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질문
1)Multimeter, Oscilloscope, Function generator, Breadboard의 사용법
2) Resistor, Capacitor
3) 색저항
4) Ohm's law
5) Resistor, Capacitor의 직, 병렬 연결시 전체 저항값, capacitance
6) Kirchhoff's law
3. 시뮬레이션
1) 저항 직렬연결
2) 저항 병렬연결
3) 파형의 발생, 측정
4) 위상 변화 측정
2. 질문
1)Multimeter, Oscilloscope, Function generator, Breadboard의 사용법
2) Resistor, Capacitor
3) 색저항
4) Ohm's law
5) Resistor, Capacitor의 직, 병렬 연결시 전체 저항값, capacitance
6) Kirchhoff's law
3. 시뮬레이션
1) 저항 직렬연결
2) 저항 병렬연결
3) 파형의 발생, 측정
4) 위상 변화 측정
본문내용
항기, 금속피막 저항기, 사기 저항기, 칩 저항기, 어레이 저항기, DIP 저항기 등이 있고, 가변 저항기는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 전류 등을 분배할 때 사용하며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가변 저항기는 3개의 단자가 있으며 최대 저항값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고, volume이라고 하는 가변 저항과 반고정 저항으로 나뉜다.
Capacitor는 전하를 축전하는 장치로 두 장의 금속판 사이에 유전체가 있는 구조이며, 직류전류를 막고 교류전류만 흐르게 하거나 공진회로를 구성하여 특정 주파수만을 흐르게 하고, 고정 콘덴서와 가변 콘덴서로 나뉜다.
고정 콘덴서는 극성이 있는 유극성 콘덴서와 극성이 없는 무극성 콘덴서로 나뉘고, 가변 콘덴서는 송수신기나 발진기의 동조회로에 사용되며 공기를 유전체로 하는 에어 바리콘과 폴리에틸렌계의 필름을 유전체로 하는 폴리 바리콘이 있다.
3) 색저항
색저항이란 저항에 여러 색의 띠를 칠해놓은 것으로 띠의 개수와 색으로 저항값을 알 수 있다. 4색 저항은 앞쪽 두 개의 띠가 각각 0~9의 값을 가지게 되어 두 자리 수가 되고 세 번째 띠는 저항의 승수로 ~까지 나타내며, 마지막 띠는 저항값의 오차를 나타내고 1%, 2%, 5%, 10%가 있다. 5색 저항도 4색 저항과 비슷한데 앞의 3개의 띠가 각각 0~9의 값을 가져서 세 자리 숫자를 나타낸다.
4) Ohm's law
물질은 일반적으로 저항을 갖는다. 물질에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르는데 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 이것을 옴의 법칙이라 하고 대부분의 물질이 이 법칙을 만족한다. 이 법칙을 만족하는 물질을 옴성 물질이라 한다. 저항의 단위로는 옴(Ohm)을 사용하며, 기호로는 그리스 문자 을 사용한다. 옴의 법칙은 저항을 정의하는데 쓰인다.
5) Resistor, Capacitor의 직, 병렬 연결시 전체 저항값, capacitance
- Resistor
저항을 직렬로 연결할 경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같으므로 전류의 식은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I를 소거하면
가 된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할 경우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합이 총 전류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전압과 같으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V를 소거하면
가 된다.
- Capacitor
축전기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 각 축전기에 흐르는 전하가 같으므로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의 합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V를 소거하면
가 된다.
축전기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각각의 축전기에 흐르는 전하의 합이 총 전하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전압과 같으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V를 소거하면
가 된다.
6) Kirchhoff's law
Kirchhoff's law에는 loop rule과 node rule이 있다. loop rule이란 어떤 회로의 일부분에서 임의의 닫힌 경로를 따라 돌아올 때 전압 상승과 전압 강하의 합은 0이라는 것이고, node rule이란 어떤 회로에서 임의의 교점으로 들어오는 모든 전류의 합은 그 교점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는 것이다.
3. 시뮬레이션
1) 저항 직렬연결
저항
1k
2.2k
1M
예상전압
0.004984V
0.010965V
4.984051V
예상전류
0.000004984A
측정전압
0.004989V
0.0198V
4.984V
측정전류
0.000005329A
전압오차
0.099%
0.138%
-0.001%
전류오차
6.92%
2) 저항 병렬연결
저항
1k
2.2k
1M
예상전압
5V
5V
5V
예상전류
0.005A
0.002272A
0.000005A
측정전압
5V
5V
5V
측정전류
0.005A
0.002273A
0.00000441A
전압오차
0%
0%
0%
전류오차
0%
0.012%
-11.8%
3) 파형의 발생, 측정
①
②
③
4) 위상 변화 측정
① 저항
② 축전기
※참고자료
PHYSICS : Calculus, EUGENE HECHT 원저,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청문각, 2006
전자 회로 실습, 이계호 이상종 공저, 일진사, 1979
제 7판 물리학 실험,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실, 아주대학교 출판부, 2007
전자회로, Stanley 원저, 구본호 외 8명 공저, 진영사, 1996
Capacitor는 전하를 축전하는 장치로 두 장의 금속판 사이에 유전체가 있는 구조이며, 직류전류를 막고 교류전류만 흐르게 하거나 공진회로를 구성하여 특정 주파수만을 흐르게 하고, 고정 콘덴서와 가변 콘덴서로 나뉜다.
