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인 물에 관하여 (단원 김홍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단원 김홍도를 선정한 이유

#배경,환경
-시대적 배경
-사회적 배경
-인맥 환경
-김홍도의 생애

#성격, 특성
모습과 인품

#산출과정 및 업적

#창의적인 지도자의 유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았던 성실하고 의지가 강한 인물이었다.
그는 우리나라 산천의 아름다움을 건실한 사실성의 바탕위에서 독특한 시정을 담아 재현한 진경산수의 화풍을 열고 입지를 다졌으며 실제 사생의 경험을 통해서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그리고 우리 조상들의 삶을 있는 그대로 과장 없이 그려내면서 그 멋과 흥, 해학을 이끌어 낸 풍속화의 자리 또한 확고히 하였다. 중국화만 모방하던 때에 자신의 것을 발견하고 발전시키려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일생을 보냈다. 한국회화를 중국회화의 정법이라는 속박으로 부터 과감히 탈피하여 김홍도 풍속화의 독자적이며 창조적인 길을 개척하였던 것이다.
김홍도는 산수화와 풍속화 이외에도 많은 부분에서 많은 활동을 하였는데, 모든 영역에서 그는 기존의 틀에 안주하지 않고 중국의 것을 추앙하는 조선의 풍토를 바꾸고 우리의 것을 찾고자 노력한 화가이다. 그의 화풍은 당대 화계에 널리 파급되어 류수관, 이인문, 박제가, 김득신, 신윤복, 김석신 등 많은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4) 창의적인 지도자의 유형
김홍도는 조선시대 인물이고 화원이었다. 그가 틀을 깨고 새로움을 추구하며 여러방면에 새로운 화풍을 개척하였으나 자신의 입장을 언제나 잊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김홍도는 기존의 화풍에 새로움을 가미하며 점차적으로 발전시켜나가는 유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텐버그의 창의적 인물 유형에 있어서 그는 '전진 증강'(전진이동)유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 김홍도 年譜 >
▶1774년 강세황이 서울에서 안산시 부곡동 처가 근처로 이사옴 1745(영조21)년 金海 金氏 중인 집안에서 출생, 증조부는 萬戶(종4품). 부친 金錫武 는 벼슬없음
소년기 - 10대 : 安山에서 유명한 문인화가 강세황(姜世晃)과 문학가 이용휴(李用休)의 가르침을 받음으로서 문예 전반의 교양 을 쌓음.
10대말 - 20초 : 도화서 화원이 됨. 20대부터 명성 날림.
1765(영조41)년 (21세) :《景賢堂受爵圖?屛》을 그림(그림은 전하지 않음).
1773(영조49)년 (29세) : 英祖御眞 및 世孫(正祖)의 초상을 그리는데 동참화사
1776(영조52)년 (32세) : 봄 호암미술관 소장 《群仙圖》8첩병풍
▶3월 5일 英祖 승하, 正祖 즉위.
1778(정조 2)년 (34세) :《行旅風俗圖》 8첩병풍, <西園雅集圖>扇面,<西園雅集圖>6첩병풍
1779(정조 3)년 (35세) :《神仙圖》 8첩병풍(국립박물관), <松月圖>
1781(정조 5)년 (37세) : * 眞率會. <仕女圖>, <正祖御眞>(31세상), 《慕堂平生圖》8첩병풍
1782(정조 6)년 (38세) : <南極星圖>
1783(정조 7)년 (39세) : 12월 28일 경상도 安奇察訪 임명(이후 1786년 5월까지 2년4개월간 재임).
1784(정조 8)년 (40세) : 燈淸閣雅集. 淸凉山 遊覽 <檀園圖>
1786(정조10)년 (42세) : "湛樂薺"懸板(안동인근 풍산읍 상리동 宣城李氏 ?華亭)
5월 경상감사 김상철과 이병모의 선정비 세움(현재 안동시립민속박물관 뜰).
5월 안기찰방 임기를 마치고 강세황에게 「檀園記」를 청해 받음
<安陵新迎圖>(原本은 전하지 않음).
1787(정조11)년 (43세) : 李漢鎭과 <寧靜帖>을 합작
1788(정조12)년 (44세) : <金泥竹鶴圖>선면, <金泥花鳥圖>>선면.
隱巖雅集, 4월2일 李德懋의 부친의 71세 생일잔치에참석, 가을 金剛山 寫景.
1789(정조13)년 (45세) : 對馬島에 가서 지도를 그림. ※ 顯隆園 영건.
1790(정조14)년 (46세) : ※龍珠寺 창건, <騎驢遠遊圖>선면, 《十老圖象帖》 (강세황과 합작)
1791(정조15)년 (47세) : ※강세황 卒(79세), <松石園詩社夜宴圖>, <정조어진>, 12월 22일 충청도 延豊縣監 임명.
1792(정조16)년 (48세) : 연초 연풍현감 부임. 公靜山 上菴寺에 기우제와 시주. 이때쯤 아들 金良驥 출생. 9월 李光燮, 李漢鎭, 黃 運祚 등과 西原雅集.
1793(정조17)년 (49세) : 연풍현감 재임. ※봄 작년에 이어 三南에 가뭄과 기근.
1794(정조18)년 (50세) : 연풍현감 재임. ※3년 연이어 三南에 큰 기근.
1795(정조19)년 (51세) : ※1월 7일 연풍현감 해임.
▶윤2월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華城).
『園幸乙卯整理儀軌』圖設 삽화, 《을묘년화첩》, 《풍속도8첩병풍》
1796(정조20)년 (52세) :《병진년화첩》(檀園折世帖), 『佛設大報父母恩重經』再刊.
<徐直修肖像>, 《園幸乙卯整理所?屛》(수원능행도).
※8월 19일 華城 완공, 水原行宮에 排設한 병풍 ?本華城秋八景圖 그림.
1797(정조21)년 (53세) : 『五倫行實圖』
1798(정조22)년 (54세) : <海山仙鶴圖>
1799(정조23)년 (55세) : ※ 이 무렵부터 만년에 쓴 書簡과 詩文이 《檀園遺墨》
1800(정조24)년 (56세) : 正初 歲畵 《朱夫子詩意圖>, 8첩병풍
▶6월 28일 正祖 갑자기 승하함.
1801(순조 1)년 (57세) : 《三公不換圖?屛》
1802(순조 2)년 (58세) : <滄波圖>선면, <老僧觀瀾圖>, <歸漁圖>
1803(순조 3)년 (59세) : <冠巖圖> 그림( 《高山九曲圖12첩》 병풍 중 제3폭).
1804(순조 4)년 (60세) : 이무렵 천식 등 병고로 시달림. 5월 5일 규장각 차비대령화원으로 처음 差定 됨. <耆老世聯契圖>,
<老梅圖>, <知章騎馬圖>
1805(순조 5)년 (61세) : 8월 규장각 차비대령화원 祿取才에 마지막 참여함.
<秋聲賦圖>
1809년말 이후 1809년 이전 어느 때 죽음.
1809(순조 9)년 : 純祖가 《海山帖》을 洪顯周에게 下賜함.
1818(순조18)년 : 아들 김양기가 《檀園遺墨》을 만듬.
[참고문헌]
도서
-단원 김홍도 연구 ; 일지사, 진준현
-단원 김홍도 ; 열화당, 오주석
논문
-단원 김홍도의 현실인식에 대한 고찰 ; 홍익대학교 동양화학과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에 관한 연구 ;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김홍도의 진경산수에 대한 연구 ; 홍익대학교 대학원
인터넷
-단원 미술제 사이트 ; http://www.danwon.org/new/sub_03_03.htm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0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