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여성주의 시는 무엇인가?
◎ 여성주의 시
1.「일찍이 나는」- 최승자
2. 「여성에 관하여」- 최승자
3. 「딸을 낳던 날의 기억 -판소리 사설조로」- 김혜순
4. 「건너편의 여자」 - 김정란
5. 「립스틱과 매니큐어」- 신현림
6. 「너희는 시발을 아느냐」 - 신현림
7. 「사랑 5- 결혼식의 사랑」- 김승희
◎ 여성주의 시
1.「일찍이 나는」- 최승자
2. 「여성에 관하여」- 최승자
3. 「딸을 낳던 날의 기억 -판소리 사설조로」- 김혜순
4. 「건너편의 여자」 - 김정란
5. 「립스틱과 매니큐어」- 신현림
6. 「너희는 시발을 아느냐」 - 신현림
7. 「사랑 5- 결혼식의 사랑」- 김승희
본문내용
치스러운 것으로 여기고, 음악 듣기나 수다 등의 다른 것에 집중하고자 이를 악물어야만 한다. 이러한 여성으로서 느끼는 불만이 많기 때문에 ‘여성 직장을 사표내자 시발’이라는 과격한 표현을 써서 토로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7. 「사랑 5- 결혼식의 사랑」- 김승희
성채를 흔들며 신부가 가고
그 뒤에 칼을 든 군인이 따라라가면서,
제국주의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부케를 흔들며 우리가 신부가 가고
그 뒤에 흰 장갑을 낀 신랑이 따라가면서
결혼예식은 끝났다고 한다.
모든 결혼에는 흰 장갑을 낀 제국주의가 있다.
그렇지 않은가?
-이 시는 가부장적인 가정에서 여성이 받는 강압적이고 지배받는 생활을 비판하며 말하고 있다. ‘예식이 끝난 후’는 곧 ‘제국주의의 시작’이라고 말하면서, 꼭 칼을 들고 사람들을 지배하는 것만이 제국주의가 아니라 결혼을 통한 여성의 억압받고, 지배받는 생활도 역시 제국주의와 다를 바 없다고 말하고 있다.
◎ 생태 여성주의
☞ 생태 여성론
현대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환경오염이 지구를 위협하고 있는 이 때, 생태계의 오염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다. 여성적 시각으로 환경 문제가 재조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했던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환경문제를 여성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제시할 필요성을 느꼈는데, 그것이 생태 여성론이다.
이러한 생태 여성론에 대한 공통된 의견은 출산 등과 같은 부분에서 자연과 여성의 이미지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또한 자연이 인간에 의해 취급받는 방식과 여성이 남성에 의해 취급받는 방식이 유사하다고 말한다.
8.「죽음을 기르는 자궁」 - 랄프 테니오르 [어머니와 아이] 중
아기를 밴 어머니가 불에 구운 소시지를
매운 양념에 버무려 먹고 있다
기름 범벅의 종이 봉지에 싸서
마요네즈와 케찹을 곁들여 먹고 있다
그 후 어머니는 담배를 흠뻑 빨아들이고
연기를 깊숙히 아주 깊숙히 들여 마신다
텔레비젼에서 반짝이며
새어나오는 푸른 불빛이
그녀의 눈 속에 흘러들어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기에게로 떨어진다.
독한 담배연기, 텔레비젼과 컴퓨터의 전자파는 산모의 몸 속으로 흘러 들어가서 면역성 없는 태아에게 쌓인다.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가 출생 이후에 건강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을 지는 아무도 보장할 수 없다. 충분히 제어할 수 있었던 위험 앞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기형아를 출산하는 현상은 공장지대와 산업시설의 주변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요즘은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들로부터 가장 안전한 방어막이 되어야 할 우리의 가정조차도 오히려 인체를 해치는 요인들을 길러내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생태 여성론의 필요성이 더욱 간절히 느껴진다.
☆ 토론거리 ☆
여성의 입장에서 생각해본 페미니즘 시는 어떻게 보면 극단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모든 여성이 바라보는 페미니즘 시가 이 같이 해석되지는 않을 듯하다. 페미니즘 문학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아울러 남성이 바라보는 페미니즘 문학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해 보자.
