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본문내용
포함되는 특질, 태도 및 정신 역동성을 측정하는 세 개의 구어적 반응 투사 검사로 측정치는 3-10세 아동들의 임상적진단적 목적을 위하여 성격을 사정하는데 사용된다. 검사는 총 10개의 동물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구 평가(needs assessment) 교육청 내에서 현재 진행 중인 전이 과정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평가
일화기록(anecdotal records) 일정한 양식에 구애됨이 없이 유아의 말, 행동, 사건을 그대로 관찰하여 서술형식으로 기록하는 형태
자연적 환경(natural environments) 놀이와 학습의 기회 등과 같은 발달에 적합한 활동들을 시행하는 곳, 예를 들면 보육원, 가정, 유치원 등이 이에 포함된다.
자연적 접근 방법의 평가(natural methods of assessment) 아동의 환경에서 얻어진 정보를 사용하는 평가 방법
전간기록법(whole-interval recording) 행동관찰 시간을 짧은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동안 행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 방법.
원형 사정(arena assessment) 영유아가 부모 또는 놀이기구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예: 언어치료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등)들이 동시에 관찰하여 평가하는 것
정상분포곡선(normal curve) 전체집단에서 이론적 확률이나 주어진 변수(예를 들면, 물리적 특성 또는 검사점수)를 그림으로 나타낸 수학적으로 파생된 곡선. 집단의 대략 68.20%는 평균 이상과 이하로 1표준편차 이내의 범주에 포함되며, 대략 27.18%에 해당되는 집단은 평균 이상 또는 이하로서 1표준편차와 2표준편차 사이에 포함되고, 3% 이내에 포함되는 집단은 2표준편차 또는 그 이상의 점수를 나타냄
주기적 수행평가 (periodical performance assessment) 아동의 행동이나 학습을 일정한 간격으로 평가하는 것
준거참조형 도구(criterion-referenced instrument) 아동이 습득했거나 습득하지 못한 기술을 측정하는 검사.
준거참조형 검사(curriculum-referenced test) 준거참조형 검사의 한 유형으로 교육과정 목표가 목표를 확인하고 진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 장기간에 걸쳐 하나의 대상이나 집단의 대상을 추적하는 연구.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 독립변인의 조작결과에 의존하며 이의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가 되는 변인. 단일대상연구에서는 목표행동을 의미하며 목표행동의 변화에 따른 중재의 효과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소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중재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 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연구라고도 함. 계속적이고 계획적인 행동의 관찰과 측정을 통하여 가능해짐. 적은 수의 대상자나 조건, 또는 목표행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매 회기마다 정확하고 민감하게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고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여러 개의 기초선을 측정하여 순차적으로 중재를 적용하고 그 이외의 조건을 조절하여 목표행동의 변화와 유지가 중재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기 위한 연구 설계. 기초선-훈련-중재-유지 기간에 대한 관찰
중다중재설계(multiple treatment design) 목표행동에 대한 두개이상의 중재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연구 설계
직접 관찰(direct observation) 행동이 발생할 때 관찰하고 수량화하는 방법
진단(diagnosis) 아동의 프로그램의 적격성을 판단하기 위해 규준지향검사를 통해 아동이 특수교육대상자임을 확인하는 것
체계적 반복연구(systematic replication) 이전 연구의 한개 이상의 변인을 변경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확대하고 일반화하는 연구 전략.
측정(measurement) 검사, 사정 및 평가 시 사용되며, 일반적인 검사자체.
타당도/타당성(validity) 실재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하는지 여부에 관련된 내용평가도구가 측정하고자하는 대상의 내용 그 자체를 재고 있느냐의 충실성을 의미한다. 재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개념과 관련 있다.
투사법 검사(projective test) 피험자가 세상을 지각하는 특징적인 양식을 유발하기 위하여 애매모호한 자극을 사용하는 기법. 개인은 자기의 감정을 비구조화된 검사 문항에 투사한다. 예를 들면, 로르샤하 검사나 주제통각검사가 포함된다. 표준화된 과제나 일련의 자극(그림을 그리거나 잉크 얼룩을 묘사하는)에 반응하도록 하는 심리검사. 검사에 대한 반응은 피검사자가 가지고 있는 인성의 투사로 간주되며, 얻어진 인성 득점은 표준화된 검사점수 매뉴얼에 따라 채점됨
판단 중심의 평가(judgment-based assessment) 임상 현장에서 아동에 대한 평가를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판단하고 평가한다.
평정척도(rating scale) 행동의 질적 특성을 몇 등급으로 구분해서 평가하는 형태
포트폴리오 평가(portfolio assessment) 평가자가 아동의 작업 수행 기록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들을 참고로 하여 평가하게 되는 실질적 형태의 평가
표준 속진 차트(standard celeration chart) 분당 정확한 반응과 틀린 반응의 빈도는 변화라는 관점에서 날마다의 학생의 학습 진보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차트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점수들 간의 평균 편차의 양을 보여 주는 기술적 통계, 표준편차가 적은 것은 표본의 점수들이 평균 부근에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표준편차가 크다는 것은 표본의 점수가 평균에서 멀리 떨어져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함.
프로그램 평가(program evaluation) 중재와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학생의 적극적 반응(active student response) 교수가 진행되는 동안 학습에 관련된 아동의 적극적 반응을 관찰하여 빈도로 측정하는 것
요구 평가(needs assessment) 교육청 내에서 현재 진행 중인 전이 과정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평가
일화기록(anecdotal records) 일정한 양식에 구애됨이 없이 유아의 말, 행동, 사건을 그대로 관찰하여 서술형식으로 기록하는 형태
자연적 환경(natural environments) 놀이와 학습의 기회 등과 같은 발달에 적합한 활동들을 시행하는 곳, 예를 들면 보육원, 가정, 유치원 등이 이에 포함된다.
