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TV(텔레비전)의 영향
Ⅲ. 사회적 맥락에서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Ⅳ. 뉴미디어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Ⅴ. 가정별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Ⅵ. 주5일 근무자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참고문헌
Ⅱ. TV(텔레비전)의 영향
Ⅲ. 사회적 맥락에서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Ⅳ. 뉴미디어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Ⅴ. 가정별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Ⅵ. 주5일 근무자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이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원만한 가족관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결론을 가지게 한다.
Ⅵ. 주5일 근무자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TV시청과 관련하여 주5일 근무자의 금요일 심야시간대 TV시청경향 및 시청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요일 오전 근무가 없는 주5일 근무자의 토요일 오전 TV시청 경향이 높아지고 있어 주5일 근무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 방송사들의 경우 금요일 심야시간대와 토요일 오전시간대에 주5일 근무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편성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심야시간대 매체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이용이 TV시청을 대체하는 경쟁관계가 불가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여전히 심야시간대 이용 매체로 인터넷이 차지하는 비중이 33.7%이고 TV(지상파TV, 케이블TV, 위성TV)가 차지하는 비중이 64.1%이지만 심야시간대 매체이용시간을 비교해 보면 TV시청 시간이 약 47분이고 인터넷이용 시간이 약 50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제한된 시간적 여건을 고려할 때 두 매체간 일정정도의 대체관계가 예측된다. 하지만 인터넷이용이 주로 낮 시간대에 이루어지고 저녁시간이나 심야시간대에는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어 젊은층과 같은 특정집단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인터넷이용이 TV시청을 대체할 만큼 위협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시청자들은 주5일 근무제 실시 이후 주말 방송 프로그램 중 편성시간을 증대해야하는 프로그램으로 영화 프로그램과 학습/교양 및 생활정보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야시간대에는 영화 프로그램의 편성시간 증대를 가장 원하고 있어 심야시간대 TV시청량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가시간의 증가와 함께 여가관련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 이와 관련된 학습/교양 및 생활정보 프로그램의 편성시간 증대 욕구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 박양원(1983), TV수용과 가족성원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미 외(1994), 가정생활에서의 바람직한 텔레비전 역할 모색 연구 - 가족
* 안정임(1996), 가족 TV시청의 사회환경적 요인: 생태학적 모델을 중심으로
* 추광영(1995), 1980년대 한국인의 매체접촉행태의 변화분석
* 홍석운(1993), 가족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TV의 사회적 이용의 관계에 대한 연구
Ⅵ. 주5일 근무자의 TV시청(텔레비전시청)행태
TV시청과 관련하여 주5일 근무자의 금요일 심야시간대 TV시청경향 및 시청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요일 오전 근무가 없는 주5일 근무자의 토요일 오전 TV시청 경향이 높아지고 있어 주5일 근무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 방송사들의 경우 금요일 심야시간대와 토요일 오전시간대에 주5일 근무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편성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심야시간대 매체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이용이 TV시청을 대체하는 경쟁관계가 불가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여전히 심야시간대 이용 매체로 인터넷이 차지하는 비중이 33.7%이고 TV(지상파TV, 케이블TV, 위성TV)가 차지하는 비중이 64.1%이지만 심야시간대 매체이용시간을 비교해 보면 TV시청 시간이 약 47분이고 인터넷이용 시간이 약 50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제한된 시간적 여건을 고려할 때 두 매체간 일정정도의 대체관계가 예측된다. 하지만 인터넷이용이 주로 낮 시간대에 이루어지고 저녁시간이나 심야시간대에는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어 젊은층과 같은 특정집단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인터넷이용이 TV시청을 대체할 만큼 위협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시청자들은 주5일 근무제 실시 이후 주말 방송 프로그램 중 편성시간을 증대해야하는 프로그램으로 영화 프로그램과 학습/교양 및 생활정보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야시간대에는 영화 프로그램의 편성시간 증대를 가장 원하고 있어 심야시간대 TV시청량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가시간의 증가와 함께 여가관련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 이와 관련된 학습/교양 및 생활정보 프로그램의 편성시간 증대 욕구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 박양원(1983), TV수용과 가족성원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미 외(1994), 가정생활에서의 바람직한 텔레비전 역할 모색 연구 - 가족
* 안정임(1996), 가족 TV시청의 사회환경적 요인: 생태학적 모델을 중심으로
* 추광영(1995), 1980년대 한국인의 매체접촉행태의 변화분석
* 홍석운(1993), 가족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TV의 사회적 이용의 관계에 대한 연구
추천자료
시청앞 광장 조성계획
드라마 시청행태 연구 분석- 연령대별 드라마 선택 요인 및 드라마 제작시 시사점
서울시청광장
영천시청과 푸르덴셜 기관방문
텔레비전(TV)의 폭력성과 나아갈방향
오디션 프로그램 시청자 설문조사
서울시청앞 문화광장의 공연이벤트 기획서(올바른 문화조성과 시민들의 참여를 위한)
트루먼쇼 발표 시청 감상 소감문(자유의지)
텔레비전에대하여를 읽고 한국 TV 토론 프로그램에 대하여 고찰하기
k_프로그램이_시청자들에게_미치는_암(暗)
슈퍼히어로물 시청여부가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pptx
폭력물 시청에 대한 위험성과 대책에 대해 토론.
과도한 미디어 시청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시청자視聽者 평가 프로그램 (방송 3사 옴부즈맨 프로그램 비교 비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