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회사의 경영에 관한 것이든지 하는 것들을 세밀하게 따지고 이것을 어떻게 문제 삼아서 어떤 방향으로 끌어갈 것인지 하는 것들이 고민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요금 인하 운동은 사실 재벌의 시장 독점을 막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을 텐데, 그러한 목적 하에서 지나가는 사람들한테 ‘시장을 재벌이 독점하는 것은 문제 있으니까 재벌의 시장독점규제를 위한 법을 만드는 데에 서명하십시오.’ 라고 한다면 아마 아무도 서명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전략적인 차원에서 가장 사람들에게 주의를 끌 수 있는 ‘핸드폰 요금 내립시다.’ 라는 식의 운동방향을 선택한 것이죠. 여기까지의 배경은 이겁니다. 시민단체는 힘이 없어요. 여기(시민단체)에 입법권이 있는 것도 아니고, 사법권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데에서 힘을 갖는 다는 것은 한국사회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의 내용이 정당하고, 그것에 호응하는 사람들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회사의 경영상태나, 혹은 법적인 것, 이런 것들을 꼼꼼하게 짚어나가고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는 것이고, 결국 이 부분은 역시 그 쪽 영역에서 있는 사람들, 그 분야에 나름의 전문성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해 줄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런 사람들이 바로 전문영역의 자원활동가라고 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일들을 이들 전문가들 혼자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근자들과 같이 하는 것이죠. 함께 이러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그것들을 이슈화할 방법들을 생각해 보는 것이죠. 이 부분과 관련해서 또 자주 일어나는 오해가 있는데, ‘그렇다면 참여연대는 전문가라고 얘기되는 몇 사람들의 입김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는가’ 하는 질문이 그것이죠. 그런 것들은 사실상 조직 내에서 철저하게 제한됩니다. 절대 그런 식으로 결정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각 하위부서 자체에서도 하향식으로 의견이 전달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고, 또 여러 가지 회의(-위에서 말씀드린 간부회의, 상집등)를 통해서 이러한 의견들이 조율되고 걸러지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때로는 중요한 사안들에 있어서 결정과 행동이 늦어지는 부분도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말입니다.
일반영역의 자원활동은 여러 가지 자료정리, 자료 수집이라든지, 번역이라든지 하는 상근자가 혼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업무등을 맡아 도와주시고 계십니다. 이런 활동들은 사실 낱낱으로 보면 매우 사소해 보이지만 크게 보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양이죠. 이런 것들을 일반 자원활동가들이 해주시는 겁니다.
그리고 상근자들이 하는 일은 무엇이고 하면, 앞에서 말씀드린 전문영역의 자원활동가와 함께 사안에 대한 분석과 판단을 하고 이슈를 잡아내고 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이런 내용들을 어떤 방법을 통해서,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할 것인가 하는 것들을 센터(상근자들이 일하는)등에서 구상을 하겠죠. 그리고 이런 방법들에 있어, ‘집회가 필요하다’ 하면 사람을 모으는 것이 필요할 것이고, ‘소송을 걸어야 한다’고 하면 이런 쪽의 변호사들의 힘을 끌어와야 할 것이고 할 텐데, 바로 이때 이런 조종자의 역할들을 상근자들이 하는 것입니다. 방법을 찾아내고 그러한 루트에 필요한 자원을 모으고, 또 실행하고, 그리고 이런 것들이 모두 끝나면 평가하고.... 하는 이 일련의 일들을 상근자가 하는 것입니다.
회원들이 하는 일은 크게 두 가지 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나는 재정을 지원해 주는 일입니다. 참여연대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을 만큼 회원들의 회비로만 운영을 하고 있는 형태인데요, 정부를 상대로든, 기업을 상대로든 이렇게 당당하게 일을 해나가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이 사실 재정적인 부분입니다. 어떤 조직이든지, 어떤 제도든지 재정적인 것들이 확보되면 그것은 이미 70-80%이상 성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재정을 회원들이 책임지고 있는 것이죠. 회원들이 하는 또 다른 일은 바로 참여연대의 행동에 대한 지지행위입니다. 예컨대, 내가 누구한테 무엇을 따지러 갈 때 저 사람이 좀 힘도 세고, 말도 잘하고 하면 혼자 갔을 때 위축되겠죠. 하지만 친구들 10명 정도랑 같이 가면 이 친구들 10명이 가서 아무소리도 안한다고 할지라도 그것 자체로 힘이 되죠. 마찬가지입니다. 참여연대에서 ‘세상을 바꾸자’는 목적으로 가려는데 여기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그 자체로 바로 힘이 되는 거죠. 그 역할을 회원들이 해주시는 겁니다.
