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에디오피아 개관
Ⅱ. 에디오피아 역사
Ⅲ. 에디오피아 정부
Ⅳ. 에디오피아의 경제 무역
Ⅴ. 에디오피아 국가의 환경
Ⅵ. 에디오피아에서 필요한 사역
Ⅱ. 에디오피아 역사
Ⅲ. 에디오피아 정부
Ⅳ. 에디오피아의 경제 무역
Ⅴ. 에디오피아 국가의 환경
Ⅵ. 에디오피아에서 필요한 사역
본문내용
아들이 어떻게 하여 솔로몬왕이 하나님의 축복을 받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방문하였다가 언약궤를 훔쳐 본국으로 돌아갔다.
그 후 그들은 자신들이 왕중의 왕인 솔로몬왕의 후손이며, 언약궤를 갖고 있기때문에 그리고 220대의 할리 살라시에 왕손들 (살라시에란 에디오피아의 왕조 이름으로 삼위일체의 힘이란 뜻)이기 때문에 자기들이 진정한 유대지파 후손임을 자부한다. 에디오피아정교는 이스라엘과 똑같은 형태의 예배를 드리지만 이스라엘 유대인의 관습과 에디오피아 정교의 관습은 약간 다르다.
유대인들은 예루살렘 성전에서만 희생제사를 드리지만 에디오피아 정교는 각교회마다 언약궤를 갖고 있으므로 에디오피아에서 희생제사를 드린다. 최근에는 이스라엘로 거주를 옮기는 경향이다. 오늘날 Amhara, Tigrie 부족사이에서 정교회는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지만 교회의 봉건적이고 보수적인 경향 또 훈련된 성직자의 부족때문에 도시와 젊은이들 사이에서 그 입지가 약화되어 가고 있다.
에디오피아의 선교단체 SIM
에디오피아에서 가장 활발하고 가장 큰 성과를 얻은 개신교 선교단체는 SIM (Sudan Inland Mission이었으나 최근 이름을 Society for International Ministry으로 바뀜) 이다.
에디오피아에 SIM선교사가 들어오게 된 배경은 1927년, 수단에 있던 한 의사 선교사가 에디오피아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오랜동안 기도로 준비해 오고 있던중 한 환자를 만나게 되었다. 그는 에디오피아 정부 관계자로 귀에 벌레가 들어가 머리까지 들어 갈까봐 두려워 하고 있었다. 의사 선교사는 뜨거운 기름을 넣어 벌레가 나오게 했으며, 환자는 고마워 하며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 보았다. 의사 선교사는 에디오피아의 왕인 할리 살라시를 만나기를 원하자, 정부 관계자인 환자의 주선에 의해 왕을 만나게 되었고 복음을 전하기 위해 왔음을 말하게 되었다.
또한 상인 일행이 에디오피아에 램프를 팔기 위해 들어왔다. 선교사들과 동행하여 그들은 서부로 가고자 했는데 가이드의 실수로 남부로 가게 되었다. 그들이 중요한 지역에 도착했을 때, 한 형제가 그들을 잘 대접하고 선물까지 주었다. 그 형제는 어떤 지주의 부탁을 받고 그들을 환대한 것인데, 그 지주는 의사 선교사가 벌레를 제거해 주었던 정부관계자였다.
그 정부 관계자는 복음을 전하기 위한 땅을 주기로 하고 그들의 의향을 물었다. 의사 선교사 란빈은 어떻게 선교전략을 세워야 할 지 몰랐지만, 처음에 그들이 가고자 하려던 곳이 오히려 복음 전하기가 어려웠던 곳이었으며 지금 도착한 곳이 복음 전하기가 더 쉬운 곳임을 알게 되었다. 정부의 도움으로 선교사들은 사역을 하면서 성경을 그들의 언어로 번역하고 교회를 설비할 수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시, 선교사들은 출국을 해야 했다. 출국할 당시에 5개의 작은 교회와 200명의 신자가 있을 뿐이었다. 7년 동안 선교사가 아무도 없었다가 7년 후 전쟁이 끝나 선교사들이 에디오피아에 돌아왔을 때, 10,000명의 신자로 부흥이 되어 있었다. 선교사의 도움 없이 자신들 스스로 교회를 설립하고 성경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임은 물론 장로장립 및 평신도 훈련까지 하고 있었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어떻게 인도하셨는지를 볼 수 있었던 좋은 사례였다.
