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축산분뇨 발생 및 처리현황
가. 축산분뇨 발생현황
나. 축산분뇨 처리현황
3. 축산분뇨의 관리여건 및 특성
가. 축산분뇨의 특성
나. 축산분뇨의 자원화 여건
다. 합리적인 입지제한 및 규제기준 미흡
라. 환경친화적 축사시설 및 관리체계 미흡
4. 축산분뇨처리 정책 기본방향과 세부 추진계획
가. 기본방향
나. 세부 추진계획
(1) 축산분뇨 실태조사 실시
(2) 축산분뇨 관리제도 개선
(3) 축산분뇨의 관리체제 정비
(4) 축산분뇨의 자원화 시설확충을 위한 자금지원 및 관리기준 마련
(5) 축분퇴비, 액비의 수요 확대 및 유통체계 확립
(6)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의 운영 정상화
5. 축산분뇨 자원화시설의 처리조건
가. 각 처리시설의 설계조건
나. 발효 전.후 퇴비의 용적중
다. 강수량과 증발량에 따른 저장액비화시설의 여유고
6. 축산분뇨 자원화시설의 설계 방향
7. 결 론
참고문헌
2. 축산분뇨 발생 및 처리현황
가. 축산분뇨 발생현황
나. 축산분뇨 처리현황
3. 축산분뇨의 관리여건 및 특성
가. 축산분뇨의 특성
나. 축산분뇨의 자원화 여건
다. 합리적인 입지제한 및 규제기준 미흡
라. 환경친화적 축사시설 및 관리체계 미흡
4. 축산분뇨처리 정책 기본방향과 세부 추진계획
가. 기본방향
나. 세부 추진계획
(1) 축산분뇨 실태조사 실시
(2) 축산분뇨 관리제도 개선
(3) 축산분뇨의 관리체제 정비
(4) 축산분뇨의 자원화 시설확충을 위한 자금지원 및 관리기준 마련
(5) 축분퇴비, 액비의 수요 확대 및 유통체계 확립
(6)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의 운영 정상화
5. 축산분뇨 자원화시설의 처리조건
가. 각 처리시설의 설계조건
나. 발효 전.후 퇴비의 용적중
다. 강수량과 증발량에 따른 저장액비화시설의 여유고
6. 축산분뇨 자원화시설의 설계 방향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154.9
1,376.8
광주, 목포, 여수
경 북
677.4
720.4
874.2
1,051.3
울진, 안동, 포항
경 남
888.7
891.2
1,142.5
1,413.8
울산, 부산, 진주
제 주
1,537.5
1,876.7
1,268.6
1,287.7
제주, 서귀포
평 균
998.7
1,181.2
1,089.5
1,329.6
전체평균 : 1,149.8
증발량
서울·경기
1,206.8
1,134.3
1,076.1
1,193.1
서울, 인천, 수원
강 원
1,275.5
1,145.8
1,120.2
1,150.6
속초, 춘천, 강릉
충 북
-
-
-
1,198.2
청주
충 남
1,195.2
1,204.4
1,149.8
1,214.3
서산, 대전
전 북
-
-
-
1,097.5
군산, 전주
전 남
1,393.0
1,339.3
1,236.2
1,323.0
광주, 목포, 여수
경 북
-
1,361.2
1,247.5
1,382.3
울진, 안동, 포항
경 남
1,350.9
1,184.2
1,192.1
1,190.4
울산, 부산, 진주
제 주
1,365.1
1,253.5
1,210.7
1,241.9
제주, 서귀포
평 균
1,297.7
1,231.8
1,176.1
1,221.2
전체평균 : 1,231.7
°자료: 기상연보(기상청)
<표 4> 지역별 7월, 8월, 9월 평균 강수량
(단위 : mm)
구 분
7월
8월
9월
비 고
서울·경기
326.8
261.6
132.5
서울, 인천, 수원
강 원
265.6
238.1
179.7
속초, 춘천, 강릉
충 북
259.2
275.3
116.3
청주
충 남
250.1
256.4
116.7
서산, 대전
전 북
240.6
212.4
106.0
군산, 전주
전 남
236.2
229.1
91.7
광주, 목포, 여수
경 북
192.3
192.1
114.2
울진, 안동, 포항
경 남
253.2
248.6
111.6
울산, 부산, 진주
제 주
225.7
271.7
142.0
제주, 서귀포
평 균
250.0
242.8
123.4
전체평균 : 205.4
°자료: 기상연보(기상청), 1988년∼1997년 평균
<표 3>에서 볼 때 지역적 차이는 있으나, 우리나라는 강수량에 비해 증발량이 비슷 또는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표 4>에서와 같이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7, 8, 9월중 최장 1개월간 증발을 기대할 수 없는 최악의 조건을 가정, 저장조의 여유고는 0.3m이상으로 한다.
