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게임이론으로 본 미국의 원폭투하
1. 게임이론 적용을 위한 분석틀
2. 분석을 위한 기본가정
3. 미국과 일본의 대안
1) 미국의 대안
2) 일본의 대안
4. 게임이론을 통한 미국의 원폭투하 분석
1) Simultaneous Game이론을 통한 분석
2) Sequential Game이론을 통한 분석
III. 결 론
II. 게임이론으로 본 미국의 원폭투하
1. 게임이론 적용을 위한 분석틀
2. 분석을 위한 기본가정
3. 미국과 일본의 대안
1) 미국의 대안
2) 일본의 대안
4. 게임이론을 통한 미국의 원폭투하 분석
1) Simultaneous Game이론을 통한 분석
2) Sequential Game이론을 통한 분석
III. 결 론
본문내용
ultaneous Game이론을 통한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그럼 Simultaneous Game이론은 서로 어떠한 행동을 할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행위를 추측하여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으므로 불확실성을 전제하에 전략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만약에 일본과 미국이 서로 상대방이 어떠한 전략을 취할지 안다고 가정한다면 Simultaneous Game이론에서의 결론처럼 똑같은 결론이 나올까? 이러한 의문점을 풀기 위해 미국과 일본이 선택할 수 있는 전략을 상대방이 미리 어떤 행위를 할지 알 수 있고 이미 한 행위는 되돌릴 수 없다는 가정 하에 순차적으로 행동이 일어나는 Sequential Game이론을 통해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다.
Sequential Game이론은 look ahead & reason back의 방법에 입각하여 분석을 한다. 이에 먼저 미국의 입장으로 Sequential Game이론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표 1>에서 미국의 priority는 (A, a)의 경우에 Utility는 40으로 1순위이고, (B, a)의 경우는 Utility 10으로 2순위이다. 또한 (A, b)의 경우는 -40이라는 Utility를 얻어 3순위가 되고 마지막으로 (B, b)의 경우의 Utility는 -50으로 4순위다. 한편, 일본의 priority는 (A, a)의 경우에 Utility는 20으로 1순위이고, (B, a)의 경우에 Utility는 10으로 2순위이다. 그리고 (A, b)의 경우 Utility는 -20으로 3순위이고 (B, b)의 경우에 Utility는 -30으로 4순위이다. 이것을 game tree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 표 2 > 미국의 행위
< 표 3 > 일본의 행위
이처럼 Sequential Game에 입각하여 미국과 일본이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을 look ahead & reason back의 방법에 입각하여 분석하면 일본은 항복을 하고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III. 결 론
지금까지 태평양 전쟁의 종전의 앞두고 미국이 취할 수 있는 전략과 일본이 취할 수 있는 전략을 Simultaneous Game과 Sequential Game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Simultaneous Game에 의하면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하는 전략, 그리고 일본은 항복을 하는 전략이 내쉬 균형(NASH Equilibrium) 이면서 Game Solution이다. 따라서 미국은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일본은 항복을 하는 전략이 가장 큰 Utility를 얻는 전략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의 전략을 Sequential Game이론에 의하여 look ahead & reason back의 방법으로 분석하면 <표2>, <표3>와 같이 미국은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일본은 항복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Simultaneous Game과 Sequential Game에서 가장 큰 Utility를 얻을 수 있는 전략은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하고 일본은 항복하는 전략이다. 그 결과 실제로 이 전략들이 실행에 옮겨진다. 이처럼 Game Solution이 쉽게 나오는 경우에는 게임이 단순화되어 행위자들이 쉽게 전략을 선택하게 되지만, Game Solution이 쉽게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이 복잡화 되어 행위자들이 전략선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Simultaneous Game의 최선의 선택이 Sequential Game의 선택과 항상 일치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게임이론상의 행위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비추어 가장 잘 부합하는 게임이론을 적용시키어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Sequential Game이론은 look ahead & reason back의 방법에 입각하여 분석을 한다. 이에 먼저 미국의 입장으로 Sequential Game이론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표 1>에서 미국의 priority는 (A, a)의 경우에 Utility는 40으로 1순위이고, (B, a)의 경우는 Utility 10으로 2순위이다. 또한 (A, b)의 경우는 -40이라는 Utility를 얻어 3순위가 되고 마지막으로 (B, b)의 경우의 Utility는 -50으로 4순위다. 한편, 일본의 priority는 (A, a)의 경우에 Utility는 20으로 1순위이고, (B, a)의 경우에 Utility는 10으로 2순위이다. 그리고 (A, b)의 경우 Utility는 -20으로 3순위이고 (B, b)의 경우에 Utility는 -30으로 4순위이다. 이것을 game tree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 표 2 > 미국의 행위
< 표 3 > 일본의 행위
이처럼 Sequential Game에 입각하여 미국과 일본이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을 look ahead & reason back의 방법에 입각하여 분석하면 일본은 항복을 하고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III. 결 론
지금까지 태평양 전쟁의 종전의 앞두고 미국이 취할 수 있는 전략과 일본이 취할 수 있는 전략을 Simultaneous Game과 Sequential Game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Simultaneous Game에 의하면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하는 전략, 그리고 일본은 항복을 하는 전략이 내쉬 균형(NASH Equilibrium) 이면서 Game Solution이다. 따라서 미국은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일본은 항복을 하는 전략이 가장 큰 Utility를 얻는 전략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의 전략을 Sequential Game이론에 의하여 look ahead & reason back의 방법으로 분석하면 <표2>, <표3>와 같이 미국은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일본은 항복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Simultaneous Game과 Sequential Game에서 가장 큰 Utility를 얻을 수 있는 전략은 미국은 원자폭탄을 사용하고 일본은 항복하는 전략이다. 그 결과 실제로 이 전략들이 실행에 옮겨진다. 이처럼 Game Solution이 쉽게 나오는 경우에는 게임이 단순화되어 행위자들이 쉽게 전략을 선택하게 되지만, Game Solution이 쉽게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이 복잡화 되어 행위자들이 전략선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Simultaneous Game의 최선의 선택이 Sequential Game의 선택과 항상 일치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게임이론상의 행위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비추어 가장 잘 부합하는 게임이론을 적용시키어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추천자료
도덕성 발달이론과 이 이론들에 대한 비판 및 실제 적용 사례
[행동수정 이론][행동수정 사례][행동수정][행동][문제행동][표적행동]행동수정 이론과 행동...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McGregor의 X이론 과 Y이론, Herzbeg의 동기위생이론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아동발달 A+완성형)
오수벨교수학습이론(유의미학습이론)의 의의와 분류, 오수벨교수학습이론(유의미학습이론)의 ...
[교수설계][문학교육][직업교육][자기조절학습][웹기반가상수업]교수설계 개념, 교수설계 기...
놀이의 이론 중 현대적 놀이이론을 정신분석이론, 인지발달이론으로 제시
[부모교육론] 상호교류분석이론의 개관, 상호교류분석이론의 목적 및 목표, 상호교류분석이론...
부모교육이론 중 한 이론을 선택하여 자신의 삶의 경험 혹은 가치관에 비추어 장점을 논하고,...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갖는 의의에 대해서 설명...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근거로 하여 세월호의 선장과 선원...
[간호이론A] 가즈다(Gazda)의 대인관계이론과 관련해 작성.(대인관계이론의 주요 개념, 만성...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 도덕성 발달이론 (Piaget의 도덕...
[교육심리학] 동기이론(動機理論) - 동기이론이란 무엇인가, 행동주의 동기이론, 인본주의 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