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적
해부학과 생리학
표-1 태아기의 고위험 요인들
1. 태반부위
2. 농도 기울기
3. 확산 거리
4. 자궁태반혈액 흐름
5. 태아적 요인
해부학과 생리학
표-1 태아기의 고위험 요인들
1. 태반부위
2. 농도 기울기
3. 확산 거리
4. 자궁태반혈액 흐름
5. 태아적 요인
본문내용
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CO₂농도 기울기를 유지케한다. 산모의 비효율적 CO₂ 배출은 산모의 호흡성 산증과 태아 산혈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3. 확산 거리
a. 태반에서 산모와 태아 혈액간의 거리가 클수록, 물질 확산속도는 느려진다.
b. 태반융모에서 수종이 진행될 경우 융모간 공간에서 융모 내 태아 모세혈관 과 산모의 동맥혈간의 거리를 증가시킨며, 따라서 산모와 태아 간 물질 순환 확산속도를 느리게 한다.
c. 융모 수종은 다음에서 발생할 수 있다:
(1) 산모 당뇨병
(2) 태반을 통과하는 감염
(3) 태아적아구증
(4) 쌍태아간수혈증후군-TTTS (donor twin)
(5) 태아의 울혈성 심부전
d. 임신후반기에 태반막이 얇아지면 확산 거리를 감소시켜, 태반의 기능적 효율 성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이 변화는 또한 임신기간과 분만기에 약물의 이동 을 용이화할수도 있다.
4. 자궁태반혈액 흐름
a. 임신기간중, 자궁내 혈액흐름은 산모 심박출량의 10~15%를 차지하며, 분당 750cc 내지 그 이상이다. 자궁혈류의 73~80%가 태반에 도달한다.
b. 자궁으로의 또는 융모간 공간내에서의 혈액흐름감소는 태아로 공급 그리고 태아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의 수송을 감소시킨다.
c. 자궁태반 혈액 흐름 감소의 원인은 다음을 포함한다:
(1) 고혈압, 코카인 남용, 당뇨성 혈관염(vasculopathy), 흡연으로 인한 산모 의 혈관수축
(2) 혈관확장신경약, 항고혈압제, 교감신경계 차단 액션을 가진 국소마취제에 의해 유발된 산모의 혈관확장
(3) 앙아위 저혈압(supine hypotension)에서 산모 심박출량 감소
(4) 태반융모의 수종에 기인하여 융모간 공간내 산모 혈액 흐름 감소
(5) 과강진통
(6) 산모의 심한 육체적 스트레스
(7) 분만 전 태반의 퇴화
5. 태아적 요인
a. 태아 저산소증에서 나타나는 태아 빈맥은 성인의 “CO₂분출”과 유사하다; 증
가된 심박동률은 산모 순환 확산을 위해 태반으로 CO₂전달을 증가시킨다.
b. 바꾸어 말하면, 저산소증, 무산소증에 기인하는 태아 서맥은 CO₂레벨을 증 가시킨다.
c. 탯줄압박은 CO₂축적과 산독증에 이르게 한다.
d. 분만동안 태아 pH는 보통 산모 pH보다 낮은 0.1~0.15 유닛이다; 이 차이는 산모로부터 태아에게 호산성물질의 수송을 증가시키고 약물에 대한 알부민 결 합을 낮추어, 태아 혈류에 약물이 유리형으로 존재하게 한다.
3. 확산 거리
a. 태반에서 산모와 태아 혈액간의 거리가 클수록, 물질 확산속도는 느려진다.
b. 태반융모에서 수종이 진행될 경우 융모간 공간에서 융모 내 태아 모세혈관 과 산모의 동맥혈간의 거리를 증가시킨며, 따라서 산모와 태아 간 물질 순환 확산속도를 느리게 한다.
c. 융모 수종은 다음에서 발생할 수 있다:
(1) 산모 당뇨병
(2) 태반을 통과하는 감염
(3) 태아적아구증
(4) 쌍태아간수혈증후군-TTTS (donor twin)
(5) 태아의 울혈성 심부전
d. 임신후반기에 태반막이 얇아지면 확산 거리를 감소시켜, 태반의 기능적 효율 성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이 변화는 또한 임신기간과 분만기에 약물의 이동 을 용이화할수도 있다.
4. 자궁태반혈액 흐름
a. 임신기간중, 자궁내 혈액흐름은 산모 심박출량의 10~15%를 차지하며, 분당 750cc 내지 그 이상이다. 자궁혈류의 73~80%가 태반에 도달한다.
b. 자궁으로의 또는 융모간 공간내에서의 혈액흐름감소는 태아로 공급 그리고 태아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의 수송을 감소시킨다.
c. 자궁태반 혈액 흐름 감소의 원인은 다음을 포함한다:
(1) 고혈압, 코카인 남용, 당뇨성 혈관염(vasculopathy), 흡연으로 인한 산모 의 혈관수축
(2) 혈관확장신경약, 항고혈압제, 교감신경계 차단 액션을 가진 국소마취제에 의해 유발된 산모의 혈관확장
(3) 앙아위 저혈압(supine hypotension)에서 산모 심박출량 감소
(4) 태반융모의 수종에 기인하여 융모간 공간내 산모 혈액 흐름 감소
(5) 과강진통
(6) 산모의 심한 육체적 스트레스
(7) 분만 전 태반의 퇴화
5. 태아적 요인
a. 태아 저산소증에서 나타나는 태아 빈맥은 성인의 “CO₂분출”과 유사하다; 증
가된 심박동률은 산모 순환 확산을 위해 태반으로 CO₂전달을 증가시킨다.
b. 바꾸어 말하면, 저산소증, 무산소증에 기인하는 태아 서맥은 CO₂레벨을 증 가시킨다.
c. 탯줄압박은 CO₂축적과 산독증에 이르게 한다.
d. 분만동안 태아 pH는 보통 산모 pH보다 낮은 0.1~0.15 유닛이다; 이 차이는 산모로부터 태아에게 호산성물질의 수송을 증가시키고 약물에 대한 알부민 결 합을 낮추어, 태아 혈류에 약물이 유리형으로 존재하게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