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Motor(전동기)의 구동원리
1) 직류 전동기
2) 3상 유도 전동기
3) 단상 유도 전동기
4) 교류 정류자 전동기
5) 동기 전동기
2. Motor(전동기)의 구동원리
1) 직류 전동기
2) 3상 유도 전동기
3) 단상 유도 전동기
4) 교류 정류자 전동기
5) 동기 전동기
본문내용
f인 교류를 공급하면 회전자의 동기속도 는 다음과 같다.
동기 전동기는 동기속도 이외의 속도에서는 회전력을 발생하지 못하므로 전압을 고정자 권선에 인가하는 것만으로 기동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동기 전동기를 운전하려면 정지 상태에서 동기속도까지 이르도록 특별한 기동장치(소형 기동 전동기 또는 자극에 장치한 기동권선)가 필요하다.
동기 전동기에 부하를 걸면 회전자는 무부하의 위치보다 부하각 만큼 뒤져서 운전을 계속하는 특성이 있다.
또 부하가 갑자기 변동해서 증가된 부하토크보다 전동기의 발생토크가 부족하게 되면 회전자는 순간적으로 감속하므로 동기속도 이하가 되고, 이 때 회전자의 관성에 의해 부하각이 증가하여 전동기의 발생토크는 부하토크보다 크게 되므로 회전자는 가속되어 부하각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회전자가 일정속도에서 진동하는 현상을 난조(hunting)라 한다. 난조를 방지하는 방법은 자극 표면에 슬롯을 파서 저항이 적은 단락 권선을 설치한 제동권선을 이용하거나 플라이휠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참고자료
전기ㆍ전자공학입문, 정동명 저, 도서출판 인터비전, 2000, p. 420~444
전기응용, 임헌찬 저, 복두출판사, 2004, p. 245~246
동기 전동기는 동기속도 이외의 속도에서는 회전력을 발생하지 못하므로 전압을 고정자 권선에 인가하는 것만으로 기동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동기 전동기를 운전하려면 정지 상태에서 동기속도까지 이르도록 특별한 기동장치(소형 기동 전동기 또는 자극에 장치한 기동권선)가 필요하다.
동기 전동기에 부하를 걸면 회전자는 무부하의 위치보다 부하각 만큼 뒤져서 운전을 계속하는 특성이 있다.
또 부하가 갑자기 변동해서 증가된 부하토크보다 전동기의 발생토크가 부족하게 되면 회전자는 순간적으로 감속하므로 동기속도 이하가 되고, 이 때 회전자의 관성에 의해 부하각이 증가하여 전동기의 발생토크는 부하토크보다 크게 되므로 회전자는 가속되어 부하각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회전자가 일정속도에서 진동하는 현상을 난조(hunting)라 한다. 난조를 방지하는 방법은 자극 표면에 슬롯을 파서 저항이 적은 단락 권선을 설치한 제동권선을 이용하거나 플라이휠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참고자료
전기ㆍ전자공학입문, 정동명 저, 도서출판 인터비전, 2000, p. 420~444
전기응용, 임헌찬 저, 복두출판사, 2004, p. 245~246
추천자료
공과대학 전기공학부 전기기기 유도기
[법률행위][법률][법][판례][법전]법률행위에 관한 심층 고찰(법률행위의 목적, 법률행위의 ...
전기기기
모터제어 모터의 원리와 분류 PID 제어 AD DA Converter
DC모터 제어 실험 고찰
전기기기 요약 정리
직류발전기 결과보고서 (직류 타여자 발전기의 원리 탐구, 직류 분권 발전기 원리 탐구, 직류...
[수업지도안 사례] 만 5세 활동지도안 (선풍기는 어떻게 돌아가요)
[물류중심국가, 네덜란드, 중국, 홍콩]물류중심국가의 사례1(네덜란드), 물류중심국가의 사례...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 유사개념의 이해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사회복지와 사회보장, 사회...
변압계의 원리와 개념 그리고 실생활 예를 서술
친환경 전력기기 기계설계공학 동국대
공과대학工科大學 전기과 유도기 레포트
인류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A4용지 5장 내외로 전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