고정 콘덴서는 극성이 있는 유극성 콘덴서와 극성이 없는 무극성 콘덴서로 나뉘고, 가변 콘덴서는 송수신기나 발진기의 동조회로에 사용되며 공기를 유전체로 하는 에어 바리콘과 폴리에틸렌계의 필름을 유전체로 하는 폴리 바리콘이 있다.
3) 색저항
색저항이란 저항에 여러 색의 띠를 칠해놓은 것으로 띠의 개수와 색으로 저항값을 알 수 있다. 4색 저항은 앞쪽 두 개의 띠가 각각 0~9의 값을 가지게 되어 두 자리 수가 되고 세 번째 띠는 저항의 승수로 ~까지 나타내며, 마지막 띠는 저항값의 오차를 나타내고 1%, 2%, 5%, 10%가 있다. 5색 저항도 4색 저항과 비슷한데 앞의 3개의 띠가 각각 0~9의 값을 가져서 세 자리 숫자를 나타낸다.
4) Ohm's law
물질은 일반적으로 저항을 갖는다. 물질에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르는데 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 이것을 옴의 법칙이라 하고 대부분의 물질이 이 법칙을 만족한다. 이 법칙을 만족하는 물질을 옴성 물질이라 한다. 저항의 단위로는 옴(Ohm)을 사용하며, 기호로는 그리스 문자 을 사용한다. 옴의 법칙은 저항을 정의하는데 쓰인다.
5) Resistor, Capacitor의 직, 병렬 연결시 전체 저항값, capacitance
- Resistor
저항을 직렬로 연결할 경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같으므로 전류의 식은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I를 소거하면
가 된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할 경우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합이 총 전류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전압과 같으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V를 소거하면
가 된다.
- Capacitor
축전기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 각 축전기에 흐르는 전하가 같으므로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의 합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V를 소거하면
가 된다.
축전기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각각의 축전기에 흐르는 전하의 합이 총 전하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고 총 전압은 각각의 전압과 같으므로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이므로
가 되고 여기서 V를 소거하면
가 된다.
6) Kirchhoff's law
Kirchhoff's law에는 loop rule과 node rule이 있다. loop rule이란 어떤 회로의 일부분에서 임의의 닫힌 경로를 따라 돌아올 때 전압 상승과 전압 강하의 합은 0이라는 것이고, node rule이란 어떤 회로에서 임의의 교점으로 들어오는 모든 전류의 합은 그 교점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는 것이다.
3. 시뮬레이션
1) 저항 직렬연결
저항
1k
2.2k
1M
예상전압
0.004984V
0.010965V
4.984051V
예상전류
0.000004984A
측정전압
0.004989V
0.0198V
4.984V
측정전류
0.000005329A
전압오차
0.099%
0.138%
-0.001%
전류오차
6.92%
2) 저항 병렬연결
저항
1k
2.2k
1M
예상전압
5V
5V
5V
예상전류
0.005A
0.002272A
0.000005A
측정전압
5V
5V
5V
측정전류
0.005A
0.002273A
0.00000441A
전압오차
0%
0%
0%
전류오차
0%
0.012%
-11.8%
3) 파형의 발생, 측정
①
②
③
4) 위상 변화 측정
① 저항
② 축전기
※참고자료
PHYSICS : Calculus, EUGENE HECHT 원저,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청문각, 2006
전자 회로 실습, 이계호 이상종 공저, 일진사, 1979
제 7판 물리학 실험,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실, 아주대학교 출판부, 2007
전자회로, Stanley 원저, 구본호 외 8명 공저, 진영사, 1996
키워드
추천자료
Cepstrum, Power Spectrum Density
일반물리실험 / 전자측정연습 (결과레포트)
cepstrum 실험
j-k 플리플랍
결과 Active_filter
RC회로의 이해와 실습
기초공학실험 - RC 필터와 정류회로
캐패시터의 특성 및 RC 직렬회로
디지털시스템_TTL CLOCK
일반물리학 실험 공명관
예비보고서 01장
기본실험장비 - 함수발생기 및 오실로스코프의 장비 사용방법 숙지와 직류, 교류 전원의 성분...
[통신공학 실험] 시분할 다중화방식(TDM) : 시간분할 다중화와 DEMUX의 동작을 이해한다.
[실험예비]레포트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 설계-실험예비레포트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