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논리 구조 (11단계)
2. 목표 설정
-기획 타이틀
-배경
-목적
-목표
3. 문제 파악 및 해결
-현상분석
-원인
-종합대책
-세부실행
4. 기대 효과
1. 논리 구조 (11단계)
2. 목표 설정
-기획 타이틀
-배경
-목적
-목표
3. 문제 파악 및 해결
-현상분석
-원인
-종합대책
-세부실행
4. 기대 효과
본문내용
생산량이 적을 경우에는 그 해 배추값이 폭등해버린다.
요구 정보수집
- 중간 중개인들의 수 파악
- 각 년도별 곡물 생산량 파악
->각 지역별 곡물 생산량
->각 지역별 경작지 면적
- 농민 1인당 소득, 지출 비용
- 유통에 관한 법률
예산
- 요구 정부 수집 비용: 1억
직거래 화 및 구조 간편화 작업 ( 8년~12년)
유통 구조의 직거래화
중간 중개인들의 통합 ( ~12년 )
- 중간 중개를 법으로 통제, 정부에서 승인한 각 지역별 기업들에 한해서 중간 중개를 가능하도록 통제
- 유통 중개에 관한 자격증을 만들어 중간 중개인들의 수 파악 및 통제
- 유통기업에서 대형마트, 소매시장( 재래시장 등 )에게 유통
-> 재래시장보다 대형마트에 좀 더 비싸게 판매 (재래시장 활성화)
- 기존 중간 중개인들에 대한 보상
생산량 효율적 배분
전국 농업협동조합(농협)을 활성화 ( ~12년 )
- 현재 하는 농협이 하는 일
①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 등의 금융사업,
② 영농기술교육, 농민권익 보호, 농촌생활개선 및 문화향상을 추구하는 지도사업,
③ 농산물을 판매하고 영농자재와 생활필수품을 구입하여 농가 및 농촌지역에 공급하는 경제사업 등이 있습니다.
- 농협 구조 변경: 지역별로 대표단을 선출.
-> 각 지역별로 자치권 부여
-> 현지 농민들과 농업 전문인들로 구성, 구성 비율도 5:5
-> 의사결정은 회의와 투표를 통해 결정.
- 각 지역별 경작지 활용, 매년 결과 보고
-> 지열별 경작지 적극적 활용
- 매년 지역별 생산 품목 선정: 균형있는 생산품목 생산 -> 곡물 가격 안정
-> 인기 품목과 비인기 품목의 균형성을 맞춤.
-> 비인기 품목에 선정된 지역에는 그 해 수익성에 따라 농협에서 보조금 지급.
예산: 총 2조 600억
- 기존 중간 중개인들의 보상금 지급: 100억
- 농협 지원금: 12년까지 매년 500억 ( 5년간 )
해외기지와 국내간의 교통루트 (~12년)
종합정보
최근 몽골에서는 ‘운송몽골프로그램’ 으로 철도수송의 집중개발정책을 규정했다. 이는 중국에서 유럽까지 상품수송이 45일이 걸리는 반면, 몽골의 철도가 현대화 된다면 중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시간보다 20~30일이 덜 걸리게 된다. 우리 정부는 이와 관련하여 몽골, 중국, 한국을 연결하는 교통루트를 확보하여 할흐골지역의 식량기지의 곡물인 밀을 효과적으로 수송하는 것과 동시에 몽골의 철도 건설과 할흐골 지역의 기본 인프라를 지원하므로써 향후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요충지 또한 확보하는 이득을 얻게 된다.
교통루트
몽골 할흐골
- 할흐골 지역에서 중국의 해랍이역까지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
-> 몽골정부와 중국정부와의 협상
- 해랍이역에서 청도역까지의 수송철도 협약을 함
-> 중국정부와의 협상
- 청도항구에서 인천, 목포등 우리나라의 항구로 수송
- 유통관련 기업 육성 ( 일본의 사례 벤치마킹 )
아르헨티나 야타마우카
- 아르헨티나의 야타마우카 농장에서 차량으로 칠레의 항구로 이동
- 태평양을 건너 동해 항구도시 포항, 속초등으로 이동
예산 : 총 110억
- 중국 정부와의 협상: 100억
-> 철도 관련 협상: 50억
-> 항구 관련 협상: 50억
- 아르헨티나와의 협상: 10억
확보된 식량의 국내 유통화 (12~13년)
- 해외에서 수송된 곡물들을 각 항구에서 받아와 농협이 관리하여 각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고 일정량은 식량 부족 상황을 대비하여 저장해 둔다.
