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 파일로이, Helicobacter pylori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헬리코박터 파일로이,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형태

2. 역학

3. 감염과정

4. 병태생리

5. microbiology

6. 감염경로

7. 상부 위장관 질환과의 관계

8. 진단

9. 치료

10. 치료의 실제

11. H.pylori제균 치료 후의 follow-up

12. 재치료

13. 재발

본문내용

얼마의 기간만큼 써야 하며 치료 후의 검사를 얼마나 뒤에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완성된 검증이 없기 때문이다.
- 이상적인 멸균요법은 박멸률이 per-protocol 분석에는 90% 이상, intention-to-treat 분석상 80%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가능하면 1주 단기요법이어야 하고 내성 발현율이 30% 이하이며 약의 부작용이 5% 미만이어야 한다.
-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약제의 조합은 크게 bismuth (BIS) 제제를 근간으로 하는 3제요법, PPI를 근간으로 하는 3제요법, ranitidine bismuth citrate (RBC)를 근간으로 하는 3제요법, BIS를 근간으로 하는 3제요법에 PPI를 추가하는 4제요법 등이 있다. 이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PPI 포함 삼제요법이다.
- 국내에서 분리된 H. pylori가 metronidazole에 대해 내성률이 높음을 감안하면 PPI +
clarithromycin + amoxicillin 조합의 일주일 투여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이 조합은 90% 이상의 치료율을 보이면서 복용이 간편하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그 외에 권장되는 조합은 PPI + clarithromycin + metronidazole, RBC + clarithromycin +amoxicillin 및 RBC + clarithromycin + metronidazole이다. Clarithromycin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PPI + amoxicillin + metronidazole이 적합하다.
- 이러한 삼제요법의 치료에 실패한 경우
PPI + bismuth + metronidazole + tetracycline의 사제요법으로 일주일 동안 투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합의에서도 PPI를 근간으로 하는 3제요법을 1차치료로 제시 하였으며(Table 5), 첫단계 치료가 실패한 경우 PPI +BIS +MET +tetracycline의 4제요법의 1주 투여가 적합하다고 하였다.
11. H.pylori제균 치료 후의 follow-up
a. 추적검사는 모든 약물을 중단한지 최소한 4~6주 경과 후에 균박멸 확인하기 위해 시행
b. 조직검사와 요소 효소 검사(CLO test), Urea Breath Test(UBT), stool test
c. 혈청 IgG : 제균 후 항체 저하가 9개월 이상 소요, 추적검사로는 부적합
12. 재치료
치료 직후 H. pylori 가 발견되지 않는다고 해서 세균의 감염이 박멸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재치료의 약제 선택은 처음 치료시 사용하였던 약물은 피하고 다른 약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Clarithromycin을 포함한 처방의 경우는 치료실패시 clarithro mycin에 대한 내성 획득의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재치료 시에는 clarithromycin을 포함하지 않는 병합요법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되며 앞에서 언급한 기존의 bismuth 삼제요법에 PPI를 첨가한 4제요법이 추천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2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