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때
- 예제 ) n₁=1.5 크기가 10cm 각도 로 n₂=2인 곳으로 단일 구면에 입사한 상의 각도를 3였을때 h는?
에서
- 예제 ) D= 10.00, 물체가 10cm 크기로 렌즈앞 40cm에 있을 때 상의 크기는?
- 명시역 거리를 기준으로 한 배율 ① 높이 렌즈 초점에 있을 때
② 높이 렌즈 초점 안에 있을 때
※ 색수차 ※
- 색수차의 원인
: 굴절률, 파장, 꺾임각, 굴절력
※ 물색 프리즘 ※
= 색수차 제거 프리즘
※ 분산량이 이고 각 렌즈의 아베수가 일 때 정각을 얼마로 해야 몰색 렌즈가 되는가? ※
※ 색수차 제거 렌즈 ※
- 색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매이상의 렌즈를 조합 할 렌즈를 만들 필요 있음
① 2매의 렌즈를 밀착하였을 때
- 크라운 렌즈를 (+)렌즈와 flint렌즈인 (-)렌즈를 접촉 시킨 것으로 이 경우 (+)굴절력을 가진 크라운 렌즈가 (-)렌즈 보다 굴절력이 강하도록 결정, 전체 굴절력은 (+)굴절력을 갖게 되고 분산은 상쇄되어 모든 파장 에 대한 상은 근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게 됨 물색렌즈 (색수차 제거 렌즈 )
- 물색 렌즈 조건 : 굴절력 의 2매의 얇은 렌즈 , 아베수 주어질 때
- 예제) 두 렌즈의 결합 굴절력이 +1.50D이고 한 렌즈의 아베수 =50, 굴절력 +2.00D이다. 색수차를 제거하 기 위한 다른 렌즈의 아베수는?
- 예제) 두 렌즈의 아베수, 총굴절력이 D일 때 색수차를 제거하기 위한 각 렌즈의 굴절력은?
② 2매의 렌즈가 떨어져 있을 때 ( 색수차 제거 렌즈 )
- 두 렌즈가 일정거리 (d)를 유지 함으로 색수차가 제거됨
색수차 제거
※ 단색광 수차 ※
- 원인 : 렌즈가 구면,입사광 높이에 따라 여러 광의ㅣ 교차점이 불 일치
※ 구면 수차량 ※
※ Lens bending과 구면 수차량 ※
- 물체거리 s와 입사고 h를 일정하게 하면 수차량은 렌즈의 형태, 의 수차에 의해 변함
- 양 구면 를 변화 시켜 bending 시키므로 구면 수차를 줄일 수 있음
-
-3< q< -2에서 (-)렌즈 구면 수차가 제거 될 최소값 (q=0.714)에서
(+)렌즈 구면 수차 제거
※ 구명 수차의 보정 ※ 전면의 볼록렌즈는 큰 (+)값을 갖고, 후면의 오목레즈
① Bending 의 조절 최소 는 굴절력 작게, 구면수차는 크게 함, 이 결과 합성
② 비구면 렌즈 렌즈는 서로의 구면 수차는 제거 시키고 (+)굴절력됨
③ stop를 세움 (근축 광선 이룸)
④ 서로 다른 성질의 두 개의 렌즈를 합성
( 단렌즈 ) ( 접착 렌즈 )
※ Coma 수차 ※
- 입사점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횡배율이 변함)
구결적 S
자오적 T T = 3S
Coma원의 크기 → s ~
※ 코마 수차의 제거 ※
① 정현 조선 (Abbe의 조건 )= 일정
② Bending → (coma 수차를 렌즈의 곡률 반경 조절로 제건 된다.)
- 예제) (+)렌즈의 구면 수차 coma수차가 최소인 형태는?
※ 비점 수차 ※
- 상의 교차점이 2개 , ① 원인 : 광축을 벗어난 광 ② 최소 착란원의 위치, 크기 구하는 법
T상, 자오적 S 상 구결적
- 구면경 → 비점수차 ( 위치 관계 )
- 비점수차의 보정 : 비점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간격을 가진 다른 렌즈를 사용하거나 조리개 설치
- 예제 ) 양초선의 길이가 각 각 12.5cm 인 직경 70cm인 토릭 렌즈의 최소 착란원의 위치, 크기는?
① 최소 착란원의 위치 (D)
② 최소 착란원의 크기 (r)
※ 상의 만곡과 Petzval 조건 ※
- 상의 선명도약은 관계 없고 뒷상의 screen 곡면과 관계
곡면 평면
- 상의 곡률 만경
- 얇은 렌즈의 상의 만곡 제거
- 비점 수차 및 상면의 만곡을 보정한 광학계 : 언애스티멧 ( anastigmat)
※ 왜곡 수차 ※
실패형 : 횡배율이 커진 경우
술통형 : 횡배율이 점점 작아짐
- 왜곡 수차 제거 : ① Pin hole ② Stop : 중앙에 구경 조리개를 위치 시키고 그 양측
정상 조절 에 똑같은 형태의 렌즈계를 대칭으로 위치
입사동 출사동
- 입사동 출사동의 위치 : Gauss식 :
- 입사동 출사동의 크기 : 횡배율 :
- 예제)Stop의 구경 0.8cm , stop의 위치의 절반 (s/2) ,상의 위치 14cm, 초점 f 9cm일 때 출사동의 크기?
① 물체의 위치 :
∴ stop의 위치는 물체의 위치에 절반이므로 → -12.6cm
② 횡배율 :
③ 출사동의 위치 :
④ ②에서 가 출사동의 위치
- 예제 ) n₁=1.5 크기가 10cm 각도 로 n₂=2인 곳으로 단일 구면에 입사한 상의 각도를 3였을때 h는?
