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연구의 계기, 방법과 논문의 진행방향
본론
1. 스스로 혼잣말을 많이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2. 주로 언제 혼잣말을 하시나요?
3. 혼잣말을 하다가 민망한 일을 당한 적이 있나요?
4. 혼잣말을 할 때 상대방을 설정하고 하시나요? 혹시 아니라면 어떤 식으로 하시나요?
5. 혼잣말을 해서 분했던 일이나 쌓였던 일이 풀린 적이 있나요?
6. 혼잣말을 하는 것이 타인과의 대화보다 어떤 점이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7. 다른 사람이 혼잣말을 하는 것을 들어본 일이 있나요? 그때 기분이 어땠나요?
8. 혼잣말을 하다가 또 다른 나를 발견한 적이 있나요?
9. 마지막으로, 혼잣말에 대한 자유로운 생각을 이야기 해 주세요.^^
결론
1. 설문 후기
2. 혼잣말 연구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본론
1. 스스로 혼잣말을 많이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2. 주로 언제 혼잣말을 하시나요?
3. 혼잣말을 하다가 민망한 일을 당한 적이 있나요?
4. 혼잣말을 할 때 상대방을 설정하고 하시나요? 혹시 아니라면 어떤 식으로 하시나요?
5. 혼잣말을 해서 분했던 일이나 쌓였던 일이 풀린 적이 있나요?
6. 혼잣말을 하는 것이 타인과의 대화보다 어떤 점이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7. 다른 사람이 혼잣말을 하는 것을 들어본 일이 있나요? 그때 기분이 어땠나요?
8. 혼잣말을 하다가 또 다른 나를 발견한 적이 있나요?
9. 마지막으로, 혼잣말에 대한 자유로운 생각을 이야기 해 주세요.^^
결론
1. 설문 후기
2. 혼잣말 연구에 대한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 났다.
6. 혼잣말 할 때의 좋은 점은 개인적으로 좋은 점과 타인의 고려할 때 좋은 점으로 나뉜다.
7. 대부분의 사람들(약 80%)이 다른 사람의 혼잣말을 들어봤고 이유는 다양하다.
8. 혼잣말을 하다가 또 다른 나를 발견하는 경우는 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고, 그 경향도 제각각이다.
9. 혼잣말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숨어있는 좋은 점을 발견한 사람들이고, 부정적 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인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의견을 개제하였다.
c. 설문 평가
본 논문의 제재가 혼잣말이기 때문에 최대한 개인적인 의견들을 모으고 그에 맞을 수 있는 분석을 하되 결국 하나의 의견으로 소급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으려고 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나 스스로 가지고 있는 고질병 같은 혼잣말을 진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앞의 ‘설문지 상의 문제’에서 제기 되었듯 일단 설문 전에 충분한 준비가 미흡했다는 점이 문제가 되지만 예상외로 풍부한 의견들을 받을 수 있었고 그 안에서 새로운 생각을 하거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통계적으로 나타나는 설문의 결과를 외에 스스로 가질 수 있었던 생각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① 여기서의 숫자는 본론의 질문 항과 관계없이 붙인 것이다.
혼잣말은 생각보다 그 범위가 넓다. 혼잣말은 ‘듣는 사람이 있지 않은 어떤 말’로 넓게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보통 설문에 응하는 사람들은 혼잣말을 내용을 지닌 말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지만 순간적으로 터져 나오는 감탄사도 듣는 이를 설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혼잣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② 혼잣말을 하는 경우엔 보통 다른 사람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자기만의 생각에 빠져 혼잣말을 하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민망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추론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을 이기적인 풍토를 보여주는 것으로 부정적으로 생각하기보다 항상 다른 사람을 고려해야 하는 엄격한 무언의 규칙이 있는 사회생활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는 휴식처가 된다는 점이 새로운 생각이었다.
③ 나의 경우 지금 내 옆에 있지 않은 상대에게 말을 거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상대를 정하고 나처럼 혼잣말을 하는 경향은 보기 힘들었고 심지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어떤 이는 상대역까지 자신이 맡아서 함으로써 상대의 설정은 다른 질문들보다 다양한 결과를 보여줬으며 사람마다 다른 결과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질문이었다.
④ 혼잣말을 하는 것이 분을 삭이는데 도움이 되는가나 혼잣말 도중에 또 다른 나를 발견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비교적 사람들에게 익숙한 질문이 아니었다.
⑤ 혼잣말의 장점을 물어보는 질문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기존 생각을 넘어 혼잣말을 새롭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⑥ 사실 혼잣말을 혼자서 많이 한다는 것과 다른 사람들도 많이 한다는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끼고 있지만, 이를 일반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있다.
