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예절(예의범절)의 필요성
Ⅲ. 안내예절(예의범절)
Ⅳ. 악수예절(예의범절)
Ⅴ. 명함을 주고받는 예절(예의범절)
1. 명함을 주는 예절
2. 명함을 받는 예절
Ⅵ. 화장실예절(예의범절)
Ⅶ. 가정예절(예의범절)
1. 부모님 앞 예절
1) 얼굴 표정
2) 태도
2. 형제간 예절
3. 가족간 기본예절
Ⅷ. 이웃간의 예절(예의범절)
1. 친숙하게 지내기
2. 사생활 보호하기
3. 서로 돕기
4. 양해 구하기
5. 폐 끼치지 않기
6. 청소하기
7. 공공시설 사용하기
8. 이사하기
참고문헌
Ⅱ. 예절(예의범절)의 필요성
Ⅲ. 안내예절(예의범절)
Ⅳ. 악수예절(예의범절)
Ⅴ. 명함을 주고받는 예절(예의범절)
1. 명함을 주는 예절
2. 명함을 받는 예절
Ⅵ. 화장실예절(예의범절)
Ⅶ. 가정예절(예의범절)
1. 부모님 앞 예절
1) 얼굴 표정
2) 태도
2. 형제간 예절
3. 가족간 기본예절
Ⅷ. 이웃간의 예절(예의범절)
1. 친숙하게 지내기
2. 사생활 보호하기
3. 서로 돕기
4. 양해 구하기
5. 폐 끼치지 않기
6. 청소하기
7. 공공시설 사용하기
8. 이사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방하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고운말, 바른말을 써야 한다. 허물없는 사이일수록 예의를 지켜야 한다. 누워 있는 가족을 넘어가서는 안 된다. 심한 노출은 삼가야 한다. 방엔 들어갈 때에는 노크를 한다. 또는 계십니까? , 누구 있니? 하고 예고를 하고 들어간다. 서로 이해하고 양보를 해야 한다. 음악 소리를 크게 내어 옆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자기가 좋아한다 고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독점하여서도 안 된다. 음식이 자기 입에 맞지 않는다 하여 투정해서는 안된다. 형은 동생들과 우애하고 동생은 형에게 공경을 다해야 한다. 우애 있는 형제자매는 부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동기간의 일은 자기의 일같이 즐거움과 어려움을 나누고 힘을 보탠다. 형제간에는 바른 말씨를 써야 한다. 그것은 곧 질서 의식의 표현이기도 하다. 또한 서로 감싸주고 이해하고 양보하는 사랑이 필요하다.
Ⅷ. 이웃간의 예절(예의범절)
1. 친숙하게 지내기
이웃을 만나면 반갑고 친절하게 인사를 한다. 집안에 경사가 있으면 서로 초대하고, 특별한 음식 같은 것은 나누어 먹는 것도 이웃을 사귀는 좋은 방법이다.
2. 사생활 보호하기
친숙하게 지내더라도 이웃사람의 생활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는다. 이웃 간의 방문은 간단히 한다. 여름에는 이웃 간에 훤히 들여다보이기 쉬우므로 문 앞에 발을 친다든지 하여 시선을 차단한다. 무심코 라도 남의 집을 들여다보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3. 서로 돕기
이웃의 경조사에 관심을 갖고 기쁨과 걱정을 함께 나누며 어려운 일은 서로 돕는다.
4. 양해 구하기
잔치 손님접대 등 자기 집의 일로 이웃에 불편을 끼칠 우려가 있을 경우 반드시 사전에 양해를 구한다. 집을 수리하거나 새로 건축할 때는 먼지, 소음 등으로 피해를 끼치게 되므로 미리 양해를 구하는 것이 좋다.
5. 폐 끼치지 않기
어린아이가 있는 경우 집안에서 뛰지 않도록 조심한다. TV, 전축, 악기 등 크게 소리내어 이웃에게 불편을 주면 안된다.
6. 청소하기
자신이 살고 있는 집 주변은 항상 깨끗이 청소하고 아름답게 꾸며 놓아 주변 사람을 불쾌하게 하지 않는다. 냄새가 심한 물건이나 음식 찌꺼기, 위험한 물건이나 약품 등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 재빨리 치워, 이웃에게 불쾌감이나 피해가 없도록 한다.