자연적 접근 방법의 평가(natural methods of assessment) 아동의 환경에서 얻어진 정보를 사용하는 평가 방법
전간기록법(whole-interval recording) 행동관찰 시간을 짧은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동안 행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는지 여부를 기록하는 방법.
원형 사정(arena assessment) 영유아가 부모 또는 놀이기구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예: 언어치료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등)들이 동시에 관찰하여 평가하는 것
정상분포곡선(normal curve) 전체집단에서 이론적 확률이나 주어진 변수(예를 들면, 물리적 특성 또는 검사점수)를 그림으로 나타낸 수학적으로 파생된 곡선. 집단의 대략 68.20%는 평균 이상과 이하로 1표준편차 이내의 범주에 포함되며, 대략 27.18%에 해당되는 집단은 평균 이상 또는 이하로서 1표준편차와 2표준편차 사이에 포함되고, 3% 이내에 포함되는 집단은 2표준편차 또는 그 이상의 점수를 나타냄
주기적 수행평가 (periodical performance assessment) 아동의 행동이나 학습을 일정한 간격으로 평가하는 것
준거참조형 도구(criterion-referenced instrument) 아동이 습득했거나 습득하지 못한 기술을 측정하는 검사.
준거참조형 검사(curriculum-referenced test) 준거참조형 검사의 한 유형으로 교육과정 목표가 목표를 확인하고 진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 장기간에 걸쳐 하나의 대상이나 집단의 대상을 추적하는 연구.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 독립변인의 조작결과에 의존하며 이의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가 되는 변인. 단일대상연구에서는 목표행동을 의미하며 목표행동의 변화에 따른 중재의 효과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소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중재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 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연구라고도 함. 계속적이고 계획적인 행동의 관찰과 측정을 통하여 가능해짐. 적은 수의 대상자나 조건, 또는 목표행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매 회기마다 정확하고 민감하게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고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여러 개의 기초선을 측정하여 순차적으로 중재를 적용하고 그 이외의 조건을 조절하여 목표행동의 변화와 유지가 중재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기 위한 연구 설계. 기초선-훈련-중재-유지 기간에 대한 관찰
중다중재설계(multiple treatment design) 목표행동에 대한 두개이상의 중재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연구 설계
직접 관찰(direct observation) 행동이 발생할 때 관찰하고 수량화하는 방법
진단(diagnosis) 아동의 프로그램의 적격성을 판단하기 위해 규준지향검사를 통해 아동이 특수교육대상자임을 확인하는 것
체계적 반복연구(systematic replication) 이전 연구의 한개 이상의 변인을 변경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확대하고 일반화하는 연구 전략.
측정(measurement) 검사, 사정 및 평가 시 사용되며, 일반적인 검사자체.
타당도/타당성(validity) 실재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하는지 여부에 관련된 내용평가도구가 측정하고자하는 대상의 내용 그 자체를 재고 있느냐의 충실성을 의미한다. 재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개념과 관련 있다.
투사법 검사(projective test) 피험자가 세상을 지각하는 특징적인 양식을 유발하기 위하여 애매모호한 자극을 사용하는 기법. 개인은 자기의 감정을 비구조화된 검사 문항에 투사한다. 예를 들면, 로르샤하 검사나 주제통각검사가 포함된다. 표준화된 과제나 일련의 자극(그림을 그리거나 잉크 얼룩을 묘사하는)에 반응하도록 하는 심리검사. 검사에 대한 반응은 피검사자가 가지고 있는 인성의 투사로 간주되며, 얻어진 인성 득점은 표준화된 검사점수 매뉴얼에 따라 채점됨
판단 중심의 평가(judgment-based assessment) 임상 현장에서 아동에 대한 평가를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판단하고 평가한다.
평정척도(rating scale) 행동의 질적 특성을 몇 등급으로 구분해서 평가하는 형태
포트폴리오 평가(portfolio assessment) 평가자가 아동의 작업 수행 기록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들을 참고로 하여 평가하게 되는 실질적 형태의 평가
표준 속진 차트(standard celeration chart) 분당 정확한 반응과 틀린 반응의 빈도는 변화라는 관점에서 날마다의 학생의 학습 진보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차트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점수들 간의 평균 편차의 양을 보여 주는 기술적 통계, 표준편차가 적은 것은 표본의 점수들이 평균 부근에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표준편차가 크다는 것은 표본의 점수가 평균에서 멀리 떨어져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함.
프로그램 평가(program evaluation) 중재와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학생의 적극적 반응(active student response) 교수가 진행되는 동안 학습에 관련된 아동의 적극적 반응을 관찰하여 빈도로 측정하는 것
추천자료
[유아교육] 생태프로그램 이론적 배경 .산책 프로그램
[영유아(아동) 안전 교육] 필요성 및 발달과정(특징)에 따른 안전교육
가정학과 유아교육과정 공통3]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과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
발달 심리학 이론의 영유아를 보는 아동관, 교육관, 교사관과 한계점에 대해 각각 살펴보고 ...
<통합교육> 통합교육의 이해 (통합교육정의, 역사적배경, 혜택, 통합교육발전방향, 통합교육...
행동주의 이론 발달과정,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유아교육, 행동주의 이론의 아동관, 행동주...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Reggio-Emilia approach) (역사적 배...
[유아교육과정 공통]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환...
[유아교육과정 공통]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환...
유아교육과정(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 -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제정배경과 내용구성 &am...
[유아발달] 유아발달에 맞는 교구를 생각하고 이론적 근거와 배경을 어디에 두었는지 서술시...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교육목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및 교사의 역할...
영유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을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