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의 쿠바의 현재 쿠바의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개념정의
1.3. 연구의미
1.4. 연구방법

2. 체 게바라가 추구한 쿠바의 모습
2.1. 체 게바라의 정치적 사상에 영향을 준 것.
2.2. 체 게바라의 쿠바 혁명과정.
2.3. 지도자로서 체 게바라

3. 체 게바라가 추구한 쿠바와 현재 쿠바와의 비교 분석 그리고 쿠바의 미래
3.1. 현재 쿠바와 체 게바라가 추구한 쿠바와의 공통점
3.2. 현재 쿠바와 체 게바라가 추구한 쿠바와의 차이점
3.3. 쿠바의 미래.

4. 결론
4.1. 우리시대의 완전한 인간상, 체 게바라 (총을 든 예수)
4.2. 쿠바의 올바른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엇일까?
체 게바라가 혁명적 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구현한 전례 없는 인물이라고 생각한 프랑스의 철학가 ‘잘 폴 사르트르’는 “우리 동시대의 가장 완전한 인간” 이라 하였다. 이 철학가는 체 게바라를 신화적 존재로 만들어 준 요소로 혁명의 이름으로 수행된 헌신을 꼽았다. 준엄하게 모든 사적인 관계와 욕구, 심지어 육체적 욕구까지 완전히 혁명에 복속시킨 그의 금욕적인 생활 태도는 이러한 심상에 부합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경향은 계속해서 심화되어 갔다. 이렇게 체 게바라는 의지력, 혁명적 윤리와 규율 따위를 참된 혁명적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열쇠로 여겼다.
그가 유일하게 혁명에 성공한 나라가 쿠바고, 쿠바혁명을 통해 그는 우리에게 불가능한 꿈이 실현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가 바라던 쿠바의 사회주의는 지금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회주의체제와는 많이 다르다. 체 게바라가 바라던 사회주의체제에서 필수적으로 성립되어야할 ‘자발적 노동’은 체 게바라와 같은 이상적인 인간에게 가능한 이념 이었다. 결론적으로 그는 사람이라는 존재를 무조건적으로 믿었던 것이다. 마치 예수그리스도가 사람을 무조건 적으로 믿었고 그 때문에 십자가에 못 박 혀 죽었던 겉처럼 체 게바라도 인간을 맹신했기 때문에 결국 자신이 꿈꿔오던 이상적인 이념들을 실현하지 못 하고 젊은 나이에 죽음으로써 그 만의 전설을 완성하게 되었다.
4.2. 쿠바의 올바른 방향
현재 쿠바는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사회주의체제에서 실용주의 노선을 엿보고 있다. 쿠바는 이미 자본주의의 약점을 충분이 경험했기에 더 신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들이 숭배하는 인물이 체라고 해서 그가 추구한 사회주의사상을 따를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그의 사상 중 한 가지는 꼭 명심해야 한다. 그는 정책을 정할 때 항상 민중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윤리적 입장을 고수했다. 이것은 특히 현대의 관료들에게 결여된 필수적인 요소이다.
시회의 변화는 그 사회구성원들의 고통을 수반 한다. 그것은 피할 수 없고,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더 큰 사회적 고통을 요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사회변화에 대한 적절치 못한 대처로 일본으로부터의 침략이라는 뼈아픈 역사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쿠바는 중국을 유심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쿠바보다 조금 앞서서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체제변화를 준비 중 이다. 쿠바의 수장 라울 카스트로는 중국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 변화는 기회이다. 체 게바라는 그 기회를 인간에 대한 맹신으로 잃어 버렸고, 피델 카스트로는 적절치 못한 대응으로 잃어 버렸다.
이제는 라울 카스트로의 차례이다. 그는 분명히 다르다. 아직까지는 달랐다. 하지만 이제 시작이다.
체 게바라의 사회에 대한 헌신과 피델 카스트로의 불굴의 추진력을 본받아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하면 라울 카스트로의 쿠바는 올바른 방향으로 순항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박현우, 체 게바라식 경영, 디지털머니캡, 2001.
슈테판 라렘, 체 게바라, 인물과 사상사, 2005.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BF%A0%EB%B0%94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82%AC%ED%9A%8C%EC%A3%BC%EC%9D%98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B2%B4_%EA%B2%8C%EB%B0%94%EB%9D%BC
장 코르미에, 체 게바라 평전, 실천문학사, 2005.
체 게바라, 호르스트 에카르트 그로스 편 선집 단행본들 AW(에르네스토 체 게바라 저작의 약칭), 6권, Bonn 1990 이후.
체 게바라, 호르스트 에카르트 그로스 편 선집 단행본들 AW(체 게바라 저작의 약칭), 2권, Bonn 1990 이후.
체 게바라, LA latinoamericana. Tagebuch einer Motorradreise 1951/52, Koln 1994.
체 게바라, James, Daniel, 제8판, Munchen 2002.
김상옥, 변화 속 쿠바, ‘중국식 사회주의’ 모색?, 뉴스타운, 2008년 6월 28일.
서기열, 쿠바 ‘자본수의 색’ 짙어지다, 한국경제, 2008년 6월 12일.
이인구, 중남이 지역의 게릴라전, 2004년 8월.
쿠바(Republic of Cuba), 해외경제연구소 국별조사실, 2006년 7월.
윤지로, [세계는 지금]쿠바에 ‘풀뿌리 민주화 운동’싹튼다, 세계일보.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1.19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