2차 세계대전 후, 교회는 급성장을 했지만 3/4이 복음을 듣지 못했고 정령숭배에 빠져 있었다. 1977년, 공산주의 정부의 출범으로 인해 다시 선교사들이 에디오피아를 떠나야 했다. 사탄이 공산주의를 이용해 기독교인들을 핍박했으며 그간에 무슬림들이 많이 증가했다. 그러나 놀라운 것은 선교사들이 돌아왔을 때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복음주의 신자들이 남아있음을 보고 다시 한번 하나님의 도우심을 보았던 것이다.
에디오피아 교회가 당면한 문제를 위한 기도 제목
1) 교회가 당면한 도전
- 그리스도인들이 현재의 기회를 효과적인 제자 사역과 전도 사역을 할 수 있도록
- 예배드리던 수많은 교회들이 재건축 되어지고 픽밥 으로부터 회복 되어지도록
- 효과적인 사회 구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지도록
- 선교 비젼이 세워 지도록
- 1987년에 형성된 복음주의 교회들의 연합을 위해서
2) 교회 지도자들을 위한 기도
- 교회와 정부의 긴장관계가 완하되도록
- 교단을 위해서(Kale Heywet Church-Word lf Life, Mekane Yesu Evangelical Church,
Luthern Church, Presbyterian missions)
- 지도자들이 하나님과 동행하며 모든 어려움을 기도가운데 굳건히 설수 있도록
3) 선교 기관들
막스 공산주의하에서 선교사들이 400명으로 줄었다. 1991년 이래로 더많은 선교사가 입국 할수 있도록 기도하자. 선교사들이 예민한 지혜로 교회의 성숙을 위해 최선을 다해 섬길수 있도록 기도하자. 주된 사역으로 교회 지도자 훈련과 미전도 지역에 개척 전도가 필요하다. 특히 성경 번역과 기술 구호 사역들이다.
노루웨이 루터 선교회(152명의 사역자) SIM(133) 핀란드 루터교(66명) 핀란드 오순절 선교회(29명) SIL(26명) 스웨덴 오순절 선교회(23명)덴 마크 루터 선교회(22명) 독일 루터교(20) SBC(17명)이다. 주 파송 선교사들의 국가는 미국(165명) 노루웨이 (159명) 핀란드(100명) 독일 (50명) 스웨덴 (45명) 덴마크(30명)순이다.
4)모슬림
막스 공산주의하에서 모슬렘인들은 위치를 강하게했다.이때 많은 교회들이 폐쇄되고 많은 모스끄 건축 계획에 의해 모스끄들이 세워 졌다. 에디오피아 정부는 기독교와 모슬렘간의 긴장을 촉진 시키고 인접한 수단의 이슬람 근본주의 정부와 가까운 관계를 발전 시키고 있는 중이다. 현 정부의 통치동안 적어도 500개의 모스끄가 세워졌다. 이슬람으로부터 많은 개종자들이 일어날수 있도록 기도하자.
에디오피아 TV와 라디오에서는 에디오피아 정통 교회의 승인 없이 어느곳에서나 기독교인은 설교할수 없다고 발표되었고, 9월 곤도르 시에서 목사가 체포 되는 것을 막으려 하던 교회 교인들이 보안대에 의해 50명이 사망하고2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부상당하는 큰 사건들이 일어 나기도 했다.
