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편익분석사례-대구지하철1호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사업의 개요

2)분석 내용과 배경

3)목적

4)비용편익의 분석 과정

5)분석 방법 및 분석 기준

6)비용 - 편익 분석의 산정

7)대구 지하철 1호선의 비용-편익 분석

8)대구 지하철의 경제적 타당성

9)사례평가

본문내용

715000
9109327000
-11774388000
2015
19849710000
8298442000
-11551268000
2016
18868563000
7511143000
-11357420000
2017
17937492000
6812372000
-11125120000
<연도별 대구광역시 지하철사업의 비용과 편익>
◎순 현재가치(Net present Value:NPV)
▶비용과 편익을 기준년도의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총편익에서 총비용을 제한 값으로 정의 값을 가지는 사업은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년도별 순편익의 흐름을 합산하여 현재가치를 측정
NPV=+++‥ ‥
= : 할인율=>12%
NPV = PVCI(현금 유입의 현재가치) - PVCO(현금 유출의 현재 가치)
= 2,774,098,161 - 16,109,375,087
= - 13,335,276,926
◎편익비용비율
▶비용과 편익을 기준년도의 현재가치로 할인한 총편익과 총비용의 비율로서 그 값이 “1”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다고 평가한다.
B / C = PVCI / PVCO
= 2,774,098,161 / 16,109,375,087
= 0.172203959
◎내부수익률
▶투자사업의 전 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편익의 현재가치와 비용의 현재가치를 일치시켜 순현재가치가 0이 되게 하는 할인율로 내부수익률로 내부수익률이 사회적 할인율보다 크면 그 사업은 경제성이 있다고 평가한다.
-내부 수익률을 계산하려면 한 개 이상의 양수와 음수 값을 포함해야 한다.
내부수익률의 경우 평가기간 중 단 한 해도 편익과 비용의 차이가 양수로 나온 적이 없으므로 내부수익률을 구할 수가 없었다.
8)대구 지하철의 경제적 타당성
지하철 1호선에 대한 비용편익분석 결과,
순 현재가치(NPV)는 - 13,335,276,926 원으로 나타났으며, 편익비용비(B/C)는 0.172203959 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자면, 대구광역시 지하철 1호선 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사례평가
-1998년을 기준, 대구시 총부채액 19,600억원에 대하여 지하철 관련 부채는 11,776억원으로 총부채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이 나온 것은 당초 예상했던 수요보다 실제 수요가 많이 줄었고, 운영비 또한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커졌기 때문이다.
이 결과는 지하철 건설 등과 같은 사업에 정확한 수요 예측이 필수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2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7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