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향가
2. 배경설화
3. 작품해석
4. 설화의 신빙성
2. 배경설화
3. 작품해석
4. 설화의 신빙성
본문내용
, 백제 멸망 이후에 미륵사 승려들이 절을 구하고자 신라와 미륵사가 관련이 있는 것처럼 지어낸 설화라는 주장도 있다. 혹자는 서동이 동성왕을 가리키는 것이라 주장하기도 한다. 또 다른 설(設)은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과 당대 실존했던 만명공주의 사랑이야기라는 것이다. 김서현은 가야파를 대표하는 각간 김무력의 아들인데 당시 집권층인 경주파들이 꺼려하는 인물이었다. 만명공주의 어머니 만호태후는 그러한 이유로 둘의 사랑을 극렬히 반대해서 만명공주가 궁 밖으로 출입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러나 만명공주는 밤에 몰래 궁궐의 담을 넘어 서현랑과 정을 통해 김유신을 잉태한다. 그 소문이 왕의 귀에 들어가 서현랑은 한직으로 쫓겨나고 공주는 집안과 의절을 당하는데, 먼 훗날 김유신을 매개로 하여 용서받았다는 설(設)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