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들어가기 전에...
본론
2. 영화에서의 비현실성
2.1 비현실성의 정의
2.2 영화 용어로서의 비현실성과 일상생활에서의 비현실성
3. 영화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비현실성과 그에 대한 생각들
3.1 멜로 드라마(멜로 영화)
3.1.1 영화 속의 비현실성
3.1.2 한번쯤 바라는 환상들
3.2 액션
3.2.1 영화 속의 비현실성
3.2.1 감정 이입으로서 느껴지는 생각들
3.3 그 외의 영화 ( 드라마, 코미디, 스릴러...)
결론
♠참고 사이트 및 자료출처
1.들어가기 전에...
본론
2. 영화에서의 비현실성
2.1 비현실성의 정의
2.2 영화 용어로서의 비현실성과 일상생활에서의 비현실성
3. 영화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비현실성과 그에 대한 생각들
3.1 멜로 드라마(멜로 영화)
3.1.1 영화 속의 비현실성
3.1.2 한번쯤 바라는 환상들
3.2 액션
3.2.1 영화 속의 비현실성
3.2.1 감정 이입으로서 느껴지는 생각들
3.3 그 외의 영화 ( 드라마, 코미디, 스릴러...)
결론
♠참고 사이트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서 느끼는 감정들을 그대로 받아 들이게된다. 특히, 액션영화에서는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우선, 선악으로 나뉘어진 인물설정이 이런 현상을 나타나게 되는데, 관객은 영화를 보면서 영웅심리를 느끼게 된다. 또한 이 장르는 남성주의 문화를 대변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관객들이 영화를 보면서 우정, 의리 등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 이 영화를 보고 난 후, 관객들은 하나같이 허무주의에 빠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 영화의 현실과는 너무나 동떨어진 스토리라는 것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장르는 관객이 쉽게 영화를 즐길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기에 부담이 없다.
3.3 그 외의 영화 (드라마, 코미디, 스릴러...)
그 외의 영화의 종류로는 드라마, 코미디, 스릴러, 다큐멘터리 등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각각의 영화들은 서로 장르에 있으면서도 같은 주제를 나타내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사회풍자, 대리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영화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1.대리만족
지체아 영화를 다룬 영화 포레스트 검프(Forrest Gump, 미국, 1994) 나 빈미가 출신의 천재 주인공이 마음을 열어 가는 과정을 그린 굿윌헌팅(Good Will Hunting, 미국, 1997)을 보게 되면 우리는 저절로 마음속으로 주인공들과 동화가 되어간다.
포레스트검프(Forrest Gump)
줄거리
하얀 깃털이 하늘을 둥둥 떠다닌다. 내려앉을 듯 말 듯하다가 바람에 날려 또 떠다니다가 포레스트 검프의 발 아래에 내려앉는다. 포레스트는 그걸 집어서 책 사이에 끼어 둔다. 영화는 이렇게 시작된다. 포레스트는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옆에 있는 사람들에게 자기의 살아온 얘기를 들려달라고 하지도 않았지만 어렸을 적의 일부터 하나씩 들려준다.
옆에 있는 사람들은 잡지를 보거나 못 믿겠다는 표정을 짓기도 하고 웃어넘기기도 한다. 포레스트의 어머니는 포레스트에게 종종 이런 말씀을 하시곤 했다."인생은 한 상자의 초콜릿과 같은 거야. 어떤 초콜릿이 걸릴지 모르거든.." 포레스트는 이런 얘기를 들려준다."인생은 정말 운명 지워져 있는 건지도 모르고 바람에 둥둥 떠다니는 건지도 모르겠어."라고... 포레스트 검프는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마주칠 수 있는 IQ75에 불과한 저능아이다.
어머니의 끈질긴 교육열 덕분에 보통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 들어갈 수 있게 된 그는 많은 아이들의 따돌림 속에서도 제니 라는 친절하지만 아버지에게 폭행 당해 왔다는 불우한 과거를 가진 소녀를 만난다.
달리는 것만은 누구보다도 자신 있는 포레스트는 우연치 않게 미식축구 선수가 되어 대학도 들어가게 되고, 대통령을 만나는 영광도 얻는다. 그리고 월남전에 참전해 전쟁 영웅이 되기도 하고, 탁구선수가 되어 중국에도 가며, 군에서 사귄 흑인 친구의 유언에 따라 새우잡이 어선사장이 되어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물질적인 성공과 명예에 요란스런 주위 사람들과는 달리 포레스트는 단지 작은 하나의 꿈이 있을 뿐이다. 자신이 너무나도 사랑하는 제니와 결혼하는 것....
