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양육스트레스
1) 스트레스란
2) 가족스트레스
3) 양육스트레스 척도
2. 성격적응유형
1) 적응
2) 이론적 배경
3) 성격적응모델
4) Ware와 Vann Joines의 성격적응모델 비교
5) 성격적응유형의 근원
6) 성격적응유형의 질과 묘사
7) 성격적응유형에 따른 문제해결태도와 타인과의 관계
8) 개입 방법

Ⅲ. 연구결과 및 분석
1. 일반 사항
2. 양육스트레스 정도
3.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의 신뢰도
4. 각 성격적응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1) 반사회성적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2) 히스테리성적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3) 강박 -신경증적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4) 수동-공격성적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5) 편집성적 성격적유형과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6) 정신분열성적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것이다
6) 정신분열성적 성격적응유형과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정신분열성적 성격적응유형이 총 양육스트레스(.469*)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 상호작용(.674**)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다루기 힘든 아동(.104)과는 무시할 만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 유형의 경우 문제해결태도는 수동적이며,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철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 유형의 특질은 철수하는 수동성 과잉 민감 등을 보이므로 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사업가가 가장 많은 개입을 요하는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스트레스의 요인을 파악하고 그것에 어떻게 적응하는가에 대한 방식을 사정하여 전문적인 개입을 해야 할 것이다
IV. 결론 및 제언
1. 일반 사항
본 연구는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 내관 해서 접수 상담한 아동의 모 중에서 18케이스를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전반적으로 일반 사항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검사 대상자의 특성은 우리 나라의 중년 여성이고, 중산층에 속하는 수입 정도, 학력 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아동의 장애 정도는 일반 장애아동을 대변할 수 있는 수준이다.
2. 양육스트레스 정도
총 양육스트레스는 102.17이 나왔다. 이것은 양육스트레스 채점 상 90 이상이면 개입이(p.62)필요한 경우로 볼 때 이번 대상자들의 양육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수준임을 나타낸다. 또한 각 영역(모성 자존심, 부모-자녀 상호작용, 다루기 힘든 아동)의 스트레스 또한 고르게 높은 것으로 비추어 보아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한 케이스임을 시사한다. 그리고 18케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해 본 결과, 성격적응유형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 .6457이며, 양육스트레스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 .6596이다.
일반적으로 Cronbach Alpha계수는 .60 이상이면 최소한의 신뢰성은 확보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정충영, 최이규,1996), 본 연구에 쓰인 검사지들의 신뢰성은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전반적으로 강박-신경증적 성격적응유형과 히스테리성적 성격적응유형은 양육스트레스를 비교적 덜 받는 것(부적 상관관계)으로 조사되었으나, 편집성적 성격적응유형은 모성 자존심으로부터 발생되는 양육스트레스를, 정신분열성적 성격적응유형은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에서 오는 양육스트레스와 총 양육스트레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성격유형의 스트레스 상의 문제해결태도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박-신경증적 성격적응유형이나 히스테리성적 성격적응유형의 경우, 스트레스 상에서 문제해결태도에 능동적인 입장을 취하는데 비해서, 나머지 4가지 성격적응유형은 문제해결태도에 있어서 수동적인 입장을 취한다.
특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편집성적 성격적응유형과 정신분열성적 성격적응유형의 경우는 스트레스시 타인과의 관계 또한 철수(Withdrawal)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 유형의 스트레스시 문제해결태도와 타인과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이 목표라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성격적응유형에 따른 개입차원에 대한사례연구, 성격적응유형에 따른 교류분석의 제 이론을 이용한 상담사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류분석의 성격적응유형으로 상담하고자 하는 사회사업가(상담가)들이 장애아동을 둔 母와의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인 개입을 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 제 언
1)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모만을 연구한 단일 실험 연구이다. 좀더 의미있는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정상아동을 둔 母와의 연구를 통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2) 구체전인 사례 적용을 통한 개입의 효과성을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성격적응유형은 각 성격적응유형마다 행동(Behavior), 사고(Thinking), 감정(Feeling) 차원으로의 개입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성격적응유형은 교류분석의 제 이론을 기반으로 되어 있는 이론이므로 제 이론과의 계속적인 연계 속의 연구가 필요하다.
3) 장애아동을 둔 모의 양육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일반 스트레스 또는 그 외의 스트레tm(가족스트레스, 직장스트레스 등)의 관계 연구도 가치 있는 연구가 되리라 본다.
참고문헌
김규수 ·류태보, 교류분석치료, 형설출판사, 1993.
박종삼, "성격적응 모델", 한국교류분석임상연구회 자료집, 1997.
서혜영,"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991.
손광훈, "발달장애아 가족 사정 도구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1996.
우재현, 심성 개발을 위한 교류분석 프로그램, 정암서원, 1992.
우재현·김홍용 공역, 심리적 게임, 정암서원, 1993.
유수현, "임상사회사업분야에서 스트레스 관리 기법의 활용",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윤수영, "자폐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전순영, "신체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과 아동의 일상생활동작 의존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최보금,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황수관 외, 아이 엠 파인(I am Fine) - 스트레스를 이기는 48가지 지혜, 건생, 1998
제6회 학술대회 "유능한 어린이(Competent Children)로 키우기" 자료집, 삼성복지재단삼성어린이 개발센터, 1998.
Eric Berne, M. D. Beyond Games and Scripts New York : Ballantine Books Press, 1981.
Ian Stewart, Vann Joines, TA Today : A New Introduction to
Transactional Analysis, Nottingham and Chapel Hill Lifespace Publishing, 1987.
  • 가격2,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1.17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