6. 축산분뇨 자원화시설의 설계 방향
축산분뇨 자원화시설 표준설계도(환경부 생오 제 67436-1019호, '99. 8. 10)는 퇴비사, 통풍식 톱밥발효시설, 교반식 톱밥발효시설, 저장액비화시설, 톱밥깔짚우사의 퇴비사에 대하여 법률 기준에 적합하도록 각 처리방식별 규격 및 형태를 현실화, 다양화하여 모든 축산농가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토록 하였다. 톱밥깔짚우사의 퇴비사 표준설계도서는 본 설계도서 이외에 농림부의 "93 가변형 축사 표준설계도"의 설계도면을 이용할 수 있다. 톱밥깔짚우사의 표준설계도면은 "93 가변형 축사 표준설계도"의 설계도면을 이용하되 운전요령 등은 본 설계도서를 이용한다. "93 가변형 축사 표준설계도"에서의 관련도면은 「축사 93-한우-가」,「축사 93-한우-나」,「축사 93-한우-다」, 「축사 93-한우-라」, 「축사 93-유우-아」이다.
7. 결 론
오늘날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체제하에서는 적어도 관세장치만 남고 사실상 국경이 없어진 것과 마찬가지 이기 때문에 우리는 국제경쟁력이 있는 산업만이 살아 남을 수 있는 무한경쟁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 축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두 말할 나위없이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화학 농자재를 적게 사용하고 축산분뇨를 완전하게 처리하여 수질오염을 막아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을 보전하는 환경친화적 축산업을 영위하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 축산업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국·내외 여건속에서 미래의 생명산업으로 꾸준히 성장해 가려면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고품질의 안전한 축산식품을 값싸게 생산 공급하여야 하는데, 축산물의 생산비를 낮추는 중요한 과제중 하나가 축산분뇨를 어떻게 가장 경제적으로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러한 축산여건을 고려할 때 축산분뇨처리는 기본적으로 친환경농법으로 최대한 자원화 하고,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축산폐수는 방류수 수질기준에 맞게 안전하게 처리해야 한다. 만약, 축산분뇨를 처리하지 않고 무단 방류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한국 축산이 설 자리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모든 축산농가들은 축산분뇨 처리시설을 하여 적정하게 잘 처리해야 하며,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축산분뇨 처리시설 자금을 계속 지원하고 있으므로 축산농가들은 사육규모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축산분뇨시설은 시설투자와 그 운영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사업 착수단계부터 투명성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투자와 건실한 시공이 되도록 추진하고, 기존 시설에 대해서는 철저한 사후관리와 노후시설의 보완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가동되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축분퇴비와 액비의 이용을 확대하고, 축산분뇨를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는 제도의 개선과 새로운 기술개발·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다.
