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문장가, 팔문장가라 부를 만한 뛰어난 문인들이 있었고, 위항문학의 시발점이 되는 시기며, 여류한문학도 발달하였다. 당의 시에 관심을 갖게 한 조선 중기 문인 崔慶昌, 李達, 白光勳 세 사람이 있었는데 이들을 三唐詩人이라고 불렀다. 이 시인들은 인간적 정서와 삶의 구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정감을 표현하였으며, 특히 이 중 李達은 당풍의 최고문인으로 허균과 허초희를 가르쳤다. 삼당시인 뿐만 아니라 당송팔대가의 古文을 모범으로 삼은 四大文章家도 있었는데 여기에는 李廷龜, 申欽, 張維, 李植이 해당된다. 또한 조선의 八文章家 불리는 문인들이 있었는데 여기에는 이산해, 백광훈, 최경창, 최립, 이순인, 윤탁연, 하응림, 송익필이 해당된다. 그 밖에 신사임당-허초희-매창으로 이어지는 여류 한문학도 발달하였다.
추천자료
조선전기문학에 대하여
조선시대 이옥의 ‘전’에 대한 사회적 성격 고찰
조선후기 문헌소재 열녀전의 변이양상과 의미분석
고려.조선시대 문학 시기별 특징과 작가, 작품
조선시대의 여류문학
조선전기 방외인문학-김시습
한자교육(한문교육)의 중요성, 한자교육(한문교육)의 연구, 한자교육(한문교육) 어려움, 한자...
한자교육(한문교육)의 개념, 한자교육(한문교육)의 필요성, 한자교육(한문교육) 기초한자, 한...
[조선시대][조선시대 문학][조선시대 회화][조선시대 건축][조선시대 공예][조선시대 음악][...
[자아의식][자아의식과 김춘수][자아의식과 목회자][자아의식과 이상][자아의식과 조선후기][...
[내선일체, 내선일체 방법, 내선일체 방향전환, 내선일체 기능확대, 내선일체 조선인참여]내...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아동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자연주의문학, 한일문학(...
조선시대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여성의 반항, 그 소극성에서 방관까지 (조희선의 논문 ‘조...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 4판 2권 요약 (중세후기문학 제 1기 고려후기 & 중세후기문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