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번째로 살펴보았던 물음에서는 에릭 홉스봄이 말하려는 바인 역사가 현대 사회에 잘못된 점을 지적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 말해줄 수는 있지만 미래에 어떠한 일들이 일어날 것 이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줄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처럼 역사를 배우려 하지 않는 이유로 두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비역사적인 것으로 문제를 푸는 방식 때문이고 또 다른 한 가지는 왜곡되어버린 역사 때문인데 다행히 대학은 역사가들이 위험한 눈가리개를 없애려고 하는 것에 허락하고 격려해주는 교육기관의 일부 에릭 홉스봄. 『역사론』. (민음사. 2002). p. 71.
라고 말하고 있다.
이 레포트에서 많은 미흡한점이 있었지만 분명한 것은 과거의 경험이 현대사회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말해주고 많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역사를 배우려 하지 않는 이유로 두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비역사적인 것으로 문제를 푸는 방식 때문이고 또 다른 한 가지는 왜곡되어버린 역사 때문인데 다행히 대학은 역사가들이 위험한 눈가리개를 없애려고 하는 것에 허락하고 격려해주는 교육기관의 일부 에릭 홉스봄. 『역사론』. (민음사. 2002). p. 71.
라고 말하고 있다.
이 레포트에서 많은 미흡한점이 있었지만 분명한 것은 과거의 경험이 현대사회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말해주고 많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다.
추천자료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역사인식 - 해동역사와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역사란무엇인가
역사의 이해 방식 - 과학적 이해방식과 상상적 이해방식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역사학자 홍이섭에 대해..
역사의 우연성과 필연성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주의 연구
[헤겔][법철학][자연철학][역사철학][현실][신학][신 존재 증명]헤겔의 일생, 헤겔의 법철학,...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사료 분석
[콜링우드, 콜링우드 논리, 콜링우드 예술, 콜링우드 역사인식, 콜링우드 미학]콜링우드의 논...
실학의역사, 실학연구, 실학분석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 의례, 계급, 공동체 -
역사연구의 새로운 경향과 연구방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