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고대의 중국교육
3. 근대의 교육
4. 현대의 교육
5. 한국교육과 중국교육의 차이
⑴ 기초 교육
(2) 기술․직업 교육
(3) 고등 교육
(4) 성인 교육
6. 나오며
참고문헌 및 출처
2. 고대의 중국교육
3. 근대의 교육
4. 현대의 교육
5. 한국교육과 중국교육의 차이
⑴ 기초 교육
(2) 기술․직업 교육
(3) 고등 교육
(4) 성인 교육
6. 나오며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학교에는 문맹식자반과 성인여가소학이 있다. 성인중등학교는 각종 성인여가학교(예를 들면 야간학교, 통신학교, 방송 텔레비젼학교 등을 포함함.)가 있다. 성인대학에는 직공대학, 농민대학, 관리간부학원, 방송텔레비젼대학, 통신학원 등이 있다. 대학독학시험은 우리나라와 비슷하여 독학시험위원회가 주관을 하는데 사회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전공들을 설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에 부속된 사회교육원 및 노인대학이 있다.
6. 나오며
중국교육의 변화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고대시기는 봉건체제 하의 교육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었고, 근대시기는 서방열강의 침략과 내부적인 모순 그리고 봉건과 반봉건의 격돌 등으로 인하여 봉건교육의 모습과 반식민지, 반봉건교육의 모습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 시기는 중국의 전통교육이 근대교육으로 변화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물론 이 당시 그들이 받아들인 근대교육은 서방 자본주의의 것이었다. 1949년 이후의 현대교육은 근대말 중국교육이 가지고 있던 자본주의적 교육체제를 벗어 던지고, 공산주의 교육체제로 또 한 번의 커다란 변모를 가져온 시기였다. 이 과정에서 몇 번의 커다란 사건을 맞이하게 되는데 그것은 1966년에 일어난 문화대혁명과 1980년대 이후의 개혁개방과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도입으로 인한 교육개혁이다. 현재는 사회주의 국가를 기반으로 하되,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일부 수용해서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 교육의 목표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가치체계가 변화하고 또 그것에 맞춰 목표도 재설정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놓고 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서로의 생각을 묻고 각각의 답변에서 하나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즉, 공교육의 최종 목표는 그 나라의 이념에 맞는 건강한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었다. 중국은 마르크스 사상을 바탕으로 사회주의를 그 이념으로 하고 있지만 반면에 한국의 경우는 민주주의를 그 이념으로 하고 있다. 각각 국가의 이념이 다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그 목표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것에 따라 국가는 자신들이 원하는 인재상을 길러내기 위해 교육제도를 수정하고 교육개혁을 단행한다. 우리 모두 교육의 본질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엇갈렸으나, 이러한 국가가 실현하려는 교육, 국가에서 실행하는 교육의 의미에 대해선 의견의 합일점을 찾을 수 있었다. 물론, 국가가 공동체 사회를 위해서 이러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데에는 찬성하지만, 교육이 그것 때문에 진정한 의미를 잃고 정치나 다른 목적만을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내용이 덧붙어야 한다는 조건하에 이러한 종합의견이 나왔다.
교육이 정치적 수단으로 쓰인다는 의견은 곧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이야기로 번져나갔다. 하지만, 조원 중 중국학생의 경우, 동북공정의 내용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 한명도 없었으며, 심지어는 고구려라는 나라의 이름조차 알지 못했다.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가 2002년에 추진되었던 만큼 모를 수도 있다는 생각들었다. 하지만, 교육부분에 있어 중요한사항인 만큼 그 내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것으로 토론을 진행했다. 결론적으로, 고구려는 중국사가 아니라 한국사이며, 각각의 나라는 역사를 기술함에 있어, 왜곡하지 않고 자신들의 역사를 올바르게 기술해야 한다는 것에 입을 모았다. 중국학생 역시 고구려는 중국사가 아니라 한국사이며, 그런 나라는 중국에 없다는 입장이었다.
