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영적 대각성 (미국의 대각성 운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2차 대각성 운동은 대략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차 영적 대각성 (미국의 대각성 운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2차 대각성 운동은 대략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미국의 대각성 운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제 2차 대각성 운동은 대략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결론

본문내용

켄터키 및 테네시와 남부 오하이오는 3년간에 교회에 출석하는 사람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것이 교파교회들이 성장하는 일에 기초가 되었다. 주로 침례교와 감리교가 이러한 발전에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장로교 목사들 가운데는 이에 반발하여 이들이 많았다. 따라서 장로교의 교세 증가는 이 시기부터 둔화되었다.
부흥 운동의 또 하나의 결과는 대립과 분열이 조장된 일이었다. 그 가운데서도 장로교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미국 장로교는 위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부흥 운동에 냉담한 “구파”와 부흥운동에 참여한 “신파”로 분열 되었으며 회중교회는 이에 상응하는 “올드 라이츠”와 “뉴라이츠”로 분열하였다. 미국 장로교는 1741년에 분열 되었다가 11758년에 다시 연합하였으며, 그 후 회중교회와의 연합문제를 두고 장로교회는 다시금 1838년에 “구학파”와 “신학파”로 나뉘어졌다가 북쪽에서는 1870년에 다시 연합하였다. 김영재 『기독교 교회사』(서울: 이레서원, 2001) p. 638.
결론
제2차 각성 운동의 여파로 종파 운동들이 일어났음도 유의할 만한 일이다. 완전한 성화를 주장함과 동시에 회심한 그리스도인들은 “제2의 축복”을 받을 수 있고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완전주의 계시록을 극히 주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을 강조하는 천년왕국을 강조하는 천년왕국 신앙, 모든 인류의 궁극적인 구원을 강조하는 만인 구원론, 새로운 계시를 받는 것으로 주장하는 신흥 종교의 운동이 일어났다.
완전한 성화는 존 웨슬리가 주로 설교하던 것이었으며 제2의 축복도 그가 언급한 것이었다. “제2의 축복”은 후에 일어난 오순절파 운동에서 강조하는 교리로서 극심한 분리주의를 초래하였다. 1820년대와 1830년대 초반에는 완전주의 설교가 별로 인기가 없으며 1830년대 후반부터 감리교 내에서 다시금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대 부흥 설교가 찰스 피니도 이에 큰 몫을 담당하였다. 존 험프리 노이스의 사회주의적 성격을 띤 오네이다. 공동체도 이러한 완전주의에 그 뿌리는 두고 있다. lbid, 641.
참고도서
김영재 『기독교 교회사』(서울: 이레서원, 2001)
홍 철 『미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5)
김명혁 『근세교회사』(수원: 합동신학대학원 출판부, 1996)
이형기 『세계교회사』
Stephen Neill, 『기독교선교사』홍치모. 오만규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79)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1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