⑦ 혼잣말이 심리훈련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⑧ 혼잣말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성향은 사실 현대의 경향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내부적인 진정성보다는 외부로부터의 압박이 사람들의 행동을 규율하는 경향이 크다는 추측을 했다. 이는 앞의 내용과도 연결되는 것으로 실제로 사람들이 느끼는 것과 다른 사람들의 일반적인 생각은 진실과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 ①, ③, ④, ⑤, ⑦번은 설문 자체에서 나타나는 의견으로 직접적인 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특징적으로 다시 구성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②, ⑥, ⑧은 앞의 내용들 보다 한걸음 더 생각을 발전시킨 것으로 최종적인 생각에 가장 가까운 의견들이라고 본다. 이 중에서도 ②번과 ⑧번은 자신의 내부로 천착해 들어간다는 점에서 상통하는 점이 있다. 혼잣말을 하는 때에 앞서 무수히 나왔던 의견들처럼 개인은 자신만의 생각을 정리한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어떤 수업의 시험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는 내용을 보는 것이었는데 그 전날 읽은 책을 바탕으로 혼자서 벽을 보고 열성적으로 연설을 하듯 나의 생각을 혼자서 말한 적이 있었다. 시험 때 이날 했던 혼잣말 그대로 적어서 좋은 점수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이러한 몇몇 비슷한 일들이 있고 나서부터는 혼잣말이 장점을 가졌음을 믿기 시작했다. 어떤 것을 사고하는 흐름에 제약이 가해지면 자유로운 사고의 길이 막힐 수 있는데 ②번의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인 생활이라는 사회적인 제약으로부터 벗어난 개인은 생각지 못한 상상력 또는 위안을 얻을 수 있다. 나의 시험을 보면서 겪었던 경험에서도, 만약 시험 전날에 도서관에서 공부를 했다면 그러한 생각을 해내지 못했을 것이다. 이것이 인류의 보편적인 심리의 작용으로 생각이 전개된다면 ⑧번의 내용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합리적인 사고에 대한 대다수의 동의, 자연과학의 발달을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만연, 개인주의 팽배 등의 사회적인 바탕은 인간 내부로 천착해 들어가기도 전에 사고의 흐름을 막아버리는 장애물로 작용한다.
즉, 혼잣말을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는 다시 한 번 고려해 보아야 하는 우리의 고정관념이며, 혼잣말이 가질 수 있는 긍정적 효과에 대해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⑥번은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참고 문헌>
-조병삼, 4세의 혼잣말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융 구스타프, 『융 기본저작집 2 원형과 무의식』, 미국 프리스턴 대학 출판부, 한국융연구원역.
<참고 사이트>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3&dir_id=1309&eid=67Kl3CZ27XtE9uZIUwAPlWlW5WEdBQx6&qb=yKXA47i7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238630.html
<참고 자료>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애니메이션), 일본 J.C staff, Gainax 제작
: 혼잣말을 연출의 소재로 잘 소화해낸 애니메이션이다.
6. 혼잣말 할 때의 좋은 점은 개인적으로 좋은 점과 타인의 고려할 때 좋은 점으로 나뉜다.
7. 대부분의 사람들(약 80%)이 다른 사람의 혼잣말을 들어봤고 이유는 다양하다.
8. 혼잣말을 하다가 또 다른 나를 발견하는 경우는 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고, 그 경향도 제각각이다.
9. 혼잣말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숨어있는 좋은 점을 발견한 사람들이고, 부정적 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인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의견을 개제하였다.
c. 설문 평가
본 논문의 제재가 혼잣말이기 때문에 최대한 개인적인 의견들을 모으고 그에 맞을 수 있는 분석을 하되 결국 하나의 의견으로 소급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으려고 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나 스스로 가지고 있는 고질병 같은 혼잣말을 진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앞의 ‘설문지 상의 문제’에서 제기 되었듯 일단 설문 전에 충분한 준비가 미흡했다는 점이 문제가 되지만 예상외로 풍부한 의견들을 받을 수 있었고 그 안에서 새로운 생각을 하거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통계적으로 나타나는 설문의 결과를 외에 스스로 가질 수 있었던 생각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① 여기서의 숫자는 본론의 질문 항과 관계없이 붙인 것이다.
혼잣말은 생각보다 그 범위가 넓다. 혼잣말은 ‘듣는 사람이 있지 않은 어떤 말’로 넓게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보통 설문에 응하는 사람들은 혼잣말을 내용을 지닌 말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지만 순간적으로 터져 나오는 감탄사도 듣는 이를 설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혼잣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② 혼잣말을 하는 경우엔 보통 다른 사람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자기만의 생각에 빠져 혼잣말을 하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민망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추론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을 이기적인 풍토를 보여주는 것으로 부정적으로 생각하기보다 항상 다른 사람을 고려해야 하는 엄격한 무언의 규칙이 있는 사회생활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는 휴식처가 된다는 점이 새로운 생각이었다.
③ 나의 경우 지금 내 옆에 있지 않은 상대에게 말을 거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상대를 정하고 나처럼 혼잣말을 하는 경향은 보기 힘들었고 심지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어떤 이는 상대역까지 자신이 맡아서 함으로써 상대의 설정은 다른 질문들보다 다양한 결과를 보여줬으며 사람마다 다른 결과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질문이었다.
