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음악을 즐겨 듣는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 -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을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음악을 즐겨 듣는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 -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책을 읽기 전에

Ⅱ. 작가 및 책 소개
1. 작가 소개
2. 책 소개

Ⅲ. 일본음악을 즐겨 듣는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
1. 애국심과 일본음악
2. 정체성 문제는 한국인의 정신적 생존문제
3. 미국과 일본에 대한 우리의 이중 잣대
4. 원조 콤플렉스와 고유성 / 현재성
5. 일본음악의 창조적 / 대중적 수용
6. 정체성 판단의 마지막 근거, 주체성

Ⅳ. 책을 읽고 나서

본문내용

냐하면 현재 한국 땅에 있는 모든 것이 미래적 관점에서 한국의 것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중성의 측면에서도 아직 일본문화가 창조적 수용이라는 과정을 거쳐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전인 과도기적 시기라는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판단에 긍정적이다. 중요한 것은 일본음악을 창조적으로 수용하는 역량이며, 우리는 창의성이라는 단어만을 염두에 두고 힘들여서 한국의 음악을 만들어 가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수없이 많은 창조적 수용의 과정을 거치다 보면 그 중에 하나가 한국 및 전 세계의 폭 넓은 지지를 얻게 될 것이고 그것이 한국의 정체성을 드러낼 것이다.
일본 음악을 듣고 일본 사람처럼 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음악을 통해 한국음악의 폭을 넓히고 발전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면, 그 사람은 주체성 측면에서 진정한 한국인인 것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은 지나간 역사, 결코 잊을 수 없는 과거사가 있지만 그러한 것 때문에 일본문화의 긍정적이며 배워야할 것들을 무시한다면 미래의 우리나라 문화 발전에 결코 도움이 된다 할 수 없을 것이다. 강한 문화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언어와 인간, 그리고 그 나라의 상품에 대한 이미지 까지 바꿔 버릴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우리는 정신을 바짝 차리고 일본의 강한 힘을 배우며, 또 그들의 틈새를 볼 줄 알고 그들의 문화에 무조건 흡수되지 않는 힘을 길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 책세상, 2000
네이버 책소개,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php?bid=20461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1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41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