7. 「사랑 5- 결혼식의 사랑」- 김승희
성채를 흔들며 신부가 가고
그 뒤에 칼을 든 군인이 따라라가면서,
제국주의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부케를 흔들며 우리가 신부가 가고
그 뒤에 흰 장갑을 낀 신랑이 따라가면서
결혼예식은 끝났다고 한다.
모든 결혼에는 흰 장갑을 낀 제국주의가 있다.
그렇지 않은가?
-이 시는 가부장적인 가정에서 여성이 받는 강압적이고 지배받는 생활을 비판하며 말하고 있다. ‘예식이 끝난 후’는 곧 ‘제국주의의 시작’이라고 말하면서, 꼭 칼을 들고 사람들을 지배하는 것만이 제국주의가 아니라 결혼을 통한 여성의 억압받고, 지배받는 생활도 역시 제국주의와 다를 바 없다고 말하고 있다.
◎ 생태 여성주의
☞ 생태 여성론
현대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환경오염이 지구를 위협하고 있는 이 때, 생태계의 오염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다. 여성적 시각으로 환경 문제가 재조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했던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환경문제를 여성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제시할 필요성을 느꼈는데, 그것이 생태 여성론이다.
이러한 생태 여성론에 대한 공통된 의견은 출산 등과 같은 부분에서 자연과 여성의 이미지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또한 자연이 인간에 의해 취급받는 방식과 여성이 남성에 의해 취급받는 방식이 유사하다고 말한다.
8.「죽음을 기르는 자궁」 - 랄프 테니오르 [어머니와 아이] 중
아기를 밴 어머니가 불에 구운 소시지를
매운 양념에 버무려 먹고 있다
기름 범벅의 종이 봉지에 싸서
마요네즈와 케찹을 곁들여 먹고 있다
그 후 어머니는 담배를 흠뻑 빨아들이고
연기를 깊숙히 아주 깊숙히 들여 마신다
텔레비젼에서 반짝이며
새어나오는 푸른 불빛이
그녀의 눈 속에 흘러들어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기에게로 떨어진다.
독한 담배연기, 텔레비젼과 컴퓨터의 전자파는 산모의 몸 속으로 흘러 들어가서 면역성 없는 태아에게 쌓인다.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가 출생 이후에 건강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을 지는 아무도 보장할 수 없다. 충분히 제어할 수 있었던 위험 앞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기형아를 출산하는 현상은 공장지대와 산업시설의 주변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요즘은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들로부터 가장 안전한 방어막이 되어야 할 우리의 가정조차도 오히려 인체를 해치는 요인들을 길러내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생태 여성론의 필요성이 더욱 간절히 느껴진다.
☆ 토론거리 ☆
여성의 입장에서 생각해본 페미니즘 시는 어떻게 보면 극단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모든 여성이 바라보는 페미니즘 시가 이 같이 해석되지는 않을 듯하다. 페미니즘 문학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아울러 남성이 바라보는 페미니즘 문학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해 보자.
추천자료
시인 김수영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해석
현대시의 이해
김현승시의 기독교적 연구
195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시인) 개관
예술가 소설에 나타난 예술의 의미 - 이문열[시인]과 헤세[시인]을 중심으로
류시화 시인 연구 - 영혼의 세계를 노래하는 시인 류시화
이육사의 육사시집과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한 30년대 말의 시의 문학사적 의의
(영미시E형)Byron의 시적 특징과 Lines (Tintern Abbey)의 내용 요약
[윌리엄 블레이크][윌리엄 블레이크 작품][순수의 시][부정의 윤리]윌리엄 블레이크의 생애, ...
[현대 시인론] 시인 정한모 & 시인 박재삼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도가사상(道家思想) - 도교와 한국 문학, 최승호 시인의 무위자연의 사...
John Donne(존 던)과 사랑시 - Jonh Donne의 연가,사랑시 분석, John Donne의 쏘네트,the Fle...
한용운(韓龍雲) 시 연구 (만해 한용운 생애, 님은 누구인가?, 한용운 시에 나타난 기다림,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