덧붙여 말씀드리면, 자원활동가라고 해서 모두 회원인 것은 아닙니다. 회원인 자원활동가도 있고, 비회원인 자원활동가도 있습니다. 그리고 회워들도 역시 자원활동을 하시는 분들도 있고 하지 않으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주로 일상적인 자기 일과 때문에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각 단체들의 조직 구성도
1.YMCA
2.참여연대
3. 환경정의 시민연대
4.한국여성민우회
총 회
이 사 회
공 동 대 표
중 앙 위 원 회
서울남서여성민우회, 서울동북여성민우회, 고양여성민우회, 군포여성민우회, 김포여성민우회, 원주여성민우회, 진주여성민우회, 춘천여성민우회, 광주여성민우회, 인천여성민우회, 서울남부지역모임
부설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부설 가족과성상담소
상임집행위원회
지역위원회
사무처장
사
무
처
사무국
(회원지부조직, 교육, 정보, 홍보
재정기획, 회계,
행정, 보험)
여성환경센터
미디어
운동본부
여성노동센터
고용평등추진본부
참고문헌
♠시민사회단체,21세기의 희망인가? 「김광식 저」 2008.동명사
♠참여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시민사회포럼중앙일보시민사회연구소 저」 2008. 도서출판 아르케
♠정부와 NGO간의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임승빈 저」한국 행정연구원 2008
♠NGO란 무엇인가「김동춘조희연주성수차명제김수현정태석 공저」2008.도서출판 아르케
♠한국의 시민사회 현실과 유토피아 사이에서 「김호기」2008. 도서출판 아르케
참고사이트
♥YMCA: www.ymca.or.kr
♥참여연대:peoplepower21.org
♥환경정의 시민연대: www.ecojustice.or.kr
♥한국 여성 민우회: www.womenlink.or.kr
물론 이러한 일들을 이들 전문가들 혼자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근자들과 같이 하는 것이죠. 함께 이러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그것들을 이슈화할 방법들을 생각해 보는 것이죠. 이 부분과 관련해서 또 자주 일어나는 오해가 있는데, ‘그렇다면 참여연대는 전문가라고 얘기되는 몇 사람들의 입김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는가’ 하는 질문이 그것이죠. 그런 것들은 사실상 조직 내에서 철저하게 제한됩니다. 절대 그런 식으로 결정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각 하위부서 자체에서도 하향식으로 의견이 전달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고, 또 여러 가지 회의(-위에서 말씀드린 간부회의, 상집등)를 통해서 이러한 의견들이 조율되고 걸러지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때로는 중요한 사안들에 있어서 결정과 행동이 늦어지는 부분도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말입니다.
일반영역의 자원활동은 여러 가지 자료정리, 자료 수집이라든지, 번역이라든지 하는 상근자가 혼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업무등을 맡아 도와주시고 계십니다. 이런 활동들은 사실 낱낱으로 보면 매우 사소해 보이지만 크게 보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양이죠. 이런 것들을 일반 자원활동가들이 해주시는 겁니다.
그리고 상근자들이 하는 일은 무엇이고 하면, 앞에서 말씀드린 전문영역의 자원활동가와 함께 사안에 대한 분석과 판단을 하고 이슈를 잡아내고 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이런 내용들을 어떤 방법을 통해서,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할 것인가 하는 것들을 센터(상근자들이 일하는)등에서 구상을 하겠죠. 그리고 이런 방법들에 있어, ‘집회가 필요하다’ 하면 사람을 모으는 것이 필요할 것이고, ‘소송을 걸어야 한다’고 하면 이런 쪽의 변호사들의 힘을 끌어와야 할 것이고 할 텐데, 바로 이때 이런 조종자의 역할들을 상근자들이 하는 것입니다. 방법을 찾아내고 그러한 루트에 필요한 자원을 모으고, 또 실행하고, 그리고 이런 것들이 모두 끝나면 평가하고.... 하는 이 일련의 일들을 상근자가 하는 것입니다.
