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커피의 기원
Ⅲ. 커피의 원산지
Ⅳ. 커피의 종류
1. 에스프레소(Caffe Espresso)
2. 마키아토(Caffe Macchiato)
3. 콘 파냐(Caffe Con Panna)
4. 캐러멜 마키아토(Caramel Macchiato)
5. 카페 라테(Caffe Latte)
6. 아메리카노(Caffe Americano)
7. 라테 마키아토(Latte Macchiato)
8. 카푸치노(Caffe Cappuchino)
9. 카페 모카(Caffe Mocha)
10. 비엔나(Caffe Vienna)
11. 아이스 에스프레소(Espresso Freddo)
12. 아이스 카페 라테(Caffe Latte Freddo)
13. 아이스 아메리카노(Iced Americano)
14. 아이스 카푸치노(Cappuchino Freddo)
15. 아이스 모카치노(Mochaccino Freddo)
16. 아이스 라테 비엔나(Iced Latte Vienna)
17. 아이스 라테 마키아토(Latte Freddo)
18. 아이스 비엔나(Iced Vienna)
19. 아이스 카페 모카(Caffe Mocha Freddo)
20. 카페 젤라토(Caffe Gelato)
Ⅴ. 커피의 가공
Ⅵ. 커피의 부정적인 영향
참고문헌
Ⅱ. 커피의 기원
Ⅲ. 커피의 원산지
Ⅳ. 커피의 종류
1. 에스프레소(Caffe Espresso)
2. 마키아토(Caffe Macchiato)
3. 콘 파냐(Caffe Con Panna)
4. 캐러멜 마키아토(Caramel Macchiato)
5. 카페 라테(Caffe Latte)
6. 아메리카노(Caffe Americano)
7. 라테 마키아토(Latte Macchiato)
8. 카푸치노(Caffe Cappuchino)
9. 카페 모카(Caffe Mocha)
10. 비엔나(Caffe Vienna)
11. 아이스 에스프레소(Espresso Freddo)
12. 아이스 카페 라테(Caffe Latte Freddo)
13. 아이스 아메리카노(Iced Americano)
14. 아이스 카푸치노(Cappuchino Freddo)
15. 아이스 모카치노(Mochaccino Freddo)
16. 아이스 라테 비엔나(Iced Latte Vienna)
17. 아이스 라테 마키아토(Latte Freddo)
18. 아이스 비엔나(Iced Vienna)
19. 아이스 카페 모카(Caffe Mocha Freddo)
20. 카페 젤라토(Caffe Gelato)
Ⅴ. 커피의 가공
Ⅵ. 커피의 부정적인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8부 정도 채운다.
② 우유를 넣고 에스프레소를 붓는다.
③ 휘핑크림을 올린다.
20. 카페 젤라토(Caffe Gelato)
재료: 커피, 아이스크림. 에스프레소에 떠있는 아이스크림을 떠먹기도 하고, 커피와 같이 마셔도 된다. 간편하게 준비해서 색다른 기분을 낼 수 있는 메뉴.
① 차갑게 준비한 잔에 아이스크림 1스쿱을 넣는다.
② 그 위에 에스프레소를 붓는다.
Ⅴ. 커피의 가공
열매에는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 종자를 빼내는 과정을 정제(processing)라고 하며 방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다. 습식법은 열매를 물속에서 발효하여 각질과 과육을 없앤 뒤 다시 말려서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을 거친다. 이 방법은 주로 물이 풍부한 지역에서 사용하며 질 좋은 커피를 얻을 수 있다. 건식법은 열매를 말린 뒤 기계로 껍질을 벗겨내는 방법이다. 주로 건조한 기후와 작업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사용하며 품질이 고르지 않다. 정제가 끝나면 소비국으로 보내져 볶기배합분쇄 과정을 거친다. 볶기는 원두에 열을 가해 맛과 향을 내는 과정이다. 사용하는 기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12~20분 동안 180~200℃에서 볶으며 볶은 뒤에는 빨리 냉각한다. 이 과정이 끝나면 원두는 갈색이 되고 맛과 향을 내는 휘발성분이 생긴다. 볶는 정도는 다양한데, 짙은 갈색인 유럽식과 매우 짙은 갈색인 프랑스식, 거의 검정색에 가까운 이탈리아식 등이 있다. 강도가 약할수록 맛이 부드럽고 향이 풍부하다. 배합은 볶기 전 또는 볶은 뒤에 서로 다른 원두를 섞어 좋은 맛과 향을 얻기 위한 과정이다. 보통 중성의 원두를 기본으로 해서 신맛이 나는 원두와 쓴맛이 강한 원두를 섞는다. 2종에서 5종의 원두를 섞으며, 너무 많은 종류를 섞는 것은 좋지 않다.