그 후 그들은 자신들이 왕중의 왕인 솔로몬왕의 후손이며, 언약궤를 갖고 있기때문에 그리고 220대의 할리 살라시에 왕손들 (살라시에란 에디오피아의 왕조 이름으로 삼위일체의 힘이란 뜻)이기 때문에 자기들이 진정한 유대지파 후손임을 자부한다. 에디오피아정교는 이스라엘과 똑같은 형태의 예배를 드리지만 이스라엘 유대인의 관습과 에디오피아 정교의 관습은 약간 다르다.
유대인들은 예루살렘 성전에서만 희생제사를 드리지만 에디오피아 정교는 각교회마다 언약궤를 갖고 있으므로 에디오피아에서 희생제사를 드린다. 최근에는 이스라엘로 거주를 옮기는 경향이다. 오늘날 Amhara, Tigrie 부족사이에서 정교회는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지만 교회의 봉건적이고 보수적인 경향 또 훈련된 성직자의 부족때문에 도시와 젊은이들 사이에서 그 입지가 약화되어 가고 있다.
에디오피아의 선교단체 SIM
에디오피아에서 가장 활발하고 가장 큰 성과를 얻은 개신교 선교단체는 SIM (Sudan Inland Mission이었으나 최근 이름을 Society for International Ministry으로 바뀜) 이다.
에디오피아에 SIM선교사가 들어오게 된 배경은 1927년, 수단에 있던 한 의사 선교사가 에디오피아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오랜동안 기도로 준비해 오고 있던중 한 환자를 만나게 되었다. 그는 에디오피아 정부 관계자로 귀에 벌레가 들어가 머리까지 들어 갈까봐 두려워 하고 있었다. 의사 선교사는 뜨거운 기름을 넣어 벌레가 나오게 했으며, 환자는 고마워 하며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 보았다. 의사 선교사는 에디오피아의 왕인 할리 살라시를 만나기를 원하자, 정부 관계자인 환자의 주선에 의해 왕을 만나게 되었고 복음을 전하기 위해 왔음을 말하게 되었다.
또한 상인 일행이 에디오피아에 램프를 팔기 위해 들어왔다. 선교사들과 동행하여 그들은 서부로 가고자 했는데 가이드의 실수로 남부로 가게 되었다. 그들이 중요한 지역에 도착했을 때, 한 형제가 그들을 잘 대접하고 선물까지 주었다. 그 형제는 어떤 지주의 부탁을 받고 그들을 환대한 것인데, 그 지주는 의사 선교사가 벌레를 제거해 주었던 정부관계자였다.
그 정부 관계자는 복음을 전하기 위한 땅을 주기로 하고 그들의 의향을 물었다. 의사 선교사 란빈은 어떻게 선교전략을 세워야 할 지 몰랐지만, 처음에 그들이 가고자 하려던 곳이 오히려 복음 전하기가 어려웠던 곳이었으며 지금 도착한 곳이 복음 전하기가 더 쉬운 곳임을 알게 되었다. 정부의 도움으로 선교사들은 사역을 하면서 성경을 그들의 언어로 번역하고 교회를 설비할 수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시, 선교사들은 출국을 해야 했다. 출국할 당시에 5개의 작은 교회와 200명의 신자가 있을 뿐이었다. 7년 동안 선교사가 아무도 없었다가 7년 후 전쟁이 끝나 선교사들이 에디오피아에 돌아왔을 때, 10,000명의 신자로 부흥이 되어 있었다. 선교사의 도움 없이 자신들 스스로 교회를 설립하고 성경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임은 물론 장로장립 및 평신도 훈련까지 하고 있었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어떻게 인도하셨는지를 볼 수 있었던 좋은 사례였다.
2차 세계대전 후, 교회는 급성장을 했지만 3/4이 복음을 듣지 못했고 정령숭배에 빠져 있었다. 1977년, 공산주의 정부의 출범으로 인해 다시 선교사들이 에디오피아를 떠나야 했다. 사탄이 공산주의를 이용해 기독교인들을 핍박했으며 그간에 무슬림들이 많이 증가했다. 그러나 놀라운 것은 선교사들이 돌아왔을 때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복음주의 신자들이 남아있음을 보고 다시 한번 하나님의 도우심을 보았던 것이다.
