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루터의 생애와 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틴루터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면서

시대배경

마틴루터의 생애

마틴 루터의 면죄부 논쟁

마틴 루터의 사상

맺으면서

본문내용

주의
루터에게는 세례받은 모든 성도가 전부 제사장이다. 카톨릭 교회의 사제의 허락이나 동의가 없어도 성도는 스스로 성경을 볼 수 있고 마치 거울을 보는 것처럼 성경을 통해 자기 자신의 삶의 지침을 비추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사제나 카톨릭 교회의 성례전의 도움 없이 자기 스스로의 기도를 통해 단독으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교회의 직분은 불필요한가 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성경은 주께서 "혹은 사도고, 혹은 선지자로, 혹은 복음 전하는 자로, 혹은 목사와 교사로"(엡4:1) 그리고 "사람이 마땅히 우리를 그리스도의 일꾼이요,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자로 여길 여길지어다. 그리고 맡은 자들에게 구할 것은 충성이니라"(고전4:1-2)고 분명히 언급했는데 이 말씀들과 만인제사장주의와는 상치되는 것이 아닌가?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루터에게 교회의 직분은 만인제사장 주의와 조금도 상치되지 않습니다. 교회의 직분자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을 위하여 말씀과 성례전에 봉사할 특수 부르심을 받은 자들이다. 따라서 직분은 하나님에 의해서 창설되고 명령되고 질서이지만 이 직분이 어떤 특수 계층으로 자리를 잡아 권력을 휘두르는 기구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교회 직분자들은 하나님의 특수 소명을 받았지만 그 직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회 구성원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자신들의 직분을 단지 순수한 마음으로 봉사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부름 받은 목사와 평신도 사이에는 기능적인 직분 상의 구별만 있을 뿐 신분이나 존재의 구별이 있을 수 없습니다. 개신교 성직 임명은 카톨릭이 말하는 성례전의 일부가 결단코 아닙니다.
맺으면서
지금 우리는 루터와 루터의 사상은 그리 중요하지 여기지 않습니다. 칼빈주의자로 불리우는 총신인에서 칼빈과 칼빈의 사상을 잘 모르는 것이 이상히 여기지 않습니다.
루터의 사상과 생애를 보면서 받은 몇 가지를 정리합니다.
1. 95개조 반박문이 비텐베르크성교회에 붙여지는 32세까지 그는 종교개혁자로서 준비한것이 아니라 시대에 대한 정직하고 가치 있는 갈등을 한 시대의 한사람 이였습니다.
2. 그는 성경에 사로잡힌 사람이었습니다.
루터는 1546년 2월 18일에 63세의 나이로 아이스벤에서 사망하여 유해는 비텐베르그 성 교회(the Castle Church)에 안치될 때 까지그의 말년은 그의 개혁초기와 같이 매일 매일 분주하였습니다. 끊임없는 편지답장, 계속되는 강의와 설교, 교회지도 등이 그를 여전히 바쁘게 했다. 게다가 만성적 귓병, 담석증과 같은 질병도 계속적으로 그를 괴롭혔습니다. 또한 그가 진정 원치 않았던 개신교회의 분열과 다툼도 그의 마음을 몹시 아프게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터는 초지일관 성경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그가 젊었을 때부터 가졌던 신앙의 자세로 무지한 농민과 욕심많은 정치가들, 자신과 의견이 다른 형제들을 지도했습니다.
신약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함으로써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던 루터는 활발한 저술 활동으로 종교개혁 운동의 이론적 토대와 방향을 제시했다.
3. 삶이 메시지였습니다.
루터의 활약으로 유럽의 중북부 지역에서 종교개혁이 급속히 진행되었고, 독일에서는 루터파 교회가 로마교회를 대신하게 되었다. 루터는 『단순한 기도의 방법』 이외에도 3천 권 이상의 저서를 집필했고, 1546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동역자가 임종 직전 "선생님, 선생님께서 평생에 가르치신 교리와 믿음의 주이신 그리스도 위에 굳건히 서서 돌아가시겠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루터는 육신이 연약한 중에도 온 힘을 다해 큰소기로 "오! 아멘"하고 말하였다. 새벽 3시가 되어 종교개혁의 불꽃이었던 루터는 장엄히 운명하였다.
우리가 학문을 함이라는 것을 생각해보았습니다. 루터를 바라보면서 학문함의 기초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청년루터의 모습에서 학문함이라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것은
‘가치 있는 갈등’이었습니다. 자신의 삶과 시대의 고민 앞에 정직하게 갈등할줄 아는 힘
우리의 선진들이 하였던 고민의 역작(力作)을 대하고 연구하면서, 시대를 맞설 힘을 갖게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참고
종교개혁사(도서출판 지와 사랑)
마르틴 루터와 개혁사상의 발전(한들출판사)
불굴의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기독신문사)
청년 루터(크리스찬 다이제스트)마르틴 루터의 삶과 신학이야기 (대한기독교서회)
http://blog.naver.com/freework/10545823
http://blog.naver.com/joe0406/500045619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