분쇄는 볶은 원두를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과정이다. 볶은 원두는 빠른 속도로 산화하여 질이 떨어지므로 추출하기 바로 전에 갈아야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분쇄 정도는 고운 가루에서 지름 1mm 크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입자가 굵은 커피는 드립식과 퍼콜레이터식, 조금 가는 것은 사이폰식과 에스프레소식, 가장 고운 것은 터키식 커피에 알맞다. 중간 굵기는 어느 추출법에나 쓸 수 있다.
Ⅵ. 커피의 부정적인 영향
커피를 마시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커피 속의 카페인이 중추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카페인의 혈중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는 대개 4시간이다. 따라서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저녁 식사 후 잠들 때까지는 커피를 삼가야 한다. 커피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중추신경을 자극, 기분전환과 함께 작업능률을 올려주지만 피로가 쌓인 경우 피로를 더욱 가중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커피가 위벽을 자극, 위산분비를 촉진하고 위장과 식도를 연결하는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식도에 역류, 속쓰림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하루6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에게서 위궤양 발병률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 레귤러(regular)커피나 저카페인(decaffeinated)커피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위산과다가 있거나 속쓰림 등 위궤양 증상이 있는 사람도 되도록 커피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커피는 장의 연동작용을 촉진하므로 급, 만성 장염이나 복통을 동반한 과민성 대장질환이 있는 경우도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커피와 심장병 또는 동맥경화와의 관계는 지금까지 연구결과에서 드러나진 않았지만 하루 5잔 이상의 커피를 마시면 심근경색 발생률이 2, 3배 증가하게 된다. 심장이 예민한 사람에서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을 유발하여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다. 대개 카페인 250mg은 호흡수를 늘림과 함께 1시간내에 수축기 혈압을 10mmHg상승시키고, 2시간 내에 심박수를 증가시킨다. 또 600mg정도를 마시면 기관지가 확장된다. 이 밖에 커피는 콩팥에 작용, 소변량을 늘려 탈수현상을 초래하고 목소리를 잠기게 하는가 하면 불안, 흥분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하루에 커피 석잔 이상 마시면 여성은 임신이 잘 안될 수 있고, 임신한 여성은 조산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참고문헌
맛시모 몬타나리 - 유럽의 음식문화, 새물결, 2001
서한석 - 커피의 관능 및 감성평가 방법의 개발과 세분화된 소비자의 커피 선호 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알랭 스텔라 - 커피 Cafe,창해, 2001
오석태 - 데빌은 커피로 인간을, 신광출판사, 2000
정홍식 - 커피의 세계, 민문사, 1994
② 우유를 넣고 에스프레소를 붓는다.
③ 휘핑크림을 올린다.
20. 카페 젤라토(Caffe Gelato)
재료: 커피, 아이스크림. 에스프레소에 떠있는 아이스크림을 떠먹기도 하고, 커피와 같이 마셔도 된다. 간편하게 준비해서 색다른 기분을 낼 수 있는 메뉴.
① 차갑게 준비한 잔에 아이스크림 1스쿱을 넣는다.
② 그 위에 에스프레소를 붓는다.
