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호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산업재해 보상 보험에 의한 근로복지공단의 요양급여 종류에 대하여 조사해본다.
2. 한 사업장을 정해 재해 발생율을 계산해보고 다른 년도나, 타 사업장과 비교해본다.
3. 산업장 현장에서 재해예방에 관한 대책을 조사해본다.

본문내용

의식고취가 어렵다.
바. 동시 복합성 재해
수많은 공정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해 발생시 대형 참사가 된다.
- 건설 재해 예방
가. 건설 작업의 특성과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이해하고 재해 예방을 생활화한다.
나. 건설 공사의 주요 작업별 재해 유형 및 예방 방법을 인식하고 작업을 한다.
다. 경영자의 안전에 대한 인식이 투철하여야 한다.
라. 재해 예방을 위한 적정한 공사 기간을 확보한다.
마. 하도급에 관한 안전 관리 체제를 강화한다.
- 운반중의 재해
1) 붙잡는 곳이 나쁠 때
2) 무거운 듯하나 무리를 하여 혼자 들었을 때
3) 무리하게 많은 것을 들었을 때
4) 작업장 바닥이 울퉁불퉁하여 넘어졌을 때
5) 너무 많이 들어 앞이 보이지 않았을 때
6) 재료를 완전하게 포개어 들지 않았을 때
7) 운반이나 적재 하역 작업중 일어난 재해의 유형
가. 운반작업
(가) 화물사이에 손이 낍니다.
(나) 화물을 발 위에 떨어뜨립니다.
(다) 화물에 정신이 쏠려 주의가 둔해져서 운반구에 부딪쳐 중심을 잃고 넘어집니다.
나. 적재하역작업
(가) 화물이 떨어지거나 무너져서 그 밑에 깔리게 됩니다.
(나) 화물을 쌓을 때 손이나 발이 낍니다.
(다) 화물을 들어올릴 때 무리를 하여 관절을 뺍니다.
물건을 운반하면서 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우리의 작업 중에 물건을 취급하거나 운반 하는 기회가 의외로 많으며, 누구라도 간단히 할 수 있는 작업이어서 가볍게 생각하고 안전한 운반 방법을 연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근로자의 보통의 사고는 부주의한 다른 사람이 일으키는 것이고 자신은 염려 없다고 생각하여 자신이 위험한 동작을 하고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인력운반
가.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방법
무거운 것을 무리하게 들어올리다가 허리, 팔 등을 삐게 됩니다. 관절을 삐면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팔만이 힘이나 허리만의 힘으로 무거운 것을 드는 것과 같이 나쁜 자세로 인해 관절에 무리가 오는 것이 원인이며, 치료는 더딘 것이 특징입니다. 관절을 삐는 경우는 관절이 굳어진 노인의 경우가 많으나 젊은 사람도 무리를 하게 되면 삘 수 있으며 일단 한 번 삐게 되면 자꾸 삐기 쉽습니다.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는 중량물을 몸의 중심에 놓고, 몸에 가까이 하고, 손전체로 중량물을 꽉 움켜 쥐고, 허리를 가능한 한 곧게 펴고 다리의 힘만으로 서서히 일어나도록 합니다.
나. 무거운 물건을 내리는 방법
첫째, 중량물을 내릴 때는 천천히 합니다. 던져 내리면 튀어 올라올 위험이 있고 제품이나 재료를 손상시킬 위험도 있습니다.
둘째, 다음 작업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물건을 내려놓습니다.
셋째, 넘어지거나 무너지지 않도록 높게 쌓지 않습니다. 일시적인 경우라도 위험하지 않도록 합니다.
넷째, 무겁고 큰 물건을 작업대 위에 내릴 때에는 손가락이 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품의 한쪽을 작대에 걸친 후 어깨로 밀도록 합니다.
다섯째, 중량물을 어깨로부터 내려놓을 때, 허리를 낮추어 내리면 만약 무리라고 생각될 때는 도움을 청한다.
9) 개인운반
중량물을 껴안고 운반할 경우에는 그 화물에 가리워서 발밑이 보이지 않으므로 발판이 울퉁 불퉁한 경우조치를 취하여 통로에 장애물 또는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은 미리 치우도록 합니다. 중량물을 혼자서 운반할 때는 허리를 편 채로 앞을 주시하면서 다리만을 움직여야 합니다. 방향을 바꿀때는 몸을 틀지 말고 먼저 이동방향으로 발을 옮깁니다.
중량물을 어깨에 메고 운반할 경우에는 상체를 구부르지 말고 등을 곧게 펴도록 합니다. 걸을 때는 허리를 낮추고 무릎의 탄력을 이용하도록 합니다. 또 물건의 중심과 허리와 발이 동일 선상으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10) 공동 운반
55㎏ 이상의 운반물은 반드시 두 사람 이상이 공동으로 운반하여야 합니다. 공동운반을 할 경우 체격이 적은 사람 쪽으로 중량이 기울어지기 때문에 체격, 신장 등이 비슷한 사람 끼리 한 조를 이루어야 합니다. 공동 운반시 중량물은 몸에 최대한 가깝도록 붙이고 허리보다 높은 위치로 올려서 들도록 하고, 물건을 쌓아올려서 공동 운반할 경우에는 로프로 묶어서 짐이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또한 공동작업인 경우에는 반드시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호흡을 맞추고, 호흡을 맞추기 위해 구령을 붙이는 것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짐을 내릴 때는 소리를 내어 하나, 둘, 셋의 구령에 맞추어 내리도록 합니다.
11) 보조기구사용
운반을 능률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보조기구는 언제나 장비 점검을 하여 두고 바른 사용방법을 알아두어야 하겠습니다. 갈고리의 경우 사용하기 전에 부서지거나 금이 간 곳이 없는지를 확인합니다. 또 갈고리는 튼튼한 곳에
걸어야 합니다. 약한 곳에 걸게 되면 짐이 잡아 당길 때 몸의 중심을 잃기 쉽습니다. 지렛대는 철지렛대와 목지렛대가 있습니다.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강도를 생각하고 흠이 없나를 조사합니다. 지렛대를 사용하여 짐을 올리거나 움직일 경우 낮게 물리면 힘은 절약 되나 화물의 포장이 벗겨지기 쉬우므로 주의합니다.
발판을 사용할 경우 사전에 튼튼한가를 확인합니다. 폭은 적어도 50㎝ 이어야 하며, 미끄럼 방지판이 있는 것을 사용합니다. 사용시 판 자체가 미끄러져 벗어나거나, 튀거나 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시킨후에 사용합니다.
12) 기계운반
운반용 기계에는 크레인, 호이스트, 지게차, 컨베이어등과 인력으로 움직이는 대차, 손수레 등이 있습니다.
가. 차의 적재량에 따라서 짐을 쌓고, 결코 과중한 짐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나. 가급적 중심을 낮게 하고 한족으로 치우친 짐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다. 구르기 쉬운 것, 넘어지기 쉬운 것에는 받침이나 쐐기, 지주 등을 사용하고 운반 중에 떨어지지 않도록 로우프로 묶어서 고정합니다.
라. 운반물이 무거운 것일수록 다리를 크게 벌려 허리를 낮추고 앞다리에 체중을 실어서 밀도록 합니다.
마. 무거운 물건을 한 손으로 끌면 예상치 않은 방향으로 나가거나 중심이 한쪽을 치우쳐 허리를 삐는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운반물은 양손으로 끌고 또한 양다리를 모으지 않도록 합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