다음으로 앞으로의 한국과 중국의 교육은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 할까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다들 고민이 많이 되는 부분이었는데, 일단 한국의 경우 중국처럼 대학의 자율성을 확실히 보장하고 엘리트 육성에 앞장서야 할 것이란 의견이 있었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한국과 중국은 기초교육 부분에서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는 경향이 늘고 있는 만큼, 탁아소나 유아원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중국의 경우 기초교육 부분과 교사에 대한 수입확대 그리고 경쟁력 확보가 필요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모두 학교를 많이 건립하고 교사 한명 당 학생 수가 적절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주입식 교육만이 아닌 토론식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 멀티박스 등 기자재의 확충 역시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중국의 경우 21세기를 맞이해서 100개 좌우의 대학과 일군의 중점학과를 중점 건설한다는 ‘211공정’이 95년 발표되었는데, 현재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다. 중국은 이러한 계획을 계속 시행해서 많은 전문 인재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도 교육분야에 대해 중앙정부의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사회변화에 맞는 교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즉, 정보통신분야 분야에 발달에 따라, 미디어 및 사회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과목의 생성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었다.
교육이란 개인 및 사회가 성장할 수 있는 근간이 되는 것이다. 교육의 발달은 개인의 발달은 물론 사회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우리가 논의했던 앞으로의 교육에 대한 이런 많은 생각들이 언젠가 미래의 교육에 반영되어 더 좋은 교육제도의 생성 및 사회의 형성이 이뤄지기를 우리는 내심 기대해보았다.
참고문헌 및 출처
강윤옥, 중국학의 이해, 명지대학교 출판부, 2007
구자억, 중국교육사, 책사랑, 1999
http://www.kandc.biz/bbs/zboard.php?id=edu_tour&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9
http://blog.naver.com/justhyunjae?Redirect=Log&logNo=110012956896
www.eaei.or.kr/down/downloads.asp?filename=%C1%DF%B1%B9%B1%B3%C0%B0.hwp
http://blog.naver.com/jkparkstar?Redirect=Log&logNo=100027127318
http://blog.naver.com/awh76?Redirect=Log&logNo=40014325464
6. 나오며
중국교육의 변화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고대시기는 봉건체제 하의 교육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었고, 근대시기는 서방열강의 침략과 내부적인 모순 그리고 봉건과 반봉건의 격돌 등으로 인하여 봉건교육의 모습과 반식민지, 반봉건교육의 모습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 시기는 중국의 전통교육이 근대교육으로 변화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물론 이 당시 그들이 받아들인 근대교육은 서방 자본주의의 것이었다. 1949년 이후의 현대교육은 근대말 중국교육이 가지고 있던 자본주의적 교육체제를 벗어 던지고, 공산주의 교육체제로 또 한 번의 커다란 변모를 가져온 시기였다. 이 과정에서 몇 번의 커다란 사건을 맞이하게 되는데 그것은 1966년에 일어난 문화대혁명과 1980년대 이후의 개혁개방과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도입으로 인한 교육개혁이다. 현재는 사회주의 국가를 기반으로 하되,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일부 수용해서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 교육의 목표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가치체계가 변화하고 또 그것에 맞춰 목표도 재설정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놓고 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서로의 생각을 묻고 각각의 답변에서 하나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즉, 공교육의 최종 목표는 그 나라의 이념에 맞는 건강한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었다. 중국은 마르크스 사상을 바탕으로 사회주의를 그 이념으로 하고 있지만 반면에 한국의 경우는 민주주의를 그 이념으로 하고 있다. 각각 국가의 이념이 다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그 목표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것에 따라 국가는 자신들이 원하는 인재상을 길러내기 위해 교육제도를 수정하고 교육개혁을 단행한다. 우리 모두 교육의 본질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엇갈렸으나, 이러한 국가가 실현하려는 교육, 국가에서 실행하는 교육의 의미에 대해선 의견의 합일점을 찾을 수 있었다. 물론, 국가가 공동체 사회를 위해서 이러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데에는 찬성하지만, 교육이 그것 때문에 진정한 의미를 잃고 정치나 다른 목적만을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내용이 덧붙어야 한다는 조건하에 이러한 종합의견이 나왔다.
