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적 관점으로 본 악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대상 정의
1.2 연구 목적 및 의의

2. 악플의 원인
2.1 설문조사
2.2 연구자료 및 문헌조사
2.3 댓글 알바와의 인터뷰를 통한 조사
2.4 정리

3. 악플을 다는 이유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3.1 단순한 즐거움과 재미
3.2 개인적 원한
3.3 주목
3.4 광고

4. 악플을 막아야 하는 이유 – 외부 효과
4.1 정보의 비대칭
4.2 관리 비용
4.3 파급 효과

5. 대안의 가이드라인_유인구조의 설계
5.1 온라인 상의 유인구조 설계
5.2 온라인과 현실세계 간의 유인구조 설계

6. 결론

본문내용

하는 인간의 심리를 자극할 뿐이다.
정면에서 물길을 막을 수 없다면, 물길을 파서 스스로 돌아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사람들이 악플을 달고자 하는 욕구를 경제 유인 구조 계획을 통해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다면, 충돌도 마찰도 거의 없이 자연스럽게 흐름이 이동하는 장면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악플에 대한 경제적 접근을 통해 대안을 마련해 보았다. 이것이 우리 사회에 벌어지고 있는 악플을 방지하고, 악플의 폐해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첨부자료 1.
‘댓글 알바’ 경험자와의 인터뷰
(신촌 스카이에듀 재수학원에서 댓글 알바를 했던 지인과 인터뷰 한 것이다.)
Q1: 알바(댓글 알바)를 어디서 했나?
A1: 재수학원에서 했다. 수능이 끝나고 학원에서 한 스무 명 정도 의사를 물어온 것으로 안다.
Q2: 재수 학원 홍보를 맡았나?
A2: 그렇다. 그러나 그것 뿐 아니라 (학원이)인터넷 강의도 하기 때문에 인터넷 강의 및 강사에 대한 홍보도 맡았다.
Q3: 알바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가?
A3: 상당히 치밀하게 진행되었던 것 같다. 먼저 학생들은 가족 것이든 친구들 것이든 어떠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 네이버와 다음 아이디 10개를 만들어야 한다. 그런 다음 각 아이디로 유명한 수능 카페에 가입을 한다. 더불어 네이버의 경우에는 블로그를 한 아이디로 만들 것을 주문하는데, 블로그에 일기 형식으로 학원 홍보글을 만들어 간접적으로 학생들에게 어필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면 네이버로 검색 했을 때 블로그 글에 내가 홍보용으로 만들 글이 맨 위에 뜨게 된다.
Q4: (ID를) 10개씩 만들어서 카페에 가입하면 무엇을 하나
A4: 카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IN같은 질문 답변 사이트에서도 활동을 한다. 10개는 우리가 만들고 10개는 학원에서 지급을 해 준다. 즉 20개인 셈이다. 그런 다음 우리는 엑셀 파일로 각 아이디마다 정체성을 설정한다. 예컨대 1번 아이디는 재수해서 서울대를 간 모모씨.. 2번 아이디는 이 학원 인강을 듣고 언어 점수가 많이 오른 모모양… 이런 식으로 해서 ‘다른 글 읽기’로 네티즌들이 검색했을 때 알바라는게 티가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우리는 카페 및 지식IN에 올라오는 글을 보고 그 질문에 맞는 성격의 ID로 댓글을 달아준다. 단 카페나 지식IN운영진에서 알바 단속을 많이 하는 편이라, 잡다한 내용 80% 홍보 20%식의 지능적인 글을 올린다.
