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엇일까? 이스트호프Easthope에 의하면, 그 이유는 기존의 문학 연구가 대상으로 삼고 있었던 텍스트들의 예술성이란 것이 허구로 판명되었기 때문이다. 기존의 문학 연구 대상은 소위 ‘문학적 가치’가 있다고 판정된 정전 텍스트에 한정되어왔다. 그런데 그 문학적 가치란 것은 텍스트가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상정되는 ‘통일성’에 의해 담보되는 것이었고, 통일성이란 바로 저자Author의 상상력으로 귀착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문학 연구가 진행되면서 텍스트의 다의성이 입증되었고, 이는 작품에 권위를 부여하던 저자라는 신화를 무너뜨리는데 기여했다. 따라서 더 이상 텍스트의 통일성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스트호프는 이것이 기존의 문학 연구 대상이었던 문학 작품들이 대중 문화에 대해 특별한 권위를 내세울 수 없는 증거라고 한다.
엄밀히 말해 이러한 근거는 서구 문학 교육의 관습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문학교육 현실에 곧바로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현대문학에 있어서는 그 연구 방법 자체가 서구의 영향을 받은 측면이 강하고 따라서 이와 같은 비판이 가능하다고 본다. 고전문학이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문학을 교육하는 것이 진보적일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 문학교육의 위기에 대한 두 가지의 대응 방식은 얼핏 보기에는 다만 연구 대상의 차이, 다시 말해 문학교육의 내용을 기존의 (고급) 문학으로 고수할 것인가, 아니면 대중 문화로까지 확장할 것인가에 의해 나뉘어지는 것 같이 보인다. 그러나 이 두 대응 방식의 바탕에 깔려 있는 보다 중요한 기준은, 문학에 대해 본질주의적이고 정적인 관점을 취할 것인가, 아니면 보다 상대주의적이고 진보적인 관점을 취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있다. 따라서 연구 대상 혹은 교육 대상으로 되는 텍스트가 어떤 것인가는 오히려 부차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화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문학교육을 통해 문화를 읽을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되, 여기에서 문제되는 것은 관점의 전환이라는 것이다. 필자가 이상과 김수영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시쓰기 문화에 나타난 감성구조를 반고백이라는 형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은, 문화교육의 관점이 기존의 연구 대상에까지 적용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문화교육에 있어 중요한 것은 편협한 문학관에 기초한 문학주의의 극복과 연구 대상 및 교육 대상이 되는 텍스트의 확장 두 가지라고 본다. 텍스트의 확장이라는 문제가 중요한 것은 그것이 문화적 수준에서 제기되는 민주주의의 문제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여태까지 저열한 수준의 것이라고 교육의 장에서 밀쳐져 왔던 우스갯소리 같은 대중 문화가 연구와 교육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의미심장한 일이다.
그러나 관점의 전환이 없는 텍스트의 확장이 갖는 한계를 또한 우리는 경계해야 한다. 우리는 그 한계를 영국의 리비스주의에서 본다. 리비스주의는 대중 문화가 문화적 쇠퇴를 보여주는 징후라는 관점 하에 대중 문화를 연구한다. 그런 이러한 속단을 가지고 행해지는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탐구는 결국 예상된 결론을 확인시키는 일을 반복할 따름이었다. 덧붙여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분석이 대중 문화 텍스트에 대해서만 행해질 필요는 안된다는 것, 전환된 관점으로 기존의 텍스트들을 상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해 두고자 한다.
