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책에 대한 보편적 인식과 그 타당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2.1 만화책에 대한 보편적 인식
2.1.1 만화책은 유해하다.
2.1.2 만화책은 미성년자들의 전유물이다.
2.1.3 만화책은 교양을 쌓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2.2 반론
2.2.1 만화책은 생각만큼 유해하지 않다.
2.2.2 만화책은 어린이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2.2.3 만화책으로도 교양을 쌓을 수 있다.
2.2.4 만화책은 산업이다.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이 만화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만화=유치’라는 공식 따위는 지워버려야 할 것이다. 특히 미국의 애니메이션이나 일본의 재패니메이션에는 열광을 하며 영화로써 가치를 인정하면서 평론가들도 그 작품성을 인정한 우리나라 작품들은 무시하는 생각들부터 고쳐야 할 것이다.
얼마 전 ‘신 암행어사’ 라는 애니메이션이 개봉했다. 우리나라 작가가 그린 만화책이 일본에 건너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그것을 일본에서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어느 평론가의 말처럼 우리나라 사람들의 편견을 버리지 않는 한 우리나라 애니메이션은 성공을 거둘 수가 없다. 편견을 버리고 하나의 문화로써 함께 즐기는 문화로 인정을 받을 때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또한 ‘코니메이션’이란 평가를 받으며 세계로 뻗어나가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만화책을 보는 사람들에 대한 인식부터 바꿔야 할 것이다. 분명 만화책은 유해하기만 한 것이 아니며 미성년자들의 전유물 또한 아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통하여 많은 교양과 지식을 쌓을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참고 사이트
네이버 검색 www.naver.com
참고 문헌
요시히로토가시. 유유백서. 2002. 대원씨아이(주)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0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