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산사태 사례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의 산사태 사례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조사의 배경 1
1.1 조사의 배경 1
1.2 사례조사 1
1.3 중점 조사사례 선정 1
제 2 장 La Conchita, California 2
2.1 지리적 위치 2
2.2 산사태 이력 3
제 3 장 La Conchita 산사태 4
3.1 1995년 산사태 4
3.2 2005년 산사태 8
3.3 La Conchita 산사태의 비교 분석 11
제 4 장 La Conchita 산사태의 교훈 12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조치가 취해진 구조물에는 피해가 미발생
발생원인
이렇게 많은 인명피해 및 시설물 파괴를 일으킨 2005년의 산사태 원인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산사태는 2005년 남부 캘리포니아에 내린 15일간의 기록적인 집중호우의 끝 무렵에 발생햇는데 이 기간 La Conchita에서 20km 떨어진 Ventura 2004년 10월 1일에서 2005년 1월 10일까지 내린 비의 양은 493mm로 이 기간 평년 강우량은 122mm 였다. 2004년 12월 27일부터 2005년 1월 10일까지의 강우량은 378mm로 이양은 평균 년간 전체 강우량 390mm에 조금 못 미치는 많은 양이다.
비록 강우강도는 세지 않았지만(보통~높은) 2주간의 계속되는 비로 인해 결국 산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Ventura 지역의 일강우량 분포표
피해 상황
과업구간의 피해상황을 보여주는 현장 사진은 다음과 같다.
Photo by Mark Reid, U.S. Geological Survey
http://www.opl.ucsb.edu/grace/lc/lc10.html
A damaged house, La Conchita, California landslide of 2005 (photo by Randy Jibson, USGS)
Downslope towards the toe of the 2005 La Conchita Landslide, California (photo by Randy Jibson)
3.3 La Conchita 산사태의 비교 분석
La Conchita에서 1995년 및 2005년에 각각 발생한 산사태의 차이점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생형태
1995년 산사태의 경우 파괴가 깊은 Earth flow 형태의 산사태이나, 2005년의 경우 1995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얕은파괴로 Debris flow의 형태로 발생하여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1995년의 산사태는 사태 발생 후 붕괴물의 이동속도가 느려서 이동 토괴에 의한 구조물의 파괴는 피할수 없었지만 사람들은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인명피해는 막을 수가 있었다. 그렇지만, 2005년의 경우 이동속도가 최소 5m/s로 속도에 따른 산사태의 구분(WP/WLI, 1994)에 의하면 최고등급의 산사태로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빨라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하였다.
발생원인
2건의 산사태는 모두 비가 직접적인 원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1995년 산사태의 경우 1월달의 우기를 벗어나고 1개월이 지나서 발생하였으나, 2005년의 경우 2주간의 누적강우의 영향으로 긴 강우의 직후에 파괴가 일어났다는 차이가 있다.
피해 상황
1995년 산사태는 인명피해는 없으나, 가옥 14채가 피해를 입었으며, 2005년의 경우 파괴면적은 더 작으나 인명피해 사망10명, 부상 14명 가옥 15채 파괴 및 16채 피해로 더 큰 인명 및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도 아래의 Los Angeles Times의 2010년 12월 22일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소규모 산사태의 발생가능성은 존재하며 행정당국에서도 산사태 발생가능성에 대해 꾸준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Los Angeles Times의 2010년 12월 22일 기사
제4장 La Conchita 산사태의 교훈
미국 La Conchita에서 1995년과 2005년 각각 발생한 산사태에 대하여 발생형태, 발생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피해상황을 살펴보았다.
특히 La Conchita 산사태의 경우 1995년 발생한 지점에서 다시 산사태가 발생했다는 점은 우리나라의 지형적 현황 및 공사관행을 고려 할 때 우리에게 시사 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산악지형이 많아 여름철 집중 호우 및 폭풍우에 의해 많은 산사태가 발생하여 인명손실 및 복구비용에 많은 지출이 이루어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산사태 발생후 응급복구 및 영구적인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금회 La Conchita 산사태 사례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1995년의 산사태 발생상황에서 알 수 있듯이 비정상적인 집중강우 이후에 파괴가 즉시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상 강우 후에는 반드시 주의를 기울이고 안전점검에 힘쓴다.
한번 산사태가 발생한 지점이라도 다시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집중호우 또는 오랜기간의 강우로 인한 누적강우량에 주의를 가지고 현장을 살펴보아야 하며 국내의 기상현황에 적합한 기준을 제정하여 이상 강우시 위험사면 점검에 대한 실무 매뉴얼 작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사후 정밀한 지질 및 지반 조사를 실시하고 파괴의 원인을 분석하고 영구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사면 안정화 공법을 적극 검토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사태의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지역은 상시 무선 계측 시스템을 설치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의 결과는 인근 주민들에게 즉시 전달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참고문헌
1. 사면붕괴의 유형별 원인과 저감대책 연구,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2002.12
2. Landslide Hazards at La Conchita, California, Randall W. Jibson, 2005
3. http://www.tuat.ac.jp/~sabo/lj/ljap0.htm
4. http://www.opl.ucsb.edu/grace/lc/index.html
5. http://landslides.usgs.gov/learning/photos/
6. http://landslides.usgs.gov/recent/events/laconchita/
7. http://maps.google.co.kr/maps?hl=ko&tab=wl
8. http://latimesblogs.latimes.com/lanow/2010/12/geologist-says-small-la-conchita-landslide
-will-likely-move-further-evacuation-orders-remain-for-4-homes.html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11.06
  • 저작시기2017.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4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