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 변하지 않는 장애의 격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 변하지 않는 장애의 격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1-1 산업사회와 정보사회
1-2 정보사회의 과제

2. 정보 기술 혁명과 정보사회
2-1 정보란 무엇인가?
2-2 정보 기술의 발전
2-3 정보 사회로의 이행

3. 정보사회의 구조적 특성
3-1 자유와 정보 고속도로
3-2 산업 구조의 변화와 정보 기술 산업
3-3 고용 구조의 변화

4. 정보화와 일상생활
4-1 정보 기술의 활용 영역
4-2 전자적으로 매개된 의사소통
4-3 문화적 의미

5. 정보사회의 쟁점
5-1 정보의 상품화와 보편적 서비스
5-2 자유로운 정보 접근과 프라이버시
5-3 정보 불평등과 정보 활용 능력

6. 맺음

본문내용

않을 것이라는 데에 확신하고 있다. 물론 과거에 비해서 장애인들이 이동하는데 있어서 사회적으로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사회 물리적인 환경의 발전에 비추어 볼 때 장애인들의 몫은 적은 편이다. 최근에 서울시에서는 애완견과 함께 할 공원을 조성해달라는 애견인들의 청원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러한 소식을 들으면서 이런 생각도 들었다. 왜 공원에서 아직도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오면 돌아서 가는 것일까? 심지어는 택시를 잡아서 휠체어를 싣는 것을 도와달라는데 그것을 내가 왜 들어야 하나요? 라는 퉁명스러운 택시기사의 태도는 왜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은가? 택시요금은 10년 전에 비해서 기본요금이 2배 이상 올랐음에도 말이다.
정보화가 장애인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신장장애인들은 스스로 카페를 만들어서 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산행도 가고, 투석 받을 병원에 대한 정보도 공유한다. 그렇지만 이것도 가능한 사람은 비교적 젊고 컴퓨터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람들에게만 한정된다. 환갑이 넘은 노인에게 신장장애인들이 활동하는 카페가 있는지도 모를 것이며, 심지어는 컴퓨터 앞에 앉기도 힘든 사람이 더 많을 수도 있다.
6. 맺음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전환이라는 것이 특별한 선이 있어서, 확연하게 구별되어서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사회라고 해서 과거 산업사회의 모든 것이 청산되어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사회를 바탕으로 정보사회의 구조가 결정되기 때문에 산업사회는 정보사회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산업사회에 있었던 불평등 구조는 정보사회에서도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산업사회에서는 할 수 없었던 분야의 일을 정보사회에서는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이동에 큰 불편이 있는 장애인의 경우에도 다른 누군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기도 하며, 온라인 쇼핑도 가능할 것이다. 단 전제가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조차도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꿈도 꿀 수 없기 때문이다. 정보사회에서도 핵심은 정보에 대한 분배가 산업사회에서 재화의 분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누구나 다 인터넷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보편적인 정보 서비스는 달성될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지역과 소득의 따른 격차, 교육에 따른 격차가 고스란히 정보사회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 공중파 TV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해설방송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당초 본 방송에서는 해설방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시청률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방송이 끝나고, 한참 시간이 지난 후에서야 낮에 해설방송이 진행된다. 시각장애인은 모두가 낮에 TV를 시청해야 한다는 것인가? 이러한 시각장애인에 대한 방송국의 태도와 접근은 지극히 전 근대적인 태도이다. 시대에 뒤 떨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발상으로 방송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문화방송의 대장금과 환상의 커플이 여기에 해당된다.
. 적어도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는 산업사회나 정보사회나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사회에서도 장애인들이 겪게 되는 차별은 산업사회의 그것과 똑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장애인에 대해서 할인이 적용된다는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을 해도, 장애인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데는 불편하다. 기술이 사회를 결정하지 않기 때문이 이 모든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되었다고 해도, 사회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없다. 재화에서 정보로 그 형태만 바뀌었을 뿐이다.

키워드

산업,   사회,   정보,   장애,   정보격차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1.2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7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