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개최이다?/된다.
[표 14]
지금까지는 「Y는 X다」의 관계가 성립할 때 「の」에 대해서「인」이 사용되었다.
이제까지 들었던 「の」와「인」의 대응 예를 보면, 모두 수식부가 피수식부에 오는 사물이나 상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22)~(24)에서 「인」이 사용되지 않는 것에서「인」에 의한 연체수식은 수식부가 피수식부에 오는 사물의 상태, 특징을 나타내는 때에 쓰이고, 수식부가 피수식부에 오는 사물의 동작을 나타내는 때에는 쓰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22‘)~(24’)를 보면 연체형인 「인」과 문말에 사용된 「이다」와는 사용법에 조금 차이가 있다.
(22‘b)는「이다」가 사용되었는데, (23’b), (24’b)의 「이다」는 informant에 따라 인정하기도 하고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결석」처럼 동작보다는 그 결과상태를 나타내는 말의 경우에는「이다」가 인정되기 용이하며, 「도착」, 「개최」등 동작 그 자체를 나타내는 말의 경우는 「이다」가 인정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런데, 수식부에 動作性名詞가 오더라도 다음의 경우에는 「의」「인」이 사용된다.
구 분
日 本 語 (a)
한 국 어(b)
例 文 (25)
私は一時出の飛行機にります。
나는 10시 출발의 / 인 / 하는 비행기를∼
例 文 (26)
私は一時に出の飛行機にります。
나는 10시에 출발하는 비행기를∼
[표 15]
(25)의 경우, “一時出”이라는 어구는 동작 그 자체를 나타내기 보다는 “九時出”등과 병렬적 관계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비행기가 가진 특징의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된다. 즉 “출발”이라는 어구의 동작성이 약해진 결과, 한국어에서는 「인」도 쓸 수 있는 것 같다.
한편, (26)은 특징보다 동작 자체를 나타내는 성격이 강해서 「인」이 쓰이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 (25)에서 「의」도 쓰일 수 있는 것은, 앞장에 기술한 「二十」등과 같이 「10시출발」이「비행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로 형용사적인 특징을 갖기 때문일 것이다.
六。ま と め
①「の」와「인」이 대응하는 것은 「の」를 제외한 수식부 X와 피수식부 Y가「Y는 X다」의
관계가 될 수 있는 경우이고, 「の」와「의」가 대응하는 것은 그러한 관계가 없는 경우이다.
이것으로 일본어의 「の」에 의한 연체수식은 적어도 상이한 두 유형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② 한국어는 상황에 따라 「의」,「인」아무거나 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의」,「인」의 앞의 어구가 명사(구)로 수식부 전체가 형용사에 가까운 성격을 가질 때 이다. 이 경우, 수식부가 피수식부의 부가적인 설명이 되는 때(付け足し的 수식)에는 「인」이 쓰이고, 수식부와 피수식부가 연결된 대상을 한정, 특정하는 때(絞りみ的 수식)에는 「의」가 쓰인다.
③ 「の」에 의한 연체수식에 수식부 X와 피수식부 Y가 「Y는 X다」의 관계갈 될 때, 한국어 에는 「인」외에 동사연체형이 대응하기도 한다.
「인」이 쓰이는 것은 수식부가 피수식부의 상태, 특징을 나타낼 경우이고, 수식부가 피수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때는 동사의 연용형이 쓰인다.
[표 14]
지금까지는 「Y는 X다」의 관계가 성립할 때 「の」에 대해서「인」이 사용되었다.
이제까지 들었던 「の」와「인」의 대응 예를 보면, 모두 수식부가 피수식부에 오는 사물이나 상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22)~(24)에서 「인」이 사용되지 않는 것에서「인」에 의한 연체수식은 수식부가 피수식부에 오는 사물의 상태, 특징을 나타내는 때에 쓰이고, 수식부가 피수식부에 오는 사물의 동작을 나타내는 때에는 쓰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22‘)~(24’)를 보면 연체형인 「인」과 문말에 사용된 「이다」와는 사용법에 조금 차이가 있다.
(22‘b)는「이다」가 사용되었는데, (23’b), (24’b)의 「이다」는 informant에 따라 인정하기도 하고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결석」처럼 동작보다는 그 결과상태를 나타내는 말의 경우에는「이다」가 인정되기 용이하며, 「도착」, 「개최」등 동작 그 자체를 나타내는 말의 경우는 「이다」가 인정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런데, 수식부에 動作性名詞가 오더라도 다음의 경우에는 「의」「인」이 사용된다.
구 분
日 本 語 (a)
한 국 어(b)
例 文 (25)
私は一時出の飛行機にります。
나는 10시 출발의 / 인 / 하는 비행기를∼
例 文 (26)
私は一時に出の飛行機にります。
나는 10시에 출발하는 비행기를∼
[표 15]
(25)의 경우, “一時出”이라는 어구는 동작 그 자체를 나타내기 보다는 “九時出”등과 병렬적 관계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비행기가 가진 특징의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된다. 즉 “출발”이라는 어구의 동작성이 약해진 결과, 한국어에서는 「인」도 쓸 수 있는 것 같다.
한편, (26)은 특징보다 동작 자체를 나타내는 성격이 강해서 「인」이 쓰이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 (25)에서 「의」도 쓰일 수 있는 것은, 앞장에 기술한 「二十」등과 같이 「10시출발」이「비행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로 형용사적인 특징을 갖기 때문일 것이다.
六。ま と め
①「の」와「인」이 대응하는 것은 「の」를 제외한 수식부 X와 피수식부 Y가「Y는 X다」의
관계가 될 수 있는 경우이고, 「の」와「의」가 대응하는 것은 그러한 관계가 없는 경우이다.
이것으로 일본어의 「の」에 의한 연체수식은 적어도 상이한 두 유형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② 한국어는 상황에 따라 「의」,「인」아무거나 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의」,「인」의 앞의 어구가 명사(구)로 수식부 전체가 형용사에 가까운 성격을 가질 때 이다. 이 경우, 수식부가 피수식부의 부가적인 설명이 되는 때(付け足し的 수식)에는 「인」이 쓰이고, 수식부와 피수식부가 연결된 대상을 한정, 특정하는 때(絞りみ的 수식)에는 「의」가 쓰인다.
③ 「の」에 의한 연체수식에 수식부 X와 피수식부 Y가 「Y는 X다」의 관계갈 될 때, 한국어 에는 「인」외에 동사연체형이 대응하기도 한다.
「인」이 쓰이는 것은 수식부가 피수식부의 상태, 특징을 나타낼 경우이고, 수식부가 피수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때는 동사의 연용형이 쓰인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 문법
젠더연구(성, 이론, 남성연구, 정신분석학, 매체학)
한국어의 뿌리와 역사 - 문법사의 과제들
일본에서 지역연구의 변화와 정치학적 지역연구의 연구경향
학교 문법 요약 및 해설
영한번역시 나타나는 문법오류
전통, 구조, 변형 문법의 차이점
한국어교육의 특징, 한국어교육의 정체성, 한국어교육의 목표, 한국어교육의 교재구성, 한국...
고등 학교 문법 교과서 검토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종류, 양상,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우리말, 한중번역(중국어번역)...
[국어교육]구어 문법의 개념과 언어 교육적 의의(비판적 담화분석, 실세계 중심적 수행 중심...
『홍길동전 (洪吉童傳)』은 최초의 국문소설인가? (한글소설의 정의, 허균저작설 연구사, 한...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이인칭대명사의 용법
[한국어문법론]정답다’의 ‘답’과 ‘학생답다’의 ‘답’은 어떻게 다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