이런 영화들을 보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사회적 약자 편에 서게 된다. 그리고 우리보다 못한 그들이 꿋꿋하게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을 보면서, 스스로를 반성을 하게되고, 주인공들의 성공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낀다. 이는 우리의 삶에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주는데 그런 점에서 대리만족은 긍정적이지만, 현실의 대한 불만족을 느낄 수가 있다.
2.사회풍자
언론의 횡포를 코믹하게 그려낸 영화 트루먼 쇼(Truman Show, 미국, 1998)나 경찰의 부정부패를 현실감 있게 그려낸 투캅스(강우석 감독 作)를 보게 되면, 사회 문제를 감독이 영화에 빗댄 것을 알 수 있다.
트루먼 쇼(Truman Show)
줄거리
조그만 섬 도시에서 보험회사 세일즈맨으로 일하고 있는 트루먼 버뱅크(짐 캐리 분)는 평범한 미국인이다. 캠퍼스 커플로 만난 아내 메릴과 홀어머니를 모시며 사는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와 함께 요트를 타던 중 아버지의 익사를 목격한 이후 생긴 극심한 물 공포증 때문에 한번도 고향 섬을 떠난 적이 없다. 어느 날 홀연히 사라진 첫사랑에 대한 가슴 아린 기억을 평생의 짐으로 끌며 살아가는 그에게 낯선 일들이 생기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실제로 트루먼은 220개국의 시청자가 지켜보는 24시간 생중계 된 TV쇼의 주인공이다. 자신만 모르고 있었을 뿐 그는 유명한 스타이다. 그가 사랑하는 아내도, 20년 이상 된 절친한 친구도, 아버지도, 어머니라 믿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단지 연기자일 뿐인 것이다.
이 모든 사실을 알게 된 트루먼은 섬을 탈출해 자신이 그토록 그리워하던 첫사랑이 떠난 곳, 피지 섬으로 향하는데...
현재 사회문제로 발생한 언론의 횡포를 제시함으로서 사회를 풍자함은 관객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현 세계를 냉소적으로 묘사한 영화는 우리에게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만 들게 한다. 따라서 사회에 대해 비판만 할뿐이지 좋은 면을 바라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4. 마치고 나서...
영화는 어쩌면 현실에서 모티프를 찾는 다 하더라도, 관객이 감독 또는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기 쉽도록 손질되는 과정이 있다. 이것이 영화의 특징이라고 생각되는데, 작가의 허구(fiction)로 만들어진 비현실적이 장면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를 보면서 관객이 느끼는 ‘저런 일이 어딨어’ 라는 생각은 당연하다. 하지만, 영화 자체가 우리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을 주제로 삼고 있어, 이러한 생각들을 하면서 영화의 매력에 빠지는 듯 하다.
그러므로 영화의 비현실성을 가지고 우리는 ‘말도 안돼’라는 생각보다는 ‘감독이 왜 저런 설정을 하였지’ ‘어떤 의도로 영화를 이끌어 나가는 거지’라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영화를 바라봐야 한다. 그래 야지 우리들은 영화의 비현실적 장면을 이해하지 않을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면서 마무리하겠다.
♠참고 사이트 및 자료 출처
한국영상자료원(http://www.koreafilm.or.kr/)
엔키노.
씨네21 .
3.3 그 외의 영화 (드라마, 코미디, 스릴러...)
그 외의 영화의 종류로는 드라마, 코미디, 스릴러, 다큐멘터리 등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각각의 영화들은 서로 장르에 있으면서도 같은 주제를 나타내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사회풍자, 대리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영화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1.대리만족
지체아 영화를 다룬 영화 포레스트 검프(Forrest Gump, 미국, 1994) 나 빈미가 출신의 천재 주인공이 마음을 열어 가는 과정을 그린 굿윌헌팅(Good Will Hunting, 미국, 1997)을 보게 되면 우리는 저절로 마음속으로 주인공들과 동화가 되어간다.
포레스트검프(Forrest Gump)
줄거리
하얀 깃털이 하늘을 둥둥 떠다닌다. 내려앉을 듯 말 듯하다가 바람에 날려 또 떠다니다가 포레스트 검프의 발 아래에 내려앉는다. 포레스트는 그걸 집어서 책 사이에 끼어 둔다. 영화는 이렇게 시작된다. 포레스트는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옆에 있는 사람들에게 자기의 살아온 얘기를 들려달라고 하지도 않았지만 어렸을 적의 일부터 하나씩 들려준다.