이와 같이 축산분뇨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한편, 모든 축산농가들이 축산분뇨를 친환경적인 방법을 통해 적정하게 처리해 나갈 때 축산업은 경쟁력을 더욱 높이게 되고, 나아가 수질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보전과 국민들에게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신항식 외(1991). 전국축산분뇨 적정관리 대책연구(1991).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연천군, (1997). 축산폐수처리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환경관리공단
가축분뇨 자원화 ‘일석이조’ 작성자 구로신사
환경부「축산폐수 처리통계」2005
신용광·박민수·천동원, 「AHP를 이용한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선정에 관한 연구」, 2004 수정촹보완
한정대, 가축분뇨 자원화 및 이용 기술 개발; 첨단기술개발사업연구보고서2000, 농림부 기술관리센터, pp.247∼248, 2001
1,376.8
광주, 목포, 여수
경 북
677.4
720.4
874.2
1,051.3
울진, 안동, 포항
경 남
888.7
891.2
1,142.5
1,413.8
울산, 부산, 진주
제 주
1,537.5
1,876.7
1,268.6
1,287.7
제주, 서귀포
평 균
998.7
1,181.2
1,089.5
1,329.6
전체평균 : 1,149.8
증발량
서울·경기
1,206.8
1,134.3
1,076.1
1,193.1
서울, 인천, 수원
강 원
1,275.5
1,145.8
1,120.2
1,150.6
속초, 춘천, 강릉
충 북
-
-
-
1,198.2
청주
충 남
1,195.2
1,204.4
1,149.8
1,214.3
서산, 대전
전 북
-
-
-
1,097.5
군산, 전주
전 남
1,393.0
1,339.3
1,236.2
1,323.0
광주, 목포, 여수
경 북
-
1,361.2
1,247.5
1,382.3
울진, 안동, 포항
경 남
1,350.9
1,184.2
1,192.1
1,190.4
울산, 부산, 진주
제 주
1,365.1
1,253.5
1,210.7
1,241.9
제주, 서귀포
평 균
1,297.7
1,231.8
1,176.1
1,221.2
전체평균 : 1,231.7
°자료: 기상연보(기상청)
<표 4> 지역별 7월, 8월, 9월 평균 강수량
(단위 : mm)
구 분
7월
8월
9월
비 고
서울·경기
326.8
261.6
132.5
서울, 인천, 수원
강 원
265.6
238.1
179.7
속초, 춘천, 강릉
충 북
259.2
275.3
116.3
청주
충 남
250.1
256.4
116.7
서산, 대전
전 북
240.6
212.4
106.0
군산, 전주
전 남
236.2
229.1
91.7
광주, 목포, 여수
경 북
192.3
192.1
114.2
울진, 안동, 포항
경 남
253.2
248.6
111.6
울산, 부산, 진주
제 주
225.7
271.7
142.0
제주, 서귀포
평 균
250.0
242.8
123.4
전체평균 : 205.4
°자료: 기상연보(기상청), 1988년∼1997년 평균
<표 3>에서 볼 때 지역적 차이는 있으나, 우리나라는 강수량에 비해 증발량이 비슷 또는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표 4>에서와 같이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7, 8, 9월중 최장 1개월간 증발을 기대할 수 없는 최악의 조건을 가정, 저장조의 여유고는 0.3m이상으로 한다.
6. 축산분뇨 자원화시설의 설계 방향
축산분뇨 자원화시설 표준설계도(환경부 생오 제 67436-1019호, '99. 8. 10)는 퇴비사, 통풍식 톱밥발효시설, 교반식 톱밥발효시설, 저장액비화시설, 톱밥깔짚우사의 퇴비사에 대하여 법률 기준에 적합하도록 각 처리방식별 규격 및 형태를 현실화, 다양화하여 모든 축산농가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토록 하였다. 톱밥깔짚우사의 퇴비사 표준설계도서는 본 설계도서 이외에 농림부의 "93 가변형 축사 표준설계도"의 설계도면을 이용할 수 있다. 톱밥깔짚우사의 표준설계도면은 "93 가변형 축사 표준설계도"의 설계도면을 이용하되 운전요령 등은 본 설계도서를 이용한다. "93 가변형 축사 표준설계도"에서의 관련도면은 「축사 93-한우-가」,「축사 93-한우-나」,「축사 93-한우-다」, 「축사 93-한우-라」, 「축사 93-유우-아」이다.
