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은 그렇지 않다. 이 전도율이 떨어지는 접합면을 공핍영역(depletion zone)이라고 하며, P형 반도체의 운반자인 정공과, N형 반도체의 운반자인 전자가 서로 끌어당겨서 재결합하면서 없어지기 때문에 생긴다. 이 전도율이 떨어지는 부분을 을 이용해서 다이오드를 만든다. 다이오드는 한쪽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를 수 있지만, 다른 쪽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소자이다. 이런 특성은 정방향 바이어스와 역방향 바이어스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바이어스라는 말은 P-N접합에 전압을 걸어주는 것을 뜻한다.
결론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진성반도체,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의 특징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고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한 PN접합에 대해서도 공부할 수 있었다. PN접합한 반도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다이오드이고 이 다이오드가 다시 응용되면, TR로 쓰일 수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 N형의 가장기본적인 반도체가 접합을 통해 다른 유용한 소자가 되는 것을 알게 될 수 있었다.
Ref: http://ko.wikipedia.org/wiki/
http://www.semipark.co.kr/semidoc/basic/story.asp
결론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진성반도체,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의 특징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고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한 PN접합에 대해서도 공부할 수 있었다. PN접합한 반도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다이오드이고 이 다이오드가 다시 응용되면, TR로 쓰일 수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 N형의 가장기본적인 반도체가 접합을 통해 다른 유용한 소자가 되는 것을 알게 될 수 있었다.
Ref: http://ko.wikipedia.org/wiki/
http://www.semipark.co.kr/semidoc/basic/story.asp
추천자료
트랜지스터의 특성 예비보고서
Electronic Device Cooling-냉각장치
생체감각과 센서기술
LED(발광다이오드)
LED (발광 다이오드) 완벽정리 ( 동작원리 , 정의, 특징 )
LED (발광 다이오드) 완벽정리 ( 동작원리 , 정의, 특징 )
싸이리스터 ( Thyristor )
다이오드의 전압 전류 특성 곡선
Power BJT, Power FET, Thyristor, IGBT 스위칭 소자에 대한 특성 분석
실험 1. 다이오드 특성 및 반파 정류회로 실험
조명설비 (LED)
[실험 리포트] 전자회로실험 - 접합다이오드 결과
[전자회로 실습] 전자아이스파이스 PN접합
열전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