옆에 있는 사람들은 잡지를 보거나 못 믿겠다는 표정을 짓기도 하고 웃어넘기기도 한다. 포레스트의 어머니는 포레스트에게 종종 이런 말씀을 하시곤 했다."인생은 한 상자의 초콜릿과 같은 거야. 어떤 초콜릿이 걸릴지 모르거든.." 포레스트는 이런 얘기를 들려준다."인생은 정말 운명 지워져 있는 건지도 모르고 바람에 둥둥 떠다니는 건지도 모르겠어."라고... 포레스트 검프는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마주칠 수 있는 IQ75에 불과한 저능아이다.
어머니의 끈질긴 교육열 덕분에 보통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 들어갈 수 있게 된 그는 많은 아이들의 따돌림 속에서도 제니 라는 친절하지만 아버지에게 폭행 당해 왔다는 불우한 과거를 가진 소녀를 만난다.
달리는 것만은 누구보다도 자신 있는 포레스트는 우연치 않게 미식축구 선수가 되어 대학도 들어가게 되고, 대통령을 만나는 영광도 얻는다. 그리고 월남전에 참전해 전쟁 영웅이 되기도 하고, 탁구선수가 되어 중국에도 가며, 군에서 사귄 흑인 친구의 유언에 따라 새우잡이 어선사장이 되어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물질적인 성공과 명예에 요란스런 주위 사람들과는 달리 포레스트는 단지 작은 하나의 꿈이 있을 뿐이다. 자신이 너무나도 사랑하는 제니와 결혼하는 것....
이런 영화들을 보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사회적 약자 편에 서게 된다. 그리고 우리보다 못한 그들이 꿋꿋하게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을 보면서, 스스로를 반성을 하게되고, 주인공들의 성공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낀다. 이는 우리의 삶에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주는데 그런 점에서 대리만족은 긍정적이지만, 현실의 대한 불만족을 느낄 수가 있다.
2.사회풍자
언론의 횡포를 코믹하게 그려낸 영화 트루먼 쇼(Truman Show, 미국, 1998)나 경찰의 부정부패를 현실감 있게 그려낸 투캅스(강우석 감독 作)를 보게 되면, 사회 문제를 감독이 영화에 빗댄 것을 알 수 있다.
트루먼 쇼(Truman Show)
줄거리
조그만 섬 도시에서 보험회사 세일즈맨으로 일하고 있는 트루먼 버뱅크(짐 캐리 분)는 평범한 미국인이다. 캠퍼스 커플로 만난 아내 메릴과 홀어머니를 모시며 사는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와 함께 요트를 타던 중 아버지의 익사를 목격한 이후 생긴 극심한 물 공포증 때문에 한번도 고향 섬을 떠난 적이 없다. 어느 날 홀연히 사라진 첫사랑에 대한 가슴 아린 기억을 평생의 짐으로 끌며 살아가는 그에게 낯선 일들이 생기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실제로 트루먼은 220개국의 시청자가 지켜보는 24시간 생중계 된 TV쇼의 주인공이다. 자신만 모르고 있었을 뿐 그는 유명한 스타이다. 그가 사랑하는 아내도, 20년 이상 된 절친한 친구도, 아버지도, 어머니라 믿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단지 연기자일 뿐인 것이다.
이 모든 사실을 알게 된 트루먼은 섬을 탈출해 자신이 그토록 그리워하던 첫사랑이 떠난 곳, 피지 섬으로 향하는데...
현재 사회문제로 발생한 언론의 횡포를 제시함으로서 사회를 풍자함은 관객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현 세계를 냉소적으로 묘사한 영화는 우리에게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만 들게 한다. 따라서 사회에 대해 비판만 할뿐이지 좋은 면을 바라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4. 마치고 나서...
영화는 어쩌면 현실에서 모티프를 찾는 다 하더라도, 관객이 감독 또는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기 쉽도록 손질되는 과정이 있다. 이것이 영화의 특징이라고 생각되는데, 작가의 허구(fiction)로 만들어진 비현실적이 장면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를 보면서 관객이 느끼는 ‘저런 일이 어딨어’ 라는 생각은 당연하다. 하지만, 영화 자체가 우리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을 주제로 삼고 있어, 이러한 생각들을 하면서 영화의 매력에 빠지는 듯 하다.
그러므로 영화의 비현실성을 가지고 우리는 ‘말도 안돼’라는 생각보다는 ‘감독이 왜 저런 설정을 하였지’ ‘어떤 의도로 영화를 이끌어 나가는 거지’라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영화를 바라봐야 한다. 그래 야지 우리들은 영화의 비현실적 장면을 이해하지 않을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면서 마무리하겠다.
♠참고 사이트 및 자료 출처
한국영상자료원(http://www.koreafilm.or.kr/)
엔키노
씨네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