에디오피아 교회가 당면한 문제를 위한 기도 제목
1) 교회가 당면한 도전
- 그리스도인들이 현재의 기회를 효과적인 제자 사역과 전도 사역을 할 수 있도록
- 예배드리던 수많은 교회들이 재건축 되어지고 픽밥 으로부터 회복 되어지도록
- 효과적인 사회 구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지도록
- 선교 비젼이 세워 지도록
- 1987년에 형성된 복음주의 교회들의 연합을 위해서
2) 교회 지도자들을 위한 기도
- 교회와 정부의 긴장관계가 완하되도록
- 교단을 위해서(Kale Heywet Church-Word lf Life, Mekane Yesu Evangelical Church,
Luthern Church, Presbyterian missions)
- 지도자들이 하나님과 동행하며 모든 어려움을 기도가운데 굳건히 설수 있도록
3) 선교 기관들
막스 공산주의하에서 선교사들이 400명으로 줄었다. 1991년 이래로 더많은 선교사가 입국 할수 있도록 기도하자. 선교사들이 예민한 지혜로 교회의 성숙을 위해 최선을 다해 섬길수 있도록 기도하자. 주된 사역으로 교회 지도자 훈련과 미전도 지역에 개척 전도가 필요하다. 특히 성경 번역과 기술 구호 사역들이다.
노루웨이 루터 선교회(152명의 사역자) SIM(133) 핀란드 루터교(66명) 핀란드 오순절 선교회(29명) SIL(26명) 스웨덴 오순절 선교회(23명)덴 마크 루터 선교회(22명) 독일 루터교(20) SBC(17명)이다. 주 파송 선교사들의 국가는 미국(165명) 노루웨이 (159명) 핀란드(100명) 독일 (50명) 스웨덴 (45명) 덴마크(30명)순이다.
4)모슬림
막스 공산주의하에서 모슬렘인들은 위치를 강하게했다.이때 많은 교회들이 폐쇄되고 많은 모스끄 건축 계획에 의해 모스끄들이 세워 졌다. 에디오피아 정부는 기독교와 모슬렘간의 긴장을 촉진 시키고 인접한 수단의 이슬람 근본주의 정부와 가까운 관계를 발전 시키고 있는 중이다. 현 정부의 통치동안 적어도 500개의 모스끄가 세워졌다. 이슬람으로부터 많은 개종자들이 일어날수 있도록 기도하자.
에디오피아 TV와 라디오에서는 에디오피아 정통 교회의 승인 없이 어느곳에서나 기독교인은 설교할수 없다고 발표되었고, 9월 곤도르 시에서 목사가 체포 되는 것을 막으려 하던 교회 교인들이 보안대에 의해 50명이 사망하고2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부상당하는 큰 사건들이 일어 나기도 했다.
추천자료
(경제학의 흐름) 시대적 흐름에 따른 경제학의 변천
중국의 경제중심지 - 상해의 경제지리
[중상주의][중상주의의 출현배경][중상주의의 역사][중상주의 이론][중상주의의 정책]중상주...
(한국경제의이해A)1950년대 한국경제에 관해 논하시오
말레이시아의 일반 경제환경과 최근 경제동향
[1931년][1931년 국제금융위기][1931년 거래소][1931년 은행공황][1931년 농가경제][1931년 ...
[북한의 사회와 경제 D형] 북한의 거시경제 현황에 관해 논하시오.
[세계의역사 중국 B형] 2013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일어난 사건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 그...
[★★평가우수자료★★][일본의 통상정책] 일본 통상정책, 일본의 경제, 한일 경제관계, 일본 통...
[세계의역사] 트럼프 당선 이후의 한미 관계를 설정함에 있어, 한국이 선택해야 할 바람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