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전적 의미 차이
2) 문법적 차이
※참고문헌
2) 문법적 차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금까지 살핀 차이점들을 고려할 때, 이정훈은 ‘-답¹-’은 어휘부의 어형성에 참여하는 어휘적 파생접사로 간주하고 ‘-답²-’는 통사부의 어형성에 참여하는 통사적 파생접사로 간주하는 것이 온당하다고 봤는데 ‘-답¹-’을 어휘적 파생접사로 보고 2를 통사적 파생접사로 보면 앞선 대조를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정훈, 2006). 각각을 어휘적 파생접사와 통사적 파생접사로 규정할 때 ‘-답¹-’은 어휘부에서 어기와 결합하고 ‘-답²-’는 통사부에서 어기와 결합한다는 차이점 또한 도출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정훈(2006), 「파생접사 ‘-답-’의 통사적 파생」, 『생성문법연구』 제16권 제3호, 한국생성문법학회.
송철의(2001), 「파생어」, 『새국어생활』 제11권 제2호, 국립국어원.
※참고문헌
이정훈(2006), 「파생접사 ‘-답-’의 통사적 파생」, 『생성문법연구』 제16권 제3호, 한국생성문법학회.
송철의(2001), 「파생어」, 『새국어생활』 제11권 제2호, 국립국어원.
추천자료
견고(堅固)한 고독 - 김현승 시
확률과 관련된 이야기2
제7차 한문과 교육 과정 실천상의 쟁점과 해결 방안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차이점
매체교육 연구
언어의 비밀 통사론의 형태소(문제형)
우리수와 순환소수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나의 견해
교육평가의 기능과 목적, 그 절차와 역사 및 유형에 관해 설명하시오.
[국어 임용고시]디딤돌 문학 (상)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
수업을 왜 하지
2014년 2학기 생활법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A와 B의 생활에 관련한 법률문제)
[과학과 문화]교양으로서 과학과 기술 (과학과 기술, 21세기의 과학기술,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