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스젠더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성의 정의
1.3. 트렌스젠데의 올바른 정의

2. 본론
2.1. 트렌스젠더의 배경
2.1.1. 트렌스젠더의 역사
2.1.2. 트렌스젠더의 원인
2.2. 트렌스젠더의 생활
2.2.1. 성전환 수술 전과 후의 변화
2.2.2. 트렌스젠더의 사회생활
2.3. 트렌스젠더와 사회
2.3.1. 사회가 트렌스젠더에게 바라는 것
2.3.2. 트렌스젠더가 사회에 바라는 것
2.4. 트렌스젠더의 자료분석과 해석
2.4.1. 자료분석
2.4.2. 해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을 떠올려 달다는 것이다. 절룩거리며 살아왔을 그 장애인의 힘겨운 삶을 떠올리듯이 평범하게 태어나지 못한 사람들에게 최소한 손가락질은 하지 마라는 것이다. 그들은 항상 외로움과 고통 속에서 살아왔다. 그런 그들에게 사회의 이런 태도는 더 큰 소외감과 절망을 가져올 것이다. 때문에 그들은 그냥 무관심을 바라고 있다. 갑자기 다가와 여자냐, 남자냐 하는 질문은 피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남자고 여자인 우리들에게는 너무도 간단한 질문이지만, 트렌스젠더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질문일 테니까 말이다. 하지만 그들이 또한 바라는 것은 관심이다. 이 말은 그 무관심 또한 관심이 있지 않고서는 해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그들에 대한 지식 없이 섣불리 어느 곳에서는 그들의 얘기를 꺼내 편견을 갖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2.4 트렌스젠더에 대한 자료 분석과 해석
2.4.1 자료분석
평범한 남성은 충분한 남성호르몬의 공급으로 남자의 목소리를 가지고, 남자의 근육을 가지고, 생식을 할만한 정자의 수를 가지게 되며, 그러한 남성들은 자기 자신을 남성으로 느끼고 여성에게 끌리기 되며, 여성의 옷을 입거나, 여성으로 '성을 바꾸는데' 공포심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는 사회적으로, 혹은 신체적으로 자신의 성에 맞는 직업을 가지고 아버지나, 남편으로서 삶을 살아가며, 그러한 삶들은 법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한번도 의문이 제기되지 않은 것이다. 유전자적으로 정상적인 여성의 모습은 그와 반대일 것이다. 그녀는 여성처럼 보이며 행동하고 기능을 하며, 평범하게 결혼을 하고 아이들을 갖고 그 이상의 것들을 바라지 않는다. 남성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 옷을 입고 화장을 하며 그녀의 성 또한 사회적으로 법적으로 결코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다소간 완벽해 보이는 성의 조화가 바로 정상적인 규칙인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정상적인 조화와 반대되는 혼돈이 적지 않게 발생하게 될지도 모르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우리의 인습과 우리의 법체제는 본질적으로, 생래적으로 자신의 성에 부조화를 이르고 있는 그들을 이해하지도 않으며, 그냥 내버려두지도 않는다. 그러한 사람들은 너무나도 죄인이 된 듯한 취급을 받으며, 사람들에게서 사회에서 배척을 당하게 된다. 그들이 바로 트렌스젠더와 트렌스베스타잇, 유사환관증자, 동성애자, 양성애자, 그리고 다른 모든 종류의 성과 관련된 이상자들인 것이다. 거의 드문 경우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사회라는 거대한 체제에 맞서서, 혹독한 전통과 사상에 맞서서, 그들 중 몇몇은 특히 트렌스젠더들은 자신의 성을 바꾸는 일에 성공하여 현 사회가 부인하고 있는 행복의 의미를 어느 정도 찾아가고 있다. 우리들의 성은 실수라는 것이 없어야 한다. 그것은 그들 자신이 얼마나 비논리적이든, 얼마나 많은 위선을 그들이 이야기하든, 관습과 법에 완벽하게 일치하여 자신의 성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2.4.2 해석
성적 소수자인 트렌스젠더를 조사하고 정리해 나가면서 그들이 우리와 함께 사회를 구성하는 한 일원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사회엔 성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어린 시선이 대부분인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자. 우리 주변의 친구가 항상 내가 원하는 모습과 성격으로 있을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과 함께 손을 잡고 살아가고 있다. 마찬가지로 성적 소수자들이 상처를 받고 힘들어함에도 불구하고 사회를 향해 내민 손을 우리는 또 다른 모습의 친구라고 생각하며 함께 잡고 나아가야 할 것이다. 게다가 그들은 그 어떤 다른 사람들 보다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친구들에게서 가족들에게서 버림받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우리와 다른 별종이 아닌 단지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살아가는데 남자냐, 여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모두 같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이상 그들을 사회의 한 구석으로 몰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생각하는 작은 틀 속에 그들을 가둬둘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각에서부터 그들을 꺼내어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해야한다. 그래서 함께 사회를 구성하며 살아야 한다.
3. 결론
이번 논문을 통해 트렌스젠더의 정확한 용어와 그들이 겪고 있는 현실에 대해 정리하고 그들이 우리와 같은 사회 일원임을 강조하였다. 트렌스젠더는 Transvestite나 동성애자와는 다른 선천적으로 타고난 자신의 육체의 성과, 정신의 성이 지향하는 바가 일치하지 않는 성 정체성 혼란의 일종이다. 때문에 그들은 Transvestite처럼 외모만 바꿈으로서 만족을 한다든지, 동성애자처럼 같은 동성을 좋아함으로써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이 잘못된 성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들은 많은 고통과 시간을 들여 자신에게 맞는 성으로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다음에 올 소외감과 고통은 그 이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들은 고통 속에서 자유를 찾아낸 평범하지 못하고 힘겹게 살아 온 사람들이다. 이제 우리는 그들을 같은 인간으로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친구로서 인식하고 이 사회를 구성하며 살아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는 아직 젊고 어리기 때문에 기성세대가 가지고 있는 보수적인 생각을 좀 버리고 그들을 바라본다면 그들은 좀 더 넓은 세상으로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외국 사회처럼 성적 소수자들을 보호해 주는 사회적 여건이 필요하고, 무엇보다도 교육여건이 필요하겠다. 앞에서 잠깐 서술한 것처럼 트렌스젠더 중 대부분이 중, 고등학교시절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소외당하여 학교를 나와 생활하다가 더 세상밖 어두운 곳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우리의 작은 관심과 평범하지 못한 그들의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4. 참고문헌
① http://www.kimbee.net/2frame.htm
② Harry Benjamin, Transsexualism
③ 두산 Encyber
④ http://my.netian.com/~eddyyy/
⑤ hankooki.com [속보, 사회] 2002.12.13 (금)
⑥ http://www.puchonnews.co.kr/med/medical342-2.htm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1.1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