< 참 고 문 헌 >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심지원
김상욱, 문학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윤식, 이상연구, 문학사상사
문교부 고시 제 88-7호,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흥술, 이상 문학의 주체 분열과 반담론, 서울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백철, 비평의 이해, 민중서관
유종호, 인문주의의 허실, <세계의 문학>
이용주구인환김은전박갑수이상익김대행윤희원 공저, 국어교육학 연구와 교육의 구조
정재찬, <죽은 시인의 사회>와 문학교육, <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정현선, 모더니즘시의 문화교육적 연구―이상과 김수영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어교육과 석사
Anthony Easthope, 임상훈 옮김, 문학에서 문화연구로, 현대미학사
Jonathan Culler, Structuralist Poetics, Routledge & Kegan Paul
John Storey, 박모 옮김,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Ramond Williams, The Long Revolution, Harmondsworth: Pen- guin
엄밀히 말해 이러한 근거는 서구 문학 교육의 관습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문학교육 현실에 곧바로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현대문학에 있어서는 그 연구 방법 자체가 서구의 영향을 받은 측면이 강하고 따라서 이와 같은 비판이 가능하다고 본다. 고전문학이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문학을 교육하는 것이 진보적일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 문학교육의 위기에 대한 두 가지의 대응 방식은 얼핏 보기에는 다만 연구 대상의 차이, 다시 말해 문학교육의 내용을 기존의 (고급) 문학으로 고수할 것인가, 아니면 대중 문화로까지 확장할 것인가에 의해 나뉘어지는 것 같이 보인다. 그러나 이 두 대응 방식의 바탕에 깔려 있는 보다 중요한 기준은, 문학에 대해 본질주의적이고 정적인 관점을 취할 것인가, 아니면 보다 상대주의적이고 진보적인 관점을 취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있다. 따라서 연구 대상 혹은 교육 대상으로 되는 텍스트가 어떤 것인가는 오히려 부차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화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문학교육을 통해 문화를 읽을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되, 여기에서 문제되는 것은 관점의 전환이라는 것이다. 필자가 이상과 김수영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시쓰기 문화에 나타난 감성구조를 반고백이라는 형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은, 문화교육의 관점이 기존의 연구 대상에까지 적용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문화교육에 있어 중요한 것은 편협한 문학관에 기초한 문학주의의 극복과 연구 대상 및 교육 대상이 되는 텍스트의 확장 두 가지라고 본다. 텍스트의 확장이라는 문제가 중요한 것은 그것이 문화적 수준에서 제기되는 민주주의의 문제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여태까지 저열한 수준의 것이라고 교육의 장에서 밀쳐져 왔던 우스갯소리 같은 대중 문화가 연구와 교육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의미심장한 일이다.
그러나 관점의 전환이 없는 텍스트의 확장이 갖는 한계를 또한 우리는 경계해야 한다. 우리는 그 한계를 영국의 리비스주의에서 본다. 리비스주의는 대중 문화가 문화적 쇠퇴를 보여주는 징후라는 관점 하에 대중 문화를 연구한다. 그런 이러한 속단을 가지고 행해지는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탐구는 결국 예상된 결론을 확인시키는 일을 반복할 따름이었다. 덧붙여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분석이 대중 문화 텍스트에 대해서만 행해질 필요는 안된다는 것, 전환된 관점으로 기존의 텍스트들을 상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해 두고자 한다.
< 참 고 문 헌 >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심지원
김상욱, 문학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윤식, 이상연구, 문학사상사
문교부 고시 제 88-7호,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흥술, 이상 문학의 주체 분열과 반담론, 서울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백철, 비평의 이해, 민중서관
유종호, 인문주의의 허실, <세계의 문학>
이용주구인환김은전박갑수이상익김대행윤희원 공저, 국어교육학 연구와 교육의 구조
정재찬, <죽은 시인의 사회>와 문학교육, <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정현선, 모더니즘시의 문화교육적 연구―이상과 김수영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어교육과 석사
Anthony Easthope, 임상훈 옮김, 문학에서 문화연구로, 현대미학사
Jonathan Culler, Structuralist Poetics, Routledge & Kegan Paul
John Storey, 박모 옮김,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Ramond Williams, The Long Revolution, Harmondsworth: Pen- guin
키워드
추천자료
<문화와교육>교육의 실제에서 문화가 가지고 잇는 매력과 함정에 대해 논하시오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왜 다문화 인식개선교육이 필요한지 설명하시오
[교육개혁]교육혁신(교육개혁)과 학교교육, 교육혁신(교육개혁)과 유아교육, 교육혁신(교육개...
[문학교육][문학][상호텍스트][수필][문학지도]문학교육의 본질, 문학교육의 목표, 문학교육...
문제중심교육(문제중심학습, PBL)의 정의, 문제중심교육(문제중심학습, PBL)의 특징과 장점, ...
[프랑스교육]프랑스교육의 성격, 프랑스교육의 학제구조, 프랑스교육의 관련정책, 프랑스교육...
다문화교육의 특징과 역사적 전개 및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해
[교육학 개론]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
유아다문화교육에서 교사의 태도와 역할,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실의 환경구성
보육과정_현대의 주요 사회_문화적 변화와 이슈인 아동권리, 저출산과 가족의 변화, 여성의 ...
(2017년 다문화교육론) 살아있는 다문화교육 이야기 1 기존(이 수업을 듣기 전 혹은 이 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