만 쑥쓰러운 느낌없이 이야기 하고 싶을 때 안습이라는 말을 쓴다. 안습이 뭘까? 안구에 습기찬다. 는 뜻이다. 언뜻보면 장난같지만 새로운 표현을 뜻글자를 통해 조합해 만든 굉장히 참신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말이었지만 새로 들어온 외국어중에 ‘매니아’라는 말이 있다. 관심분야에 대해 열광적인 관심을 갖고 소비하고 배우려고 하는 사람 이란 뜻이다. 일본어로는 ‘오타쿠’라고 하기도 한다. 이 개념에 대한 우리말을 붙인 것이 통(通)이다. 어느 분야에 통달했다, 도 통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는 원래 우리나라에 없던 개념을 기존에 있던 단어에 새롭게 부여한 것이다.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대중문화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다. 나는 이 현상이 대중문화 속에서의 언어의 진화라고 생각한다. 아직 이 현상이 진화가 될 것인지 단순한 은어, 속어가 될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확실한 것은 대중문화 속에서 대중들이 쓰고 만드는 말들은 생명을 얻으며, 점점 약해지고 잊혀져가는 한국어에 활력을 넣어주고 있다는 것이다.
3. 결론
이로써 한국어가 대중문화에, 대중문화가 한국어에 끼치는 영향, 상호 역할을 살펴보았다. 활력 있는 한국어는 또다시 새로운 대중문화의 생성의 큰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한국어의 도움으로 다시 대중문화는 더욱 대중적이고 생산적인 문화가 될 것이다. 이를 반복하면서 한국어와 대중문화는 더욱 과학적인 언어, 더욱 생산적인 문화로 상호 발전해 나갈 것이다. 나는 한국어를 사랑한다. 우리의 국민성을 대표하고 이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부드러운, 포용력 있는 인간적인 그런 언어라고 생각한다. 이런 우수한 언어를 더욱 아끼고 대중문화와 연결시켜 발전시켜간다면 한국어는 세계적 언어로 성장해 나갈 것이고 우리의 대중문화 또한 세계 일류문화로 발전할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1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