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 1P
2본론 ☐☐☐☐☐☐☐☐☐☐☐ 2-6P
SNP란무엇인가?
SNP를 개발하기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
SNP의 응용
SNP 분석법
SNP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SNP 개발 과정
3결론 ☐☐☐☐☐☐☐☐☐☐☐ 6P
2본론 ☐☐☐☐☐☐☐☐☐☐☐ 2-6P
SNP란무엇인가?
SNP를 개발하기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
SNP의 응용
SNP 분석법
SNP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SNP 개발 과정
3결론 ☐☐☐☐☐☐☐☐☐☐☐ 6P
본문내용
말까지 완성하여 발표하게될 rough-draft human genome sequence를 reference로 이용하는 것이다. SNP는 상대적으로 짧지만 고도의 정확성을 갖는 genomic- sequence를 이 reference에 비교하여 동정하게 된다. 즉, rough-draft sequence가 유래한 개인집단과는 다른 개인집단들에서 유래한 locally-constructed genomic-plasmid library로부터 짧지만 정확한 염기서열을 얻고 SNP는 이들 짧은 서열의 sequence-comparison방법으로 찾게다는 것이다. 이는 앞서의 여러 방법들의 장점을 공유하는 approach로써 원하는 정도의 밀도와 분포를 갖는 SNP library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SNP 개발 과정
1) SNP를 보유하고 있는 DNA 염기서열을 얻는다.
2) SNP를 포함하는 DNA부위(STS)를 amplify하기 위한 PCR assay를 개발한다.
3) sequencing 및 DNA chip기술등을 이용하여 SNP를 동정한다.
4) SNP를 게놈상의 유일한 위치에 mapping한다.
5) SNP의 allele frequency를 결정한다.
6) SNP에 대한 genotyping assay를 개발한다.
3。결론
지금까지 SNP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SNP, 또는 유전적 차이가 인간의 다양성을 모두 설명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흔히 어떤 형질이 유전적인지 환경적인지를 알아보는 데에 쌍둥이 연구가 이용된다. 일란성 쌍둥이라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나면 다른 점이 많이 생기는데 이것이 환경의 요인이다. 아무리 선천적으로 머리가 좋아도 공부하지 않으면 좋은 성적을 얻기가 어렵고 다소 떨어지는 지능능력을 가지고 있어도 후천적 노력에 의하여 이를 극복하는 예는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영양이 좋지 못하면 키가 클 수 있는 유전적 소인을 모두 발휘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은 특히 질환 발생과 연관하여 좀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당뇨에 취약한 유전적인 소인을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적절하게 환경적인 요인을 조절하면 유전적 요인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유전적인 소인이 상당 부분 개인의 여러 형질에 영향을 미치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환경적인 소인 역시 유전적인 소인에 못지않은 영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타고나는 유전적 소인은 바꿀 수 없지만 우리가 특정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사전에 알 수 있다면 그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고 설사 해당 질환이 걸렸더라도 개인별로 어떤 약물이 잘 치료가 되는지 알 수 있다면 (약물 유전학, pharmacogenomics) 이에 대한 치료나 관리를 환자의 유전적 소양에 따라 달리함으로 보다 나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서론 1P
2본론 2-6P
SNP란무엇인가?
SNP를 개발하기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
SNP의 응용
SNP 분석법
SNP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SNP 개발 과정
3결론 6P
★ SNP 개발 과정
1) SNP를 보유하고 있는 DNA 염기서열을 얻는다.
2) SNP를 포함하는 DNA부위(STS)를 amplify하기 위한 PCR assay를 개발한다.
3) sequencing 및 DNA chip기술등을 이용하여 SNP를 동정한다.
4) SNP를 게놈상의 유일한 위치에 mapping한다.
5) SNP의 allele frequency를 결정한다.
6) SNP에 대한 genotyping assay를 개발한다.
3。결론
지금까지 SNP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SNP, 또는 유전적 차이가 인간의 다양성을 모두 설명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흔히 어떤 형질이 유전적인지 환경적인지를 알아보는 데에 쌍둥이 연구가 이용된다. 일란성 쌍둥이라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나면 다른 점이 많이 생기는데 이것이 환경의 요인이다. 아무리 선천적으로 머리가 좋아도 공부하지 않으면 좋은 성적을 얻기가 어렵고 다소 떨어지는 지능능력을 가지고 있어도 후천적 노력에 의하여 이를 극복하는 예는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영양이 좋지 못하면 키가 클 수 있는 유전적 소인을 모두 발휘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은 특히 질환 발생과 연관하여 좀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당뇨에 취약한 유전적인 소인을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적절하게 환경적인 요인을 조절하면 유전적 요인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유전적인 소인이 상당 부분 개인의 여러 형질에 영향을 미치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환경적인 소인 역시 유전적인 소인에 못지않은 영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타고나는 유전적 소인은 바꿀 수 없지만 우리가 특정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사전에 알 수 있다면 그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고 설사 해당 질환이 걸렸더라도 개인별로 어떤 약물이 잘 치료가 되는지 알 수 있다면 (약물 유전학, pharmacogenomics) 이에 대한 치료나 관리를 환자의 유전적 소양에 따라 달리함으로 보다 나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서론 1P
2본론 2-6P
SNP란무엇인가?
SNP를 개발하기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
SNP의 응용
SNP 분석법
SNP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SNP 개발 과정
3결론 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