Ⅴ. 커피의 가공
열매에는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 종자를 빼내는 과정을 정제(processing)라고 하며 방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다. 습식법은 열매를 물속에서 발효하여 각질과 과육을 없앤 뒤 다시 말려서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을 거친다. 이 방법은 주로 물이 풍부한 지역에서 사용하며 질 좋은 커피를 얻을 수 있다. 건식법은 열매를 말린 뒤 기계로 껍질을 벗겨내는 방법이다. 주로 건조한 기후와 작업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사용하며 품질이 고르지 않다. 정제가 끝나면 소비국으로 보내져 볶기배합분쇄 과정을 거친다. 볶기는 원두에 열을 가해 맛과 향을 내는 과정이다. 사용하는 기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12~20분 동안 180~200℃에서 볶으며 볶은 뒤에는 빨리 냉각한다. 이 과정이 끝나면 원두는 갈색이 되고 맛과 향을 내는 휘발성분이 생긴다. 볶는 정도는 다양한데, 짙은 갈색인 유럽식과 매우 짙은 갈색인 프랑스식, 거의 검정색에 가까운 이탈리아식 등이 있다. 강도가 약할수록 맛이 부드럽고 향이 풍부하다. 배합은 볶기 전 또는 볶은 뒤에 서로 다른 원두를 섞어 좋은 맛과 향을 얻기 위한 과정이다. 보통 중성의 원두를 기본으로 해서 신맛이 나는 원두와 쓴맛이 강한 원두를 섞는다. 2종에서 5종의 원두를 섞으며, 너무 많은 종류를 섞는 것은 좋지 않다.
분쇄는 볶은 원두를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과정이다. 볶은 원두는 빠른 속도로 산화하여 질이 떨어지므로 추출하기 바로 전에 갈아야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분쇄 정도는 고운 가루에서 지름 1mm 크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입자가 굵은 커피는 드립식과 퍼콜레이터식, 조금 가는 것은 사이폰식과 에스프레소식, 가장 고운 것은 터키식 커피에 알맞다. 중간 굵기는 어느 추출법에나 쓸 수 있다.
Ⅵ. 커피의 부정적인 영향
커피를 마시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커피 속의 카페인이 중추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카페인의 혈중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는 대개 4시간이다. 따라서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저녁 식사 후 잠들 때까지는 커피를 삼가야 한다. 커피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중추신경을 자극, 기분전환과 함께 작업능률을 올려주지만 피로가 쌓인 경우 피로를 더욱 가중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커피가 위벽을 자극, 위산분비를 촉진하고 위장과 식도를 연결하는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식도에 역류, 속쓰림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하루6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에게서 위궤양 발병률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 레귤러(regular)커피나 저카페인(decaffeinated)커피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위산과다가 있거나 속쓰림 등 위궤양 증상이 있는 사람도 되도록 커피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커피는 장의 연동작용을 촉진하므로 급, 만성 장염이나 복통을 동반한 과민성 대장질환이 있는 경우도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커피와 심장병 또는 동맥경화와의 관계는 지금까지 연구결과에서 드러나진 않았지만 하루 5잔 이상의 커피를 마시면 심근경색 발생률이 2, 3배 증가하게 된다. 심장이 예민한 사람에서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을 유발하여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다. 대개 카페인 250mg은 호흡수를 늘림과 함께 1시간내에 수축기 혈압을 10mmHg상승시키고, 2시간 내에 심박수를 증가시킨다. 또 600mg정도를 마시면 기관지가 확장된다. 이 밖에 커피는 콩팥에 작용, 소변량을 늘려 탈수현상을 초래하고 목소리를 잠기게 하는가 하면 불안, 흥분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하루에 커피 석잔 이상 마시면 여성은 임신이 잘 안될 수 있고, 임신한 여성은 조산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참고문헌
맛시모 몬타나리 - 유럽의 음식문화, 새물결, 2001
서한석 - 커피의 관능 및 감성평가 방법의 개발과 세분화된 소비자의 커피 선호 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알랭 스텔라 - 커피 Cafe,창해, 2001
오석태 - 데빌은 커피로 인간을, 신광출판사, 2000
정홍식 - 커피의 세계, 민문사, 1994
추천자료
에스프레소 커피 시장
경영사례-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 신화의 전략적 분석
국내 커피산업 분석
엔제리너스 커피 마케팅 분석
프리미엄 커피시장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 전략(프랜차이즈 카페)
한국 커피의 역사, 유래, 마케팅 전략, 경영 전략, 사업, 시장현황, 변화, 특징, 현황, 사례,...
우리나라 커피에 대한 조사
차와 커피
프랜차이즈 이디야커피
KCU 커피와 바리스타 족보<2015년>
KCU 커피와 바리스타 기말고사 범위 A+족보
베트남 커피여행 - 부온마투옷과 달랏을 중심으로
스타벅스 커피시장,스타벅스 마케팅성공,스타벅스 기업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커피전문점 창업계획서) 카페 창업 사업계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