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체 요약
서문. 남성의 미묘함(위대한X)
남자란 무엇인가
인간(Homme)이란 남성(homme)
남성성의 위기들
확정된 남성인가? 미확정된 남성인가?
1부 남성만들기
남성의 정체성
01. 성적이원론
출생 이전 XY의 진화
부모들의 시선
02. 남성으로의 분화
어머니 - 아들의 이원성적 조화
어머니로부터의 분리
분화와 근본적 욕구
모성 본능의 파괴적 신화
03. 남성을 낳는 것은 남성이다
입문의식
동성애 교육
산업화된 사회 : 아버지의 역할을 대신하는 짝
04. 정체성과 성적 선호성
최후의 명백성
동성애의 정체성
동성애 공포증과 가부장적 남성성
2부 남성이 되기(XY)
병든 남성들의 치유를 위하여
01. 불구가 된 남성
냉혹한 남성
무기력한 남성
02. 조화로운 남성
조화로운 이원성
부성적 변화
변화하는 남성
서문. 남성의 미묘함(위대한X)
남자란 무엇인가
인간(Homme)이란 남성(homme)
남성성의 위기들
확정된 남성인가? 미확정된 남성인가?
1부 남성만들기
남성의 정체성
01. 성적이원론
출생 이전 XY의 진화
부모들의 시선
02. 남성으로의 분화
어머니 - 아들의 이원성적 조화
어머니로부터의 분리
분화와 근본적 욕구
모성 본능의 파괴적 신화
03. 남성을 낳는 것은 남성이다
입문의식
동성애 교육
산업화된 사회 : 아버지의 역할을 대신하는 짝
04. 정체성과 성적 선호성
최후의 명백성
동성애의 정체성
동성애 공포증과 가부장적 남성성
2부 남성이 되기(XY)
병든 남성들의 치유를 위하여
01. 불구가 된 남성
냉혹한 남성
무기력한 남성
02. 조화로운 남성
조화로운 이원성
부성적 변화
변화하는 남성
본문내용
로 아버지는 남자아이의남성성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빌러와 램은 아버지의 남성성보다는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친근함이나 온정등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힌다. 따라서 아들이 아버지를 모델로 삼으려고 하는 것은 아버지의 여성적 특성들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이상적인 사람과 동화하려는 욕망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어린아이는 모성애의 딜레마에서 빠져나올 수 있고, 여성에 대한 공포를 감소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출생의 순간부터 아버지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아이는 남성화의 슬픔이나 고통을 순조롭게 극복할 수 있다. 좋은 아버지는 자신의 모든 남성성을 동원해서 아들에게 전달해 줘야 한다. 그는 자신의 양성성을 발휘할줄 알아야 하며 아버지임과 동시에 어머니였던 남성으로부터 아버지임과 동시에 스승인 남자로 진화할줄 알아야 한다.
부모 동참의 장점과 단점
여기는 두 가지 모델이 있다. 하나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정확하게 똑같이 일을 하는 것인데 이 모델의 장점보다 단점이 더 부각된다. 큰 단점은 부모들의 끊임없는 이중적 책임의식이 아이나 자신들을 위해서 결코 좋을 것이 없는 어린이 과잉 보호에 이르게 한다. 두 번째 모델은 부부가 각기 역할의 절반을 분담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전 모델과 대조적으로 장점이 더 부각되는데 장점은 시간을 절약할수 있고 아이가 부모 모두에게 가까워질수 있다는 점과 부부를 위태로운 지경에 빠뜨리지 않고 부부간의 정을 두텁게 해주면서 전통적인 모델보다 부부의 유대감을 더 조장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큰 점은 이런 부부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꿋꿋하고 불안해하지 않는다.
변화하는 남성
여성의덕은 세계를 지키고, 남성의 덕은 세계의 한계를 지워버리낟. 이것들은 진정한 인간을 향해 나아가기 위한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아버지이자 동시에 어머니인 남성은 분리의 고통을 완화시키거나 남성적 정체성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는 있겠지만 결코 최초의 융합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여성이 남성을 낳고, XX가 XY의 품에서 성장하는 한 여성을 만드는 것보다 남성을 만드는 일이 언제나 더 길고 어려운 과제이다.
저자는 ‘부드럽고 섬세하고 다정다감한 모습의 남성성이 왜 진정한 남성성으로 될 수 없는가’라고 자문하도록 한다. 약함은 남성의 결점이 아니고 인간 모두의 특성이며 ‘여성적’ 이라는 꼬리표는 부정적 가치가 아니고 새로이 조명되어야 한다.
출생의 순간부터 아버지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아이는 남성화의 슬픔이나 고통을 순조롭게 극복할 수 있다. 좋은 아버지는 자신의 모든 남성성을 동원해서 아들에게 전달해 줘야 한다. 그는 자신의 양성성을 발휘할줄 알아야 하며 아버지임과 동시에 어머니였던 남성으로부터 아버지임과 동시에 스승인 남자로 진화할줄 알아야 한다.
부모 동참의 장점과 단점
여기는 두 가지 모델이 있다. 하나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정확하게 똑같이 일을 하는 것인데 이 모델의 장점보다 단점이 더 부각된다. 큰 단점은 부모들의 끊임없는 이중적 책임의식이 아이나 자신들을 위해서 결코 좋을 것이 없는 어린이 과잉 보호에 이르게 한다. 두 번째 모델은 부부가 각기 역할의 절반을 분담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전 모델과 대조적으로 장점이 더 부각되는데 장점은 시간을 절약할수 있고 아이가 부모 모두에게 가까워질수 있다는 점과 부부를 위태로운 지경에 빠뜨리지 않고 부부간의 정을 두텁게 해주면서 전통적인 모델보다 부부의 유대감을 더 조장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큰 점은 이런 부부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꿋꿋하고 불안해하지 않는다.
변화하는 남성
여성의덕은 세계를 지키고, 남성의 덕은 세계의 한계를 지워버리낟. 이것들은 진정한 인간을 향해 나아가기 위한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아버지이자 동시에 어머니인 남성은 분리의 고통을 완화시키거나 남성적 정체성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는 있겠지만 결코 최초의 융합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여성이 남성을 낳고, XX가 XY의 품에서 성장하는 한 여성을 만드는 것보다 남성을 만드는 일이 언제나 더 길고 어려운 과제이다.
저자는 ‘부드럽고 섬세하고 다정다감한 모습의 남성성이 왜 진정한 남성성으로 될 수 없는가’라고 자문하도록 한다. 약함은 남성의 결점이 아니고 인간 모두의 특성이며 ‘여성적’ 이라는 꼬리표는 부정적 가치가 아니고 새로이 조명되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문학과 남성) 한국문학에 나타난 다양한 모습의 남성상에 관한 보고서
남성들이 선호하는 여성성에 관한 연구
남성어와 여성어의 음운, 어휘의 차이
아모레 퍼시픽의 남성 화장품 신제품 개발 및 프로모션 -남성화장품 : 글루밍이란 이름으로 ...
[사랑][이성교제][교제]사랑의 형태, 사랑의 종류, 이성교제의 개념, 이성교제의 의의, 이성...
남성 우울증
남성과 여성의 정체성
남성의 역사
히스토리의 개념, 특징, 한국 드라마, 이 시대의 남성상, 남성상의 변화 과정, 현황, 사례, ...
남성과 여성, 양성 심리의 차이.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B형-한국사회 고정관념] 한국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
남성화장품 전문 화장품 샵 마케팅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