7. 공공시설 사용하기
이웃과 함께 쓰는 공공시설은 항상 정결히 사용하고, 깨끗이 청소한다. 공공의 물건은 고마운 마음으로 이용하고, 내 물건 아끼듯 아껴야 하며, 혹시 파손이 되었을 경우에는 누구의 책임인가를 묻기 전에 힘을 합쳐 복구하려 애쓴다.
8. 이사하기
이사를 하면 먼저 이웃을 찾아보고 인사를 나눈다. 이사를 할 때에는 청소를 하고 각종 대금을 미리 지불해 놓는다.
참고문헌
◎ 강영숙, 누구나 알아야 할 생활예절, 문학아카데미, 1990
◎ 김득중, 실천예절개론, 교문사, 1997
◎ 도성달 외 3명, 윤리학과 덕 교육,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박양문, 한국인의예절보감, 좋은 글, 1998
◎ 정태윤, 간추린 생활 예절, 서울, 정, 1999
Ⅷ. 이웃간의 예절(예의범절)
1. 친숙하게 지내기
이웃을 만나면 반갑고 친절하게 인사를 한다. 집안에 경사가 있으면 서로 초대하고, 특별한 음식 같은 것은 나누어 먹는 것도 이웃을 사귀는 좋은 방법이다.
2. 사생활 보호하기
친숙하게 지내더라도 이웃사람의 생활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는다. 이웃 간의 방문은 간단히 한다. 여름에는 이웃 간에 훤히 들여다보이기 쉬우므로 문 앞에 발을 친다든지 하여 시선을 차단한다. 무심코 라도 남의 집을 들여다보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3. 서로 돕기
이웃의 경조사에 관심을 갖고 기쁨과 걱정을 함께 나누며 어려운 일은 서로 돕는다.
4. 양해 구하기
잔치 손님접대 등 자기 집의 일로 이웃에 불편을 끼칠 우려가 있을 경우 반드시 사전에 양해를 구한다. 집을 수리하거나 새로 건축할 때는 먼지, 소음 등으로 피해를 끼치게 되므로 미리 양해를 구하는 것이 좋다.
5. 폐 끼치지 않기
어린아이가 있는 경우 집안에서 뛰지 않도록 조심한다. TV, 전축, 악기 등 크게 소리내어 이웃에게 불편을 주면 안된다.
6. 청소하기
자신이 살고 있는 집 주변은 항상 깨끗이 청소하고 아름답게 꾸며 놓아 주변 사람을 불쾌하게 하지 않는다. 냄새가 심한 물건이나 음식 찌꺼기, 위험한 물건이나 약품 등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 재빨리 치워, 이웃에게 불쾌감이나 피해가 없도록 한다.
7. 공공시설 사용하기
이웃과 함께 쓰는 공공시설은 항상 정결히 사용하고, 깨끗이 청소한다. 공공의 물건은 고마운 마음으로 이용하고, 내 물건 아끼듯 아껴야 하며, 혹시 파손이 되었을 경우에는 누구의 책임인가를 묻기 전에 힘을 합쳐 복구하려 애쓴다.
8. 이사하기
이사를 하면 먼저 이웃을 찾아보고 인사를 나눈다. 이사를 할 때에는 청소를 하고 각종 대금을 미리 지불해 놓는다.
참고문헌
◎ 강영숙, 누구나 알아야 할 생활예절, 문학아카데미, 1990
◎ 김득중, 실천예절개론, 교문사, 1997
◎ 도성달 외 3명, 윤리학과 덕 교육,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박양문, 한국인의예절보감, 좋은 글, 1998
◎ 정태윤, 간추린 생활 예절, 서울, 정, 1999
추천자료
식사예절
우리 옷과 예절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기말 01 친족간의 예절
직장인의 에티켓과 예절에 대해
[학군단]충 효 예의 본질
[다도][차][다도의 역사][다도의 기여][다도의 정신][다도의 예절][차의 성분][차의 효능][차...
식사예절
유럽의 예절, 19세기의 유럽, 현재의 유럽, 유럽의 왕국, 유럽의 통화제도, 유럽과 유로화, ...
예절의 구사, 구용의 사례 , 나의 견해
생활예절 각국의 성년례
학교생활지도의 학생이해, 학교생활지도의 지도요소와 유의점, 학교생활지도와 가정생활예절...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효경교육과 예절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통일교육과 미디어교육, ...
전통 복장예절과 현대인의 복장예절
생활예절)효의 의미를 되새기며 어버이날에 부모님을 위한 행사를 설계하세요
소개글