아 참고로, 내가 직접 글을 다는 것이 아니다. 글을 올릴 ID를 정하고, 그 아이디를 글 내용과 함께 알바용 비밀 카페에 올린다. 그러면 글이 광고 티가 나는지 안나는지 확인하는 전담 팀이 또 따로 있다. 이들이 글을 첨삭하고, OK사인이 떨어지면 또 글만 따로 올리는 팀이 글을 올린다. 도배로 몰리지 않고, 중복 답변이 되지 않기 위해 댓글을 가려서 올리기 위해서이다.
여기 내 USB에 관련 자료 엑셀이 있다 필요하면 봐도 좋다. 쓸거면 이름은 좀 지워주기 바란다. (첨부자료 2 맨 마지막에 캡처 자료 수록)
Q5: 거의 하나의 조직이다. 놀랍다. 그냥 궁금해서 그런데, 보수는 얼마 받았나?
A5: 1000자 이상의 글의 경우 5000원, 그 이하는 3000원, 한 두줄 댓글 다는건 1000원 받았다. 댓글 올린 사이트 주소를 올리면 확인하고 그 달 말에 정산해 준다.
Q6: 수입이 괜찮은 것 같다.
A6: 상당히 좋다. 조금만 요령이 붙으면 글 하나 올리는 데 30분이 안걸린다. 시간당 8000~ 10000원 수준이고, 자신이 벌고자 하면 얼마든지 더 벌 수 있다.
Q7: 흥미롭다. 혹시 그렇다면 이러한 알바가 많나?
A7: 아마 그럴 것이다. 우리가 알바를 하기 전에 오리엔테이션을 받는다. 그 때 자료를 주면서 중요하게 언급하는게 있는데, 바로 다른 학원들의 알바 현황이다. 어떤 학원은 어디서 활동하고, 어떤 선생님에 대한, 또 어떤 전략을 사용해서 광고를 하고 있는지가 아주 자세하게 나와 있다.
실제로 돌아다니다가 보면 알바 댓글이 상당히 많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누가 누가 이런 학원이 좋아요 이런거 그거 90%이상이 다 알바라고 보면 된다. 알바 하는 사람들은 척 보면 누가 누가 알바인지 안다. 실제로 이런 사람들을 견제하기 위해 서로 알바라고 신고하기도 한다.
나도 광고하다 걸려서 내 주민등록번호가 네이버 측으로부터 글쓰기 영구 정지를 먹었다.
Q8: 좀 무섭다. 그렇다면 혹시 비난형 댓글(악플)도 많이 다나
A8: 물론이다. 특히 상대 알바를 공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일이다. 상대가 알바가 아니라도 우리 측 학원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있으면 당장 공격을 한다. 공격은 매우 쉽다.
그리고 우리 측 강사를 띄울 때도 쓰는 전략이 악플이다.
Q9: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A9: 귀찮은데…. 알았다. 아까 아이디가 20개 있다고 말하지 않았나. 그 아이디를 돌려가면서 댓글을 단다. 게시판에 까는 글을 올릴 경우에는 IP추적 때문에 1인당 하나씩만 달고, 댓글의 경우에는 IP추적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한 사람이 ID를 바꿔가며 공격을 한다. (ID)20개가 있으면 좀 감정적인 캐릭터 하나를 설정하여 댓글을 달고, 차분하고 논리적인 척 하는 캐릭터도 하나 설정하여 댓글을 단다. 순식간에 댓글 2~30개 정도 달게 하면 한 사람 묻어버리는 건 일도 아니다.
우리 측 강사를 띄울 때는 좀 다르다. 새로 들어온 강사의 경우에는 사람들이 잘 모른다. 이슈화시켜서 띄울 필요가 있다. 이 때 우리는 ID들을 찬/반으로 갈라서 댓글을 막 단다. 완전 부정적인 댓글만 있던 전의 상황과는 달리 부정/긍정 50%씩 있으니까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 같다.
상대 학원도 이런 일을 하기 때문에 솔직히 이런 학원 입학철에 공격적 댓글이 많은 편이다.
참고자료 2.
실제 알바들이 쓰는 데이터를 캡처(capture)한 것. ID별로 캐릭터를 설정하고, 자신이 쓴 글에 대한 주소가 들어 있다. 이 파일을 학원에 제출해 보수를 받는다고 한다.
이 자료는 필자가 삼수 당시 다녔던 신촌 스카이에듀 재수학원에서 댓글 알바를 했던 지인에게 받은 자료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