회원들이 하는 일은 크게 두 가지 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나는 재정을 지원해 주는 일입니다. 참여연대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을 만큼 회원들의 회비로만 운영을 하고 있는 형태인데요, 정부를 상대로든, 기업을 상대로든 이렇게 당당하게 일을 해나가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이 사실 재정적인 부분입니다. 어떤 조직이든지, 어떤 제도든지 재정적인 것들이 확보되면 그것은 이미 70-80%이상 성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재정을 회원들이 책임지고 있는 것이죠. 회원들이 하는 또 다른 일은 바로 참여연대의 행동에 대한 지지행위입니다. 예컨대, 내가 누구한테 무엇을 따지러 갈 때 저 사람이 좀 힘도 세고, 말도 잘하고 하면 혼자 갔을 때 위축되겠죠. 하지만 친구들 10명 정도랑 같이 가면 이 친구들 10명이 가서 아무소리도 안한다고 할지라도 그것 자체로 힘이 되죠. 마찬가지입니다. 참여연대에서 ‘세상을 바꾸자’는 목적으로 가려는데 여기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그 자체로 바로 힘이 되는 거죠. 그 역할을 회원들이 해주시는 겁니다.
덧붙여 말씀드리면, 자원활동가라고 해서 모두 회원인 것은 아닙니다. 회원인 자원활동가도 있고, 비회원인 자원활동가도 있습니다. 그리고 회워들도 역시 자원활동을 하시는 분들도 있고 하지 않으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주로 일상적인 자기 일과 때문에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각 단체들의 조직 구성도
1.YMCA
2.참여연대
3. 환경정의 시민연대
4.한국여성민우회
총 회
이 사 회
공 동 대 표
중 앙 위 원 회
서울남서여성민우회, 서울동북여성민우회, 고양여성민우회, 군포여성민우회, 김포여성민우회, 원주여성민우회, 진주여성민우회, 춘천여성민우회, 광주여성민우회, 인천여성민우회, 서울남부지역모임
부설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부설 가족과성상담소
상임집행위원회
지역위원회
사무처장
사
무
처
사무국
(회원지부조직, 교육, 정보, 홍보
재정기획, 회계,
행정, 보험)
여성환경센터
미디어
운동본부
여성노동센터
고용평등추진본부
참고문헌
♠시민사회단체,21세기의 희망인가? 「김광식 저」 2008.동명사
♠참여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시민사회포럼중앙일보시민사회연구소 저」 2008. 도서출판 아르케
♠정부와 NGO간의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임승빈 저」한국 행정연구원 2008
♠NGO란 무엇인가「김동춘조희연주성수차명제김수현정태석 공저」2008.도서출판 아르케
♠한국의 시민사회 현실과 유토피아 사이에서 「김호기」2008. 도서출판 아르케
참고사이트
♥YMCA: www.ymca.or.kr
♥참여연대:peoplepower21.org
♥환경정의 시민연대: www.ecojustice.or.kr
♥한국 여성 민우회: www.womenlink.or.kr
추천자료
한국 시민운동의 당면과제
주거와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생각
한국의 시민운동
[무][巫][무속][무속신앙][무가][무가의 연구][여성성][서정성]무(巫, 무속, 무속신앙)의 정...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정의,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특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환경, ...
[한옥][한옥 특징][한옥 상징성][한옥 구성공간][한옥 재료][환경][풍수지리][한옥 관련 제언...
여성장애에 정의와 원인 및 종류와 해결방안 조사분석 33
행동주의 학습이론 사회적학습이론 인간주의학습이론 비교, 여성복지 정의에 의한 양
413총선(16대 총선, 국회의원선거)의 공정성, 413총선(16대 총선, 국회의원선거)과 여성의원,...
[생명과 환경 공통] 원자력발전의 대안에 대해서 생각해보시오 {원자력발전 정의와 위험인식,...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여성들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나타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정의, 해외의...
연대순으로 살펴보는 이촌동 주거 환경의 변천 과정
[인간행동과사회환경]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의 정책대상이 결혼이민자 여성 개인에 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