7. 결 론
오늘날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체제하에서는 적어도 관세장치만 남고 사실상 국경이 없어진 것과 마찬가지 이기 때문에 우리는 국제경쟁력이 있는 산업만이 살아 남을 수 있는 무한경쟁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 축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두 말할 나위없이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화학 농자재를 적게 사용하고 축산분뇨를 완전하게 처리하여 수질오염을 막아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을 보전하는 환경친화적 축산업을 영위하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 축산업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국·내외 여건속에서 미래의 생명산업으로 꾸준히 성장해 가려면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고품질의 안전한 축산식품을 값싸게 생산 공급하여야 하는데, 축산물의 생산비를 낮추는 중요한 과제중 하나가 축산분뇨를 어떻게 가장 경제적으로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러한 축산여건을 고려할 때 축산분뇨처리는 기본적으로 친환경농법으로 최대한 자원화 하고,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축산폐수는 방류수 수질기준에 맞게 안전하게 처리해야 한다. 만약, 축산분뇨를 처리하지 않고 무단 방류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한국 축산이 설 자리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모든 축산농가들은 축산분뇨 처리시설을 하여 적정하게 잘 처리해야 하며,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축산분뇨 처리시설 자금을 계속 지원하고 있으므로 축산농가들은 사육규모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축산분뇨시설은 시설투자와 그 운영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사업 착수단계부터 투명성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투자와 건실한 시공이 되도록 추진하고, 기존 시설에 대해서는 철저한 사후관리와 노후시설의 보완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가동되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축분퇴비와 액비의 이용을 확대하고, 축산분뇨를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는 제도의 개선과 새로운 기술개발·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다.
이와 같이 축산분뇨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한편, 모든 축산농가들이 축산분뇨를 친환경적인 방법을 통해 적정하게 처리해 나갈 때 축산업은 경쟁력을 더욱 높이게 되고, 나아가 수질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보전과 국민들에게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신항식 외(1991). 전국축산분뇨 적정관리 대책연구(1991).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연천군, (1997). 축산폐수처리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환경관리공단
가축분뇨 자원화 ‘일석이조’ 작성자 구로신사
환경부「축산폐수 처리통계」2005
신용광·박민수·천동원, 「AHP를 이용한 가축분뇨 자원화시설 선정에 관한 연구」, 2004 수정촹보완
한정대, 가축분뇨 자원화 및 이용 기술 개발; 첨단기술개발사업연구보고서2000, 농림부 기술관리센터, pp.247∼248, 2001
키워드
축산분뇨발생및처리현황 , 축산분뇨의관리여건 , 축산분뇨의자원화여건 , 축산분뇨처리정책 , 환경친화적축사시설 , 축산분뇨관리제도개선 , 축분퇴비,액비의수요확대 ,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
추천자료
[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의 현황과 전망 및 성공사례에 관한 고찰(ERP(전사...
[주택시장][주택정책]주택시장, 주택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주택정책 개선방안 고찰(주택시...
[부동산 증권화][부동산자산관리][부동산투자신탁]부동산 증권화와 부동산자산관리 및 부동산...
[부동산신탁][부동산투자신탁][리츠][REITs][부동산투기][투기][부동산]부동산신탁, 투자신탁...
[산업재해][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산업재해와 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 심층 분석(...
유기농 우유
축산기사 및 산업기사 필답 준비 자료
[유통관리론]택배서비스 시장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A+리포트)
[해양사고][해양안전][해양안전정책]해양사고의 원인, 해양사고의 발생현황과 해양안전(해양...
[지방환경행정][환경오염예방행정][환경행정]다양한 환경오염예방행정 고찰과 지방환경행정의...
[부실채권의 원인][부실채권의 정리원칙][부실채권의 정리현황][부실채권의 정리효과]부실채...
[대장균][O157][병원성대장균][장독소성대장균][장출혈성대장균][분원성대장균]대장균의 개념...
GMO(유전자 조작식품)의 정의, 필요성, GMO의 발생 배경, GMO의 특징, GMO의 전망, 유전자 변...
생산관리)커피전문점 업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