유통구조 점검 및 문제해결(~14년)
- 해외 식량기지 건설과 운송 상의 문제점들을 발견, 해결하는 기간
□결문
10. 기대효과
- 자급률 증가로 해외 의존도 감소→곡물 가격 안정→물가 안정→가계 부담 감소→소비증가→경기 활성화→국가 안정
요구 정보수집
- 중간 중개인들의 수 파악
- 각 년도별 곡물 생산량 파악
->각 지역별 곡물 생산량
->각 지역별 경작지 면적
- 농민 1인당 소득, 지출 비용
- 유통에 관한 법률
예산
- 요구 정부 수집 비용: 1억
직거래 화 및 구조 간편화 작업 ( 8년~12년)
유통 구조의 직거래화
중간 중개인들의 통합 ( ~12년 )
- 중간 중개를 법으로 통제, 정부에서 승인한 각 지역별 기업들에 한해서 중간 중개를 가능하도록 통제
- 유통 중개에 관한 자격증을 만들어 중간 중개인들의 수 파악 및 통제
- 유통기업에서 대형마트, 소매시장( 재래시장 등 )에게 유통
-> 재래시장보다 대형마트에 좀 더 비싸게 판매 (재래시장 활성화)
- 기존 중간 중개인들에 대한 보상
생산량 효율적 배분
전국 농업협동조합(농협)을 활성화 ( ~12년 )
- 현재 하는 농협이 하는 일
①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 등의 금융사업,
② 영농기술교육, 농민권익 보호, 농촌생활개선 및 문화향상을 추구하는 지도사업,
③ 농산물을 판매하고 영농자재와 생활필수품을 구입하여 농가 및 농촌지역에 공급하는 경제사업 등이 있습니다.
- 농협 구조 변경: 지역별로 대표단을 선출.
-> 각 지역별로 자치권 부여
-> 현지 농민들과 농업 전문인들로 구성, 구성 비율도 5:5
-> 의사결정은 회의와 투표를 통해 결정.
- 각 지역별 경작지 활용, 매년 결과 보고
-> 지열별 경작지 적극적 활용
- 매년 지역별 생산 품목 선정: 균형있는 생산품목 생산 -> 곡물 가격 안정
-> 인기 품목과 비인기 품목의 균형성을 맞춤.
-> 비인기 품목에 선정된 지역에는 그 해 수익성에 따라 농협에서 보조금 지급.
예산: 총 2조 600억
- 기존 중간 중개인들의 보상금 지급: 100억
- 농협 지원금: 12년까지 매년 500억 ( 5년간 )
해외기지와 국내간의 교통루트 (~12년)
종합정보
최근 몽골에서는 ‘운송몽골프로그램’ 으로 철도수송의 집중개발정책을 규정했다. 이는 중국에서 유럽까지 상품수송이 45일이 걸리는 반면, 몽골의 철도가 현대화 된다면 중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시간보다 20~30일이 덜 걸리게 된다. 우리 정부는 이와 관련하여 몽골, 중국, 한국을 연결하는 교통루트를 확보하여 할흐골지역의 식량기지의 곡물인 밀을 효과적으로 수송하는 것과 동시에 몽골의 철도 건설과 할흐골 지역의 기본 인프라를 지원하므로써 향후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요충지 또한 확보하는 이득을 얻게 된다.
교통루트
몽골 할흐골
- 할흐골 지역에서 중국의 해랍이역까지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
-> 몽골정부와 중국정부와의 협상
- 해랍이역에서 청도역까지의 수송철도 협약을 함
-> 중국정부와의 협상
- 청도항구에서 인천, 목포등 우리나라의 항구로 수송
- 유통관련 기업 육성 ( 일본의 사례 벤치마킹 )
아르헨티나 야타마우카
- 아르헨티나의 야타마우카 농장에서 차량으로 칠레의 항구로 이동
- 태평양을 건너 동해 항구도시 포항, 속초등으로 이동
예산 : 총 110억
- 중국 정부와의 협상: 100억
-> 철도 관련 협상: 50억
-> 항구 관련 협상: 50억
- 아르헨티나와의 협상: 10억
확보된 식량의 국내 유통화 (12~13년)
- 해외에서 수송된 곡물들을 각 항구에서 받아와 농협이 관리하여 각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고 일정량은 식량 부족 상황을 대비하여 저장해 둔다.
유통구조 점검 및 문제해결(~14년)
- 해외 식량기지 건설과 운송 상의 문제점들을 발견, 해결하는 기간
□결문
10. 기대효과
- 자급률 증가로 해외 의존도 감소→곡물 가격 안정→물가 안정→가계 부담 감소→소비증가→경기 활성화→국가 안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