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명하는데 있어서 너무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신학용어나 인물들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그리고 개혁의 가능성을 주장하면서 그 당시의 상황들 특히 카톨릭의 종교행위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하며 필요한 부분에 까지 반대할 수 있는 사상을 갖게 함으로 극단적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이것을 읽는 사람들의 이해도에 있어서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너무 많은 예를 통하여 주제의 방향성을 잃게 할 수도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경건한 소원의 책을 통하여 신앙의 바른 목적을 갖게 하며 현재의 신앙상태의 충고와 개선을 통하여 진정한 하나님의 지도자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게 전달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하여 우리의 삶에서 잘못된 부분을 고쳐나가며 신앙을 바로 잡아 나갈 수 있는 지침서가 되고 있다.
하지만 경건한 소원의 책을 통하여 신앙의 바른 목적을 갖게 하며 현재의 신앙상태의 충고와 개선을 통하여 진정한 하나님의 지도자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게 전달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하여 우리의 삶에서 잘못된 부분을 고쳐나가며 신앙을 바로 잡아 나갈 수 있는 지침서가 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