④ 혼잣말을 하는 것이 분을 삭이는데 도움이 되는가나 혼잣말 도중에 또 다른 나를 발견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비교적 사람들에게 익숙한 질문이 아니었다.
⑤ 혼잣말의 장점을 물어보는 질문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기존 생각을 넘어 혼잣말을 새롭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⑥ 사실 혼잣말을 혼자서 많이 한다는 것과 다른 사람들도 많이 한다는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끼고 있지만, 이를 일반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있다.
⑦ 혼잣말이 심리훈련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⑧ 혼잣말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성향은 사실 현대의 경향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내부적인 진정성보다는 외부로부터의 압박이 사람들의 행동을 규율하는 경향이 크다는 추측을 했다. 이는 앞의 내용과도 연결되는 것으로 실제로 사람들이 느끼는 것과 다른 사람들의 일반적인 생각은 진실과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 ①, ③, ④, ⑤, ⑦번은 설문 자체에서 나타나는 의견으로 직접적인 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특징적으로 다시 구성한 것이었다. 그에 비해 ②, ⑥, ⑧은 앞의 내용들 보다 한걸음 더 생각을 발전시킨 것으로 최종적인 생각에 가장 가까운 의견들이라고 본다. 이 중에서도 ②번과 ⑧번은 자신의 내부로 천착해 들어간다는 점에서 상통하는 점이 있다. 혼잣말을 하는 때에 앞서 무수히 나왔던 의견들처럼 개인은 자신만의 생각을 정리한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어떤 수업의 시험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는 내용을 보는 것이었는데 그 전날 읽은 책을 바탕으로 혼자서 벽을 보고 열성적으로 연설을 하듯 나의 생각을 혼자서 말한 적이 있었다. 시험 때 이날 했던 혼잣말 그대로 적어서 좋은 점수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이러한 몇몇 비슷한 일들이 있고 나서부터는 혼잣말이 장점을 가졌음을 믿기 시작했다. 어떤 것을 사고하는 흐름에 제약이 가해지면 자유로운 사고의 길이 막힐 수 있는데 ②번의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인 생활이라는 사회적인 제약으로부터 벗어난 개인은 생각지 못한 상상력 또는 위안을 얻을 수 있다. 나의 시험을 보면서 겪었던 경험에서도, 만약 시험 전날에 도서관에서 공부를 했다면 그러한 생각을 해내지 못했을 것이다. 이것이 인류의 보편적인 심리의 작용으로 생각이 전개된다면 ⑧번의 내용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합리적인 사고에 대한 대다수의 동의, 자연과학의 발달을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만연, 개인주의 팽배 등의 사회적인 바탕은 인간 내부로 천착해 들어가기도 전에 사고의 흐름을 막아버리는 장애물로 작용한다.
즉, 혼잣말을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는 다시 한 번 고려해 보아야 하는 우리의 고정관념이며, 혼잣말이 가질 수 있는 긍정적 효과에 대해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⑥번은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참고 문헌>
-조병삼, 4세의 혼잣말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융 구스타프, 『융 기본저작집 2 원형과 무의식』, 미국 프리스턴 대학 출판부, 한국융연구원역.
<참고 사이트>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3&dir_id=1309&eid=67Kl3CZ27XtE9uZIUwAPlWlW5WEdBQx6&qb=yKXA47i7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238630.html
<참고 자료>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애니메이션), 일본 J.C staff, Gainax 제작
: 혼잣말을 연출의 소재로 잘 소화해낸 애니메이션이다.
추천자료
광고언어, 웃음유발 텍스트 그리고 여성어 남성어가 국어학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이유
[자신이 선호하는 보육프로그램을 한가지 선정하여 선정이유, 우리나라 보육현장에 시사하는...
독후감) 공부의 즐거움을 읽고 - 내가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효과적인 생활지도를 위하여 부모, 교사, 지역사회인사가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이유에 대하...
효과적인 생활지도를 위하여 부모, 교사, 지역사회인사가 서로 협력하여야하는 이유에 대하여...
6)도덕-통일 한국을 향하여-민족투사의 업적을 통해 통일을 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중안)
사회복지사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과목 중 인간행동 이론에 관한 학습을 해야 하는 이유에...
평생교육방법을 때와 장소, 경우에 따라 달리 적용해야 하는 이유
보고서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 - 장애인 복지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유, 장애인 편의...
성적광고(sexual ads)의 정의 그리고 규제를 해야 하는 이유 [Best report]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기능과 역할 대하여 논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해야하...
상담목표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상담목표 설정시 내담자와 협의하여 설정해야 하는 이유에...
[노인복지] 독거노인의 수발에 대해 개인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접근해야 하는 이유와 구체...
전략적간호관리 1.전략계획이 무엇인지 설명 전략계획 과정 포함 의료조직에 전략계획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