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본문내용
기본 구성
단계별 글쓰기 프로그램 (SWP) ; STEP-UP WRITING PROGRAM
점진적 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써 아래와 같은 단계별 글쓰기와 각각의 단계에서의 학습결과에 대한 수정 및 평가로 이루어 진다:
1 단계 : 요약
※ 요약의 유형
형식적 요약 – 주어진 텍스트를 요약지침 에 따라 재구성
비형식적 요약 – 다양한 형태로 주어지는 텍스트의 핵심논지를 자유롭게 축약, 서술
※ 논증의 재구성이란?
일상적인 정당화 문맥을 주장(결론) 및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전제들)을 중심으로 재구성
(요약지침 참조)
2 단계 : 논평
정당화 문맥으로서의 성공 여부에 대한 평가, 즉 저자가 자신의 주장을 올바르게 정당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 ☞ 논리적 평가에 가까움
※ 요약을 중심으로…
논평은 먼저 텍스트를 요약한 다음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주관적 관점에 치우친 논평, 혹은 사소한 것이나 부수적인 것을 문제 삼는 논평, 혹은 논점을 빗나간 논평 이 되기 쉽다.
3 단계 : 에세이 (essay)
주어진 정보나 텍스트를 자료로 삼아 그 안에서 논의 문제를 정립하고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모색하여 하나의 정당화 문맥을 산출하는 과정
※ essay 와 miscellany 의 차이
정당화의 부담 / 주제의 무게, 중요도
※ 요약 및 논평과 에세이의 차이
- 읽기 vs 쓰기
- 텍스트 의존도
- idea 형성 과정 필요
- 창의적 작업
※ 에세이 유형
① 텍스트 비평형 : 논평에서 출발 – 현안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제시
② 문제 해결형 : (주어진 텍스트에서) 자유롭게 주제 혹은 현안 문제를
설정 –창의적 사고를 통한 입장정립 혹은 문제해결–
논증적 기술
※ 요약 및 논평 지침 : 비판적 사고의 요소와 속성
☞ 정당화문맥의 기본요소와 주요 속성
비판적 사고가 반영된 글을 정당화 문맥 이라고 할 때, 그 안에는 기본 요소들과 주요 속성(기준)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것들 중 ‘기본 요소’는 요약지침 에,
‘주요 속성(기준)’은 논평지침 에 해당한다.
※ 에세이 지침
요약과 논평지침에 의해 드러난 정당화문맥의 필요충분조건이 충족될 수 있도록 하되 풍부한 정보의 도입과 설득력있는 수사적 표현도 고려해야 함.
☞ 에세이의 기본구성 참조!
※ 지침들의 최소화 전략
글읽기와 글쓰기의 지침들은 어디까지나 최소한의 기본 지침들이라는 점!
쓰여질 글의 분량이나 중요도, 주제나 학문 영역에 따라 부가 지침들 추가가능
단계별 글쓰기 프로그램 (SWP) ; STEP-UP WRITING PROGRAM
점진적 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써 아래와 같은 단계별 글쓰기와 각각의 단계에서의 학습결과에 대한 수정 및 평가로 이루어 진다:
1 단계 : 요약
※ 요약의 유형
형식적 요약 – 주어진 텍스트를 요약지침 에 따라 재구성
비형식적 요약 – 다양한 형태로 주어지는 텍스트의 핵심논지를 자유롭게 축약, 서술
※ 논증의 재구성이란?
일상적인 정당화 문맥을 주장(결론) 및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전제들)을 중심으로 재구성
(요약지침 참조)
2 단계 : 논평
정당화 문맥으로서의 성공 여부에 대한 평가, 즉 저자가 자신의 주장을 올바르게 정당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 ☞ 논리적 평가에 가까움
※ 요약을 중심으로…
논평은 먼저 텍스트를 요약한 다음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주관적 관점에 치우친 논평, 혹은 사소한 것이나 부수적인 것을 문제 삼는 논평, 혹은 논점을 빗나간 논평 이 되기 쉽다.
3 단계 : 에세이 (essay)
주어진 정보나 텍스트를 자료로 삼아 그 안에서 논의 문제를 정립하고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모색하여 하나의 정당화 문맥을 산출하는 과정
※ essay 와 miscellany 의 차이
정당화의 부담 / 주제의 무게, 중요도
※ 요약 및 논평과 에세이의 차이
- 읽기 vs 쓰기
- 텍스트 의존도
- idea 형성 과정 필요
- 창의적 작업
※ 에세이 유형
① 텍스트 비평형 : 논평에서 출발 – 현안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제시
② 문제 해결형 : (주어진 텍스트에서) 자유롭게 주제 혹은 현안 문제를
설정 –창의적 사고를 통한 입장정립 혹은 문제해결–
논증적 기술
※ 요약 및 논평 지침 : 비판적 사고의 요소와 속성
☞ 정당화문맥의 기본요소와 주요 속성
비판적 사고가 반영된 글을 정당화 문맥 이라고 할 때, 그 안에는 기본 요소들과 주요 속성(기준)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것들 중 ‘기본 요소’는 요약지침 에,
‘주요 속성(기준)’은 논평지침 에 해당한다.
※ 에세이 지침
요약과 논평지침에 의해 드러난 정당화문맥의 필요충분조건이 충족될 수 있도록 하되 풍부한 정보의 도입과 설득력있는 수사적 표현도 고려해야 함.
☞ 에세이의 기본구성 참조!
※ 지침들의 최소화 전략
글읽기와 글쓰기의 지침들은 어디까지나 최소한의 기본 지침들이라는 점!
쓰여질 글의 분량이나 중요도, 주제나 학문 영역에 따라 부가 지침들 추가가능
추천자료
바른 글쓰기
작문 교육과정의 전략에 따른 글쓰기 활동
글쓰기의 전략
[우수 평가 자료]글쓰기의 전략-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일기]일기(일기쓰기)의 중요성, 일기(일기쓰기)의 유형, 일기(일기쓰기)의 요령, 일기(일기...
[초등학교 국어교육]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말하기교육과 글쓰기교육, 초등학교 국어과(...
[학습방법]매트뜀틀운동지도법(교육방법), 서예지도법(교육방법), 철봉운동지도법(교육방법),...
글쓰기(작문)의 의미와 중요성, 글쓰기지도(글쓰기교육, 작문지도)의 원리, 글쓰기지도(글쓰...
[마인드맵][마인드맵 음악과수업 사례][마인드맵 적용]마인드맵의 의미, 마인드맵의 특징, 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