교육이 정치적 수단으로 쓰인다는 의견은 곧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이야기로 번져나갔다. 하지만, 조원 중 중국학생의 경우, 동북공정의 내용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 한명도 없었으며, 심지어는 고구려라는 나라의 이름조차 알지 못했다.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가 2002년에 추진되었던 만큼 모를 수도 있다는 생각들었다. 하지만, 교육부분에 있어 중요한사항인 만큼 그 내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것으로 토론을 진행했다. 결론적으로, 고구려는 중국사가 아니라 한국사이며, 각각의 나라는 역사를 기술함에 있어, 왜곡하지 않고 자신들의 역사를 올바르게 기술해야 한다는 것에 입을 모았다. 중국학생 역시 고구려는 중국사가 아니라 한국사이며, 그런 나라는 중국에 없다는 입장이었다.
다음으로 앞으로의 한국과 중국의 교육은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 할까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다들 고민이 많이 되는 부분이었는데, 일단 한국의 경우 중국처럼 대학의 자율성을 확실히 보장하고 엘리트 육성에 앞장서야 할 것이란 의견이 있었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한국과 중국은 기초교육 부분에서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는 경향이 늘고 있는 만큼, 탁아소나 유아원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중국의 경우 기초교육 부분과 교사에 대한 수입확대 그리고 경쟁력 확보가 필요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모두 학교를 많이 건립하고 교사 한명 당 학생 수가 적절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주입식 교육만이 아닌 토론식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 멀티박스 등 기자재의 확충 역시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중국의 경우 21세기를 맞이해서 100개 좌우의 대학과 일군의 중점학과를 중점 건설한다는 ‘211공정’이 95년 발표되었는데, 현재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다. 중국은 이러한 계획을 계속 시행해서 많은 전문 인재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도 교육분야에 대해 중앙정부의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사회변화에 맞는 교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즉, 정보통신분야 분야에 발달에 따라, 미디어 및 사회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과목의 생성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었다.
교육이란 개인 및 사회가 성장할 수 있는 근간이 되는 것이다. 교육의 발달은 개인의 발달은 물론 사회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우리가 논의했던 앞으로의 교육에 대한 이런 많은 생각들이 언젠가 미래의 교육에 반영되어 더 좋은 교육제도의 생성 및 사회의 형성이 이뤄지기를 우리는 내심 기대해보았다.
참고문헌 및 출처
강윤옥, 중국학의 이해, 명지대학교 출판부, 2007
구자억, 중국교육사, 책사랑, 1999
http://www.kandc.biz/bbs/zboard.php?id=edu_tour&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9
http://blog.naver.com/justhyunjae?Redirect=Log&logNo=110012956896
www.eaei.or.kr/down/downloads.asp?filename=%C1%DF%B1%B9%B1%B3%C0%B0.hwp
http://blog.naver.com/jkparkstar?Redirect=Log&logNo=100027127318
http://blog.naver.com/awh76?Redirect=Log&logNo=40014325464
추천자료
<<고대중국인의 생사관>>을 읽고(서평)
중국고대 예속민의 전체적 개괄
고대교육철학과플라톤의교육론
중국고대사 - 최초의 통일왕조 진의 역사
중국고대신화
중국고대산문
[중국고대사] 중국고대사 A+ 정리
서구의 고대교육 연구 - 아테네, 스파르타교육, 소피스트
중국고대의 풍경 //미야쟈키 이치사다의 중국중세사 1장 골짜기의 시대 정리
[시간][고대중국][아프리카인][천주교][고대중국인의 시간][아프리카인의 시간][천주교의 시...
중국고대음악사
중국고대 철학 고찰
<중국고대의 사상적 배경과 에토스 - 신과 인간의 교감> 고대 중국의 종교적 특징, 고대 유가...
(고대동양교육) 고대 동양의 교육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