에서
- 예제 ) D= 10.00, 물체가 10cm 크기로 렌즈앞 40cm에 있을 때 상의 크기는?
- 명시역 거리를 기준으로 한 배율 ① 높이 렌즈 초점에 있을 때
② 높이 렌즈 초점 안에 있을 때
※ 색수차 ※
- 색수차의 원인
: 굴절률, 파장, 꺾임각, 굴절력
※ 물색 프리즘 ※
= 색수차 제거 프리즘
※ 분산량이 이고 각 렌즈의 아베수가 일 때 정각을 얼마로 해야 몰색 렌즈가 되는가? ※
※ 색수차 제거 렌즈 ※
- 색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매이상의 렌즈를 조합 할 렌즈를 만들 필요 있음
① 2매의 렌즈를 밀착하였을 때
- 크라운 렌즈를 (+)렌즈와 flint렌즈인 (-)렌즈를 접촉 시킨 것으로 이 경우 (+)굴절력을 가진 크라운 렌즈가 (-)렌즈 보다 굴절력이 강하도록 결정, 전체 굴절력은 (+)굴절력을 갖게 되고 분산은 상쇄되어 모든 파장 에 대한 상은 근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게 됨 물색렌즈 (색수차 제거 렌즈 )
- 물색 렌즈 조건 : 굴절력 의 2매의 얇은 렌즈 , 아베수 주어질 때
- 예제) 두 렌즈의 결합 굴절력이 +1.50D이고 한 렌즈의 아베수 =50, 굴절력 +2.00D이다. 색수차를 제거하 기 위한 다른 렌즈의 아베수는?
- 예제) 두 렌즈의 아베수, 총굴절력이 D일 때 색수차를 제거하기 위한 각 렌즈의 굴절력은?
② 2매의 렌즈가 떨어져 있을 때 ( 색수차 제거 렌즈 )
- 두 렌즈가 일정거리 (d)를 유지 함으로 색수차가 제거됨
색수차 제거
※ 단색광 수차 ※
- 원인 : 렌즈가 구면,입사광 높이에 따라 여러 광의ㅣ 교차점이 불 일치
※ 구면 수차량 ※
※ Lens bending과 구면 수차량 ※
- 물체거리 s와 입사고 h를 일정하게 하면 수차량은 렌즈의 형태, 의 수차에 의해 변함
- 양 구면 를 변화 시켜 bending 시키므로 구면 수차를 줄일 수 있음
-
-3< q< -2에서 (-)렌즈 구면 수차가 제거 될 최소값 (q=0.714)에서
(+)렌즈 구면 수차 제거
※ 구명 수차의 보정 ※ 전면의 볼록렌즈는 큰 (+)값을 갖고, 후면의 오목레즈
① Bending 의 조절 최소 는 굴절력 작게, 구면수차는 크게 함, 이 결과 합성
② 비구면 렌즈 렌즈는 서로의 구면 수차는 제거 시키고 (+)굴절력됨
③ stop를 세움 (근축 광선 이룸)
④ 서로 다른 성질의 두 개의 렌즈를 합성
( 단렌즈 ) ( 접착 렌즈 )
※ Coma 수차 ※
- 입사점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횡배율이 변함)
구결적 S
자오적 T T = 3S
Coma원의 크기 → s ~
※ 코마 수차의 제거 ※
① 정현 조선 (Abbe의 조건 )= 일정
② Bending → (coma 수차를 렌즈의 곡률 반경 조절로 제건 된다.)
- 예제) (+)렌즈의 구면 수차 coma수차가 최소인 형태는?
※ 비점 수차 ※
- 상의 교차점이 2개 , ① 원인 : 광축을 벗어난 광 ② 최소 착란원의 위치, 크기 구하는 법
T상, 자오적 S 상 구결적
- 구면경 → 비점수차 ( 위치 관계 )
- 비점수차의 보정 : 비점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간격을 가진 다른 렌즈를 사용하거나 조리개 설치
- 예제 ) 양초선의 길이가 각 각 12.5cm 인 직경 70cm인 토릭 렌즈의 최소 착란원의 위치, 크기는?
① 최소 착란원의 위치 (D)
② 최소 착란원의 크기 (r)
※ 상의 만곡과 Petzval 조건 ※
- 상의 선명도약은 관계 없고 뒷상의 screen 곡면과 관계
곡면 평면
- 상의 곡률 만경
- 얇은 렌즈의 상의 만곡 제거
- 비점 수차 및 상면의 만곡을 보정한 광학계 : 언애스티멧 ( anastigmat)
※ 왜곡 수차 ※
실패형 : 횡배율이 커진 경우
술통형 : 횡배율이 점점 작아짐
- 왜곡 수차 제거 : ① Pin hole ② Stop : 중앙에 구경 조리개를 위치 시키고 그 양측
정상 조절 에 똑같은 형태의 렌즈계를 대칭으로 위치
입사동 출사동
- 입사동 출사동의 위치 : Gauss식 :
- 입사동 출사동의 크기 : 횡배율 :
- 예제)Stop의 구경 0.8cm , stop의 위치의 절반 (s/2) ,상의 위치 14cm, 초점 f 9cm일 때 출사동의 크기?
① 물체의 위치 :
∴ stop의 위치는 물체의 위치에 절반이므로 → -12.6cm
② 횡배율 :
③ 출사동의 위치 :
④ ②에서 가 출사동의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