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에서 바라본 인본주의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1 인본주의란 무엇인가?
1. 2 시대에 따른 인본주의
1. 3 동양에서의 인본주의

2. 진화론의 모태 인본주의
2. 1 진화론의 모태 인본주의

3. 대중문화 속의 인본주의 사상
3. 1 뉴에이지 문화
3. 2 영화속에 나타나는 인본주의 사상

4. 인본주의와 종교
4. 1 기독교에서 인본주의 사상이란

5. 맺는 말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터 프로그래머로 등장하는 네오는 모피어스에 의해 기계와 싸워 인류를 구할 오직 한 사람으로 선택된다.
<영화 ‘매트릭스’>
<영화 ‘트리플 엑스’>
영화 트리플엑스 마지막 장면에서는 주인공이 마지막 미션을 수행하러 가는 과정에서 여러 장면들이 스쳐 지나간다. 웅장한 음악과 함께 주인공의 비장한 마음을 잘 나타내지만 중간에 스쳐지나가는 예수님의 동상은 마치 주인공 인간이 인류뿐만 아니라 신을 대변한다는 느낌마저 든다.
영화속에서 비추어지는 인본주의 사상은 대부분 선택되어진 한명이 세계를 구원하고 나아가 전 인류까지 구원한다는 식이다. 이러한 영화들은 기독교인들에게는 당연히 박해를 받을 수밖에 없다.
4. 인본주의와 종교
4. 1 기독교에서 인본주의 사상이란
뉴에이지 사상뿐만 아니라 뉴에이지 문화 자체에 대해서도 기독교인들은 냉소적이고 신랄한 비판을 한다. 어느 경우 대중문화 자체를 뉴에이지 문화로 여기기도 한다. 유일신을 섬기는 기독교에서 이러한 인본주의 사상이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오직 하나님 한분만을 통해서 구원을 받는다는 기독교의 기본 교리에서는 인본주의가 박해를 받을 수밖에 없는 사실이다. 기독교가 가지고 있는 배타성은 오늘날 기독교가 전 세계적인 종교로 성장하는 주된 요인이다. 기독교는 배타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교리를 통해 정통과 이단이라는 개념으로 구분하려는 노력을 계속 해 왔다.
<십계명>의 첫 번째 계명에도 ‘나 이외의 다른 신은 섬기지 말라’라는 것처럼 기독교의 유일신 체계는 확고하다.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뉴에이지 사상이란 마치 그것을 우상처럼 믿고 맹신하는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비판을 받는 것이다. 사후세계에 대한 반대적 견해를 나타내는 뉴에이지 사상은 기독교와 대립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다.
5. 맺는 말
뉴에이지 속 인본주의 사상은 오늘날 음악, 영화, 대중매체 등 대중문화를 통해서 우리에게 아무렇지도 않게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마치 이것들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고 있다. TV가 바보상자라는 말이 있듯이 대중문화는 사람들의 사상을 어느순간부터 지배하고 있으며 쏟아지는 매체들 속에서 기독교인들은 신앙적으로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대중문화를 무조건적으로 맹신하기 보다는 좀 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바라봐야 할 것이다.
참고사이트
1. 가톨릭신문, 박영호 기자(기사입력일 : 2002-11-10)
2. 다음 백과사전<인본주의>
3. 야후 백과사전<인본주의>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2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