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3. 실험 기구 및 장치
4. 실험 방법
5. 참고 문헌
2. 이론
3. 실험 기구 및 장치
4. 실험 방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GND" 측정단자에 연결한다.
④ 채널의 입력 선택 단자를 “round”에 놓는다.
⑤ 황색 LED와 D3 (광섬유 LED)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빛의 속도 장치용 어댑터
를 연결한다.
⑥ “Calibration Delay” 손잡이를 12시 방향으로 돌린다.
⑦ 15cm 광섬유를 D3와 D8에 연결한다. 이때 채널 1의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은 아래의
왼쪽 그림 과 같고 약 3.5V, 35ns 범위의 신호를 갖는다.
⑧ 채널 2의 입력를 접지에서 AC copling에 놓으면 채널 2의 펄스는 1~1.5V, 75ns의
범위가 될 것이다. 채널 1와 채널 2의 펄스를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맞추면 위의 오른쪽
그림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⑨ 오실로스코프의 Times/Div를 20ns에 놓는다. 그 다음 15cm 광섬유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20m 광섬유를 연결한다.
⑩ 오실로스코프의 CRT 화면을 관찰한다.
⑪ Refererence 펄스와 delay 펄스의 간격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약 90 ~110ns)
⑫ 식 (1) 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c :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
n : 광섬유의 굴절률
l : 광섬유의 길이(단위 m)
t : 20m 광섬유의 시간 간격(단위 ns)
5 . 참고 문헌
[1] 교양물리 교재 편찬 위원회. 대학생을 위한 기초 물리학.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3
[2] James F. Shackelford. Introduction to material science for engineers. 5th Edition
Prentice Hall, INC. 2000
④ 채널의 입력 선택 단자를 “round”에 놓는다.
⑤ 황색 LED와 D3 (광섬유 LED)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빛의 속도 장치용 어댑터
를 연결한다.
⑥ “Calibration Delay” 손잡이를 12시 방향으로 돌린다.
⑦ 15cm 광섬유를 D3와 D8에 연결한다. 이때 채널 1의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은 아래의
왼쪽 그림 과 같고 약 3.5V, 35ns 범위의 신호를 갖는다.
⑧ 채널 2의 입력를 접지에서 AC copling에 놓으면 채널 2의 펄스는 1~1.5V, 75ns의
범위가 될 것이다. 채널 1와 채널 2의 펄스를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맞추면 위의 오른쪽
그림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⑨ 오실로스코프의 Times/Div를 20ns에 놓는다. 그 다음 15cm 광섬유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20m 광섬유를 연결한다.
⑩ 오실로스코프의 CRT 화면을 관찰한다.
⑪ Refererence 펄스와 delay 펄스의 간격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약 90 ~110ns)
⑫ 식 (1) 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c :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
n : 광섬유의 굴절률
l : 광섬유의 길이(단위 m)
t : 20m 광섬유의 시간 간격(단위 ns)
5 . 참고 문헌
[1] 교양물리 교재 편찬 위원회. 대학생을 위한 기초 물리학.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3
[2] James F. Shackelford. Introduction to material science for engineers. 5th Edition
Prentice Hall, INC.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