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선시대 음식문화
1. 밥상차림의 문화
2. 제사음식 문화
3. 혼례음식 문화
4. 외식문화
현대 음식문화
1. 웰빙 문화
2. 패스트푸드 문화
3. 맛집 탐방 문화
앞으로 음식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1. 밥상차림의 문화
2. 제사음식 문화
3. 혼례음식 문화
4. 외식문화
현대 음식문화
1. 웰빙 문화
2. 패스트푸드 문화
3. 맛집 탐방 문화
앞으로 음식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1. 밥상차림의 문화
(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2) 약식동원
(3) 신분사회에 따라 다른 밥상차림
(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음양오행(陰陽五行)?
→ 음양설+ 오행설
- 음양설: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양 두 원리의 소장(消長)으로 설명
- 오행설: 만물의 생성소멸(生成消滅)을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변전(變轉)으로 설명
(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오행
(五行) 오방색
(五方色) 오미
(五味) 오장
(五臟) 계절
목(木) 청색 신맛 간장 봄
화(火) 적색 쓴맛 심장 여름
토(土) 황색 단맛 비장 중심
금(金) 백색 매운맛 폐 가을
수(水) 흑색 짠맛 신장 겨울(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음양오행론이 가장 잘 구현된 음식 → 구절판
-'음' + ‘양’ = 식물성+동물성
- 오색과 오미를 갖춤
- 모든 재료를 함께 싸 먹도록 함 → 오행의 조화
(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2) 약식동원
(3) 신분사회에 따라 다른 밥상차림
(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음양오행(陰陽五行)?
→ 음양설+ 오행설
- 음양설: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양 두 원리의 소장(消長)으로 설명
- 오행설: 만물의 생성소멸(生成消滅)을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변전(變轉)으로 설명
(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
오행
(五行) 오방색
(五方色) 오미
(五味) 오장
(五臟) 계절
목(木) 청색 신맛 간장 봄
화(火) 적색 쓴맛 심장 여름
토(土) 황색 단맛 비장 중심
금(金) 백색 매운맛 폐 가을
수(水) 흑색 짠맛 신장 겨울(1)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상차림과 시식, 맛과 색깔음양오행론이 가장 잘 구현된 음식 → 구절판
-'음' + ‘양’ = 식물성+동물성
- 오색과 오미를 갖춤
- 모든 재료를 함께 싸 먹도록 함 → 오행의 조화
추천자료
한국전통사상의 문화교육적 의의에 대한 논평
한국의 역사와 전통문화
한국 전통문화인 주도에 관하여...
[한국의 전통문화]한국적 좌식생활의 문화적 의미
한국의 주거문화-전통적 주거문화와 현대적 주거문화
한국 전통문화 활동화를 위한 정부에서의 역할
한국의 전통문화 - 여행계획서
한국어 수업 시간에 다루어야 하는 현대 문화 항목에는 어떠한 것들이 포함될 수 있는가, 전...
한국전통의 술문화를 계승발전시켜 개인의 인격과 국가의 품격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한국의 전통문화(신라)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 옹기에 대해서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국립민속박물관 견학문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리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