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용어요약,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대나무의 총칭으로서, 이 4가지가 초목이나 꽃 중에서도 기품 있고 고결한 군자와 같다 해서 붙여진 호칭. 많은 문인들이 이 4가지 소재를 즐겨 그림으로써 스스로의 청고하고 돈아한 정취와 품격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사군자화는 중국의 영향하에 발달되었으나, 김정희의 묵란과 묵죽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작가 개인의 특성이 잘 반영된 독자적인 양식이 수립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동양화의 정신과 기법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화목으로 여겨 기본적 수련과정으로서도 많이 그려지고 있다.
산수화
자연의 풍경을 소재로 하여 그린 동양화. 넓은 뜻으로는 풍경화이며, 인물화·화조화와 함께 가장 많이 그려졌다. 산수·수목·암석 등 자연의 경치를 그리는 것이며, 경물로서는 인물·누각·풍속 등도 포함되고, 사철과 짜맞추는 일도 있다. 수묵화에 적합하며, 산수화의 역사는 수묵화와 거의 비슷하다.
상감
금속·도자기·목재 등의 표면에 여러 가지 무늬를 음각 또는 압형한 다음 그 속에 금·은·보석·자개 등 다른 재료를 박아넣는 공예기법.
상안·전감·꽂을땜·봉박이라고도 한다. 그 기법에 따라 평상감, 고상감, 절상감, 사상감, 천